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CDEFGHIJKLMNOPQRSTUVWXYZ
1
벌룬셋 21호!!! 개선점
예산, 시간, 노력이 합쳐지는 데.. 시스템 엔지니어가 cost budget을 잘 짜는 게 중요하다
2
준하: 전자계를 사전에 체크한다.(앱 같은 것도 찾아보고, 냉장고에서 실험을 해봐도 되고...).
3
한: 균형을 미리 맞추는 게 중요하다
4
현민: 날씨를 맑은 날에 띄우고 싶음.
5
우혁: 꼭 풍선으로 날리지 않고 로켓으로 날리고 싶다. 로켓팀하고 협의가 필요함. 로켓은 근데 1km 까지 올라감. 로켓팀이 힘들 수 있음 우리보다...
6
지윤: 나사못 뚫을 때 송곳으로 구멍을 뚫은 후에, 못을 박아서 균열을 방지할 수 있었을 것
7
창준: gps가 높이까지 tracking 가능하게(여행용보다 위성에 적합한 모델), 단열재를 양말보다 더 효율이 좋은 것,
8
규빈: 스티로폼이 아닌 다른 재질로 structure를 찾아보기. 안 쓴 펄룬셋을 조사해보기, 단열+사람이 맞았을 때 다치지 않는 것도 중요함.
9
박재필 멘토님: 회수를 어떻게 하면 더 잘 할 수 있을까? 현재 회수 방법은 gps 추적기 + 사람의 제보
10
준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쏘기 전에 적절한 장소를 미리 찾아본다. > 미국의 뉴멕시코. 스페이스 포터? 같은 곳은 실제로 날씨가 아주 건조하고 편평한 지대에서 실험을 해본다. 우리나라는 산이 많은 지형이어서 회수에 더 어려운 부분도 있다.
11
12
더 달고 싶은 것?
13
카메라(아래 각도), 고도계, 좀 더 가벼운 시계와 시계의 준하가 젤리시계 기증하기
14
산에 떨어졌을 때는 어떻게 해야 회수 확률을 높일 수 있을까?
15
색깔을 좀 화려하게 하자. 주황색 형광 스티커를 붙이자.
16
회전을 방지하려면?
17
멀리 날아가버리기 전에 좀 더 빨리 떨어뜨리는 방법이 없을까?
18
풍선 안에 폭약 넣기
19
쥐덫 같은 것 놓기.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