A | B | C | D | E | F | G | H | I | J | K | L | M | N | O | P | Q | R | S | T | U | V | W | X | Y | |
---|---|---|---|---|---|---|---|---|---|---|---|---|---|---|---|---|---|---|---|---|---|---|---|---|---|
1 | FOSS4G Korea 2019 10월 10일(목) 프리젠테이션 세션 - 모집 마감 | ||||||||||||||||||||||||
2 | 번호 | 자료확보 | 발표자 | 메일 | 소속 | 제목 | 발표내용 | 비고 | 발표영상 | ||||||||||||||||
3 | 1 | 신상희 | shshin@gaia3d.com | 가이아쓰리디(주) | 오픈소스와 비즈니스 | 발표자를 볼 때마다 많은 이들이 묻곤 한다. "오픈소스는 참 좋은데요. 근데, 돈은 어떻게 버시나요?" 검색 가능하고 공개된 형태로 답을 하는 게 오픈소스 방식이다. 본 발표는 이런 질문에 대한 공개적이며 검색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답이다.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오픈소스와 비즈니스는 어떻게 만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가 그 비결을 한 번 알아보자! | |||||||||||||||||||
4 | 2 | 함상우 | flyhamsw@gmail.com |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도시재생 모니터링을 위한 QGIS 활용: 영상 기반 건물 입면 매핑을 중심으로 | 최근 우리나라의 도시계획은 구도심을 전면 철거하고 재개발하는 대신 역사적 맥락과 주민의 삶을 보존할 수 있는 도시재생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 도시재생사업 대상지의 현황과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모니터링 지표를 선정하고 측정해야 한다. 모니터링 지표 측정은 주로 현장조사나 지자체 DB를 활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는데, 측정 방법의 한계 때문에 여러 가지 지표를 활용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진측량 기반으로 도시재생사업 대상지 건물 입면을 매핑하여 사업 대상지의 현황과 변화를 보다 자세하게 파악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를 파이썬과 QGIS를 이용하여 구현해본다. | |||||||||||||||||||
5 | 3 | 정윤재 | choung12osu@gmail.com | (주)지오씨엔아이 | Python과 GIS | GIS 작업을 하기 위한 다양한 파이썬 라이브러리(rasterio, geopandas, fiona 등)를 소개하고, 이들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GIS/위성영상처리 작업의 예시를 보여줌. | |||||||||||||||||||
6 | 4 | Silvia Franceschi | silvia.franceschi@hydrologis.eu | HydroloGIS | Open Source superpower: the tale of David and Goliath | In the Open Source firmament many different business types coexist and contribute to the growth of the ecosystem. Every single piece, from the big software company down to smaller realities and even individual companies are important. It is a fact that Open Source gives everyone the possibility and the tools to build useful applications for the market and the community. It often happens that applications developed by small companies are selected for a specific project over more sponsored and “famous” ones. This is one of the super powers of Open Source: everyone gets the same possibility and even small companies can sparkle in the worldwide market. The presentation will show a real world example of this Open Source power. It will talk about a set of useful geospatial applications for environmental analyses. These applications are developed by a very small Italian company named David Inc. and are now used and appreciated all over the world. | 기조 강연 | ||||||||||||||||||
7 | 5 | 신대영 | daedol@forcewave.co.kr | (주) 포스웨이브 | LH 스마트시티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과 개방형 경진데회 플랫폼으로의 확장 | 도시의 여러 문제 해결의 사례로서 스마트시티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과 도시의 문제를 일부 전문가들만이 아닌, 여러 시민과 학생, 데이터 과학자등이 머리를 맞대고 경쟁하여 함께 해결책을 낼 수 있는 개방형 경진대회 플랫폼(COMPAS - Citizen Occupancy Management Problem Analisys Solution)으로의 확장을 실제 사례를 통해 알아보자. | |||||||||||||||||||
8 | 6 | 오정희 | mariner610@kiost.ac.kr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오픈소스 R을 이용한 대용량 위치기반데이터 처리, 분석 기법 | NetCDF 포맷과 더불어 대부분의 위성 데이터의 기본포맷으로 사용되고 있는 HDF5 포맷 데이터셋을 직접 인터페이스해서 대용량 위성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 분석할 수 있는 기법을 소개(R, rhdf5, data.table, matrrixStats, QGIS) | |||||||||||||||||||
9 | 7 | 김지윤 | aliasgis@gmail.com | 디지털공간정보연구소 | mongodb 에서 공간정보 다루기 | mongodb에서 공간정보 다루는 방법과 경험을 공유 합니다. | |||||||||||||||||||
10 | 8 | 이기준 | lik@pnu.edu | 부산대학교 | 스마트시티를 위한 3D IoT 오픈 플랫폼 | 디지털 트윈에 기반하여 스마트 시티를 구축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3D IoT 오픈 플랫폼과 관련된 1) 지금까지의 기술을 정리하고, 2)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 3) 주요 기술적 이슈, 4) 전략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 기조강연 | ||||||||||||||||||
11 | 9 | 이민파 | mapplus@gmail.com | (주)망고시스템 | 오픈소스를 활용한 역학조사 분석도구 개발 | 최근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를 비롯한 우리나라와 주변국에서 발생하는 구제역(FMD),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PAI) 등 가축질병에 대한 역학조사 분석도구 개발 사례를 소개합니다. 역학조사 분석도구는 현재 발병정보에 대한 대시보드와 OIE, Movebank 등 전세계 가축질병 발생정보와 철새이동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질병발생정보 현황 탐색, 철새이동 정보의 2D/3D 분석 및 시각화, OGC WPS 분석 프로세스를 이용한 웹 기반의 탐색적 공간분석도구(ESDA)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
12 | 10 | Stephen Vincent Mather | svm@clevelandmetroparks.com | Clevelnad Metro Parks | From fancy SQL to photogrammetric alchemy with flying robots: confessions of a FOSS4G generalist. | A journey from PostGIS to OpenDroneMap! A personal confession of PostGIS Cookbook author. | 기조강연 | ||||||||||||||||||
13 | 11 | 박진우, 신상희 | jwpark@gaia3d.com | 가이아쓰리디(주) | 오픈소스 기반의 Digital Twin Platform mago3D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본 발표에서는 오픈소스 기반의 디지털트윈 플랫폼인 mago3D의 최근 성과와 발전에 대해 소개한다. mago3D(http://mago3d.com)는 2017년 7월에 ver1.0이 발표된 비교적 신생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mago3D의 궁극적 목표는 웹 환경에서 현실 세계의 정적/동적, 지상/지하, 실내/실외, 그리고 객체와 현상 정보를 하나로 통합하여 서비스하는 디지털트윈 플랫폼이다. mago3D는 조선업, 실내공간관리, 국방, 자율주행차 관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며 자신의 목표를 향해 한걸음 한걸음 나아가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실제 mago3D가 적용된 사례를 소개하고 이런 프로젝트를 통해 얻은 교훈을 공유한다. | |||||||||||||||||||
14 | 12 | 강성진 | sjkang@gaia3d.com | 가이아쓰리디(주) | 오픈소스 기반 군 공간정보 포털 시스템 개발 | 본 발표에서는 PostGIS, GeoServer, Cesium, mago3D, OpenGXT와 같은 다양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활용하여 구축한 국방부 '오픈소스 기반 군 공간정보 포털 시스템'을 소개한다. 국방부 오픈소스 기반 군 공간정보 포털 시스템은 웹 브라우저 상에서 통합 검색, 레이어 콘트롤, 시계열 영상 검색, 공간 분석, 좌표 독취, 화망 분석, 맵 노트 같은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손쉬운 2D와 3D를 화면 전환, 동적인 방향 표시, 다양한 측량 단위 또한 제공한다. 본 시스템은 OGC WPS를 통해 다양한 공간 분석 기능을 웹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시스템 구축의 결과로 국방부의 사용자들은 별도의 SW없이 웹 브라우저만으로 다양한 종류의 공간정보와 공간분석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 |||||||||||||||||||
15 | 13 | 박원녕 | peter@angelswing.io | 엔젤스윙 (주) | Example case of mapping a disaster site using drone | Sharing drone mapping case of Palu earthquake in 2018 and journey of using technologies to address the visibility problem during a disaster. | |||||||||||||||||||
16 | 14 | 김태영 | tykim@inspace.re.kr | (주)인스페이스, 케라스 코리아 | 우연히 오늘 딥러닝을 시작하셨군요. | 성능이 좋다던 인공지능/딥러닝 기술을 언젠가 하겠다고 생각만 가지고 있다면, 지금 당장 여러분 머리로 실습하면서 시작해보겠습니다. 좀 더 나아가 분류 문제, 회귀문제, 영상변환 문제를 "케라스"라는 직관적이고 막강한 오픈소스와 함께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좋은 케라스를 어떻게 계속 공부할 수 있을 지, 오픈소스 커뮤니티인 케라스 코리아에서 해답을 찾아보겠습니다. | |||||||||||||||||||
17 | 15 | 김순연 황석환 | ceo@hermesys.co.kr sukany@kict.re.kr | (주)헤르메시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돌발홍수 시스템 개발 사례 | 10분 주기로 산출되는 레이더 강우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을 대상으로 홍수 알림 시스템이 연구개발되고 있다. 빠르고 안정적인 자료처리와 함께 최신 연구 내용의 유연한 반영을 위하여 공간정보 오픈소스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그중 Openlayers, PostGIS, GeoServer의 적용 사례를 공유한다. | |||||||||||||||||||
18 | 16 | Hirofumi Hayashi | hayashi@apptec.co.jp | Applied Technology Co.,LTD. | Improvement of AR display performance in "CERD-AR" for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 Osaka City University Urban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Research Center (CERD) has developed a map app that implements augmented reality (AR) functions and has made it available as open source to help local children feel the disaster. . By using the developed AR application, it becomes easy to recognize various information in geospatial form. For example,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such as evacuation shelters and AEDs, and virtual disasters for training can be visualized on the terminal screen by overlaying them with actual images. In this announcement, we will introduce new functions such as AR display of GIS data, adoption of ARKit2 and animation image display as examples of functions that can be learned more realistically. | |||||||||||||||||||
19 | 17 | ||||||||||||||||||||||||
20 | 18 | ||||||||||||||||||||||||
21 | 19 | ||||||||||||||||||||||||
22 | |||||||||||||||||||||||||
23 | * 9월 30일 모집 마감! | ||||||||||||||||||||||||
24 | |||||||||||||||||||||||||
25 | |||||||||||||||||||||||||
26 | |||||||||||||||||||||||||
27 | |||||||||||||||||||||||||
28 | |||||||||||||||||||||||||
29 | |||||||||||||||||||||||||
30 | |||||||||||||||||||||||||
31 | |||||||||||||||||||||||||
32 | |||||||||||||||||||||||||
33 | |||||||||||||||||||||||||
34 | |||||||||||||||||||||||||
35 | |||||||||||||||||||||||||
36 | |||||||||||||||||||||||||
37 | |||||||||||||||||||||||||
38 | |||||||||||||||||||||||||
39 | |||||||||||||||||||||||||
40 | |||||||||||||||||||||||||
41 | |||||||||||||||||||||||||
42 | |||||||||||||||||||||||||
43 | |||||||||||||||||||||||||
44 | |||||||||||||||||||||||||
45 | |||||||||||||||||||||||||
46 | |||||||||||||||||||||||||
47 | |||||||||||||||||||||||||
48 | |||||||||||||||||||||||||
49 | |||||||||||||||||||||||||
50 | |||||||||||||||||||||||||
51 | |||||||||||||||||||||||||
52 | |||||||||||||||||||||||||
53 | |||||||||||||||||||||||||
54 | |||||||||||||||||||||||||
55 | |||||||||||||||||||||||||
56 | |||||||||||||||||||||||||
57 | |||||||||||||||||||||||||
58 | |||||||||||||||||||||||||
59 | |||||||||||||||||||||||||
60 | |||||||||||||||||||||||||
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