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 B | C | D | E | F | G | H | I | L | M | N | O | P | Q | R | S | T | U | V | W | X | Y | Z | AA | AB | |
---|---|---|---|---|---|---|---|---|---|---|---|---|---|---|---|---|---|---|---|---|---|---|---|---|---|---|
1 | 제목(국문) | 제목(영문) | 감독 | 감독(영문) | 제작국가 | 장르 | 제작연도 | 러닝타임 | 작품정보 | 시놉시스 | 상영연도 | |||||||||||||||
2 | EIDF 공동체상영은 2025년 7월 31일 종료됩니다. EIDF 공동체상영은 온라인 진행이 불가하며, 오프라인으로만 진행 가능합니다. *작품별 공동체상영 가능한 횟수가 정해져 있어 상황에 따라 상영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 |||||||||||||||||||||||||
3 | 가자에 띄운 편지 | Erasmus in Gaza | 키아라 아베사니, 마테오 델보 | Chiara Avesani, Matteo Delbò | 스페인 | 다큐멘터리 | 2021 | 88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1199 | 이탈리아 의대 졸업반인 리카르도는 유럽연합국들 간의 교환학생 프로그램인 에라스뮈스를 신청한다. 그의 목적지는 바로 가자 지구, 전쟁의 한복판이다. 그의 결정에 친구들은 충격에 빠진다. 하지만 군의관을 꿈꾸며 동시에 폭발탄 총상에 관한 졸업논문을 쓰는 리카르도에겐 꼭 필요한 일이다. 가자 지구는 입국조차 쉽지 않다. 이스라엘 군부, 팔레스타인 당국, 그리고 하마스, 세 기관의 허가를 얻은 후에야 가자 지구에 발을 디딜 수 있다. 이슬람대학에 도착한 리카르도는 총장의 환영을 받고, 현지 및 국제 언론의 인터뷰 세례를 받는다. 리카르도는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의 성패가 그에게 달린 것과 진배없음을 깨닫고 큰 부담을 느낀다. 전쟁마저 임박한 상황에서, 그는 공황 발작을 일으킨다. 그의 증세는 젊은 팔레스타인인들과 교우하고 그들에게 불안을 다루는 법을 조언받으며 호전된다. 하지만 전쟁이 다시 시작되자 리카르도는 불가피한 선택의 기로에 선다. 이스라엘과 가자 지구를 넘나드는 사이 청소년기와 성인기의 경계도 넘게 된 그는 자신에게 진정으로 꿈을 추구할 만한 내적인 힘이 있는지 증명하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 2022 | |||||||||||||||
4 | 건축가 발크리시나 도시 | The Promise, Architect BV Doshi | 얀 슈미트-가레 | Jan SCHMIDT-GARRE | 독일 | 다큐멘터리 | 2023 | 90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46 | 프리츠커상 수상자 발크리시나 도시(1927-2023)는 인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20세기 건축가 중 한 명이다. 도시가 설립한 건축 사무소 “바스투 실파”는 르코르뷔지에, 루이 칸과의 협업을 포함한 70년 이상에 걸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이 작품은 도시의 유명한 건축물을 소개하고 그의 작업 과정을 독점적으로 보여준다. 뛰어난 스토리텔러이기도 한 도시는 자신의 영감과 동기의 원천을 공유한다. 그의 마음가짐, 유머, 지혜가 자아내는 한 사람의 이미지는 우리에게 인간적으로 건축하는 법은 물론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배울 점을 사사한다. | 2023 | |||||||||||||||
5 | 고향의 풍경 | Landscapes of Home | 신일 | Alice Il SHIN | 캐나다 | 다큐멘터리 | 2024 | 55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66 | 영화는 20세기 중반을 살았던 두 의사의 증언을 따라간다. 한 사람은 밴쿠버에서 태어난 일본계 캐나다인 헨리 시바타, 다른 한 사람은 나고야에서 태어난 캐나다인 스튜어트 쿠퍼 로빈슨이다. 두 사람의 삶은 2차 대전으로 인해 뒤집혔다. 시바타는 로키산맥에 있는 수용소에 억류됐고, 로빈슨은 점점 심해지는 불관용 속에 평생 산 일본의 집에서 내몰렸다. 이 다큐멘터리는 강제 이주가 남긴 지워지지 않는 상처를 기록한다. | 2024 | |||||||||||||||
6 | 광야에서 부르는 노래 | Singing in the Wilderness | 천둥난 | CHEN Dongnan | 중국 | 다큐멘터리 | 2021 | 98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208 | 한 세기를 산속 깊이 숨어 살던 먀오족 기독교 성가대가 당국의 선전부장 눈에 띈 후 전국적 화제가 된다. 두 젊은이들과 마을 사람들은 그들의 정체성, 믿음과 사랑을 중국의 현실 속에서 재정의해야 하는 운명에 놓인다. | 2022 | |||||||||||||||
7 | 굴라크 수용소의 여인들 | Women of the Gulag | 마리안나 야로프스카야 | Marianna Yarovskaya | 미국, 러시아 | 다큐멘터리 | 2018 | 53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468 | 영화는 스탈린 체제 동안 소련 인구를 황폐화시킨 탄압과 공포의 잔혹한 기관 굴라크 수용소에서 살아남은 마지막 생존 여성들의 비극적이면서도 감동적인 이야기를 들려준다. 1930년대 스탈린의 억압 아래 살아남은 여성들의 유일하고 솔직한 인터뷰들로 구성되어 있다. | 2019 | |||||||||||||||
8 | 그 모든 거짓말의 어머니 | The Mother of All Lies | 아스마에 엘무디르 | Asmae EL MOUDIR | 모로코, 이집트, 사우디 아라비아, 카타르 | 다큐멘터리 | 2023 | 96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67 | 젊은 모로코 감독 아스마에 엘무디르는 왜 자신의 어린 시절 사진이 단 한 장뿐인지 알고 싶어 한다. 심지어 그 사진 속 소녀는 자신이 아니다. 감독은 자신이 자란 카사블랑카 마을의 모형을 손수 제작해 미스터리에 싸인 과거를 탐구하기로 한다. 그녀는 엄마, 아빠, 할머니가 들려 주는 고향과 조국에 관한 이야기에 의문을 품기 시작한다. | 2024 | |||||||||||||||
9 | 그날이 오면 | You Are the Days to Come | 로냐 유 | Ronja Yu | 스웨덴 | 다큐멘터리 | 2021 | 72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195 | 우리는 1989년 천안문 광장의 가슴 아픈 이미지는 알고 있지만, 전 세대를 바꾼 1980년대의 이야기는 중국에서 지워졌고 아직 전파되어야 한다. 표현의 자유와 희망이 폭발하는 그 10년의 이야기가 〈그날이 오면〉에서 펼쳐진다. 영화는 1989년, 꿈이 산산조각 나기 전에 정치적 해방과 예술적 자유를 위해 싸웠던 여섯 명의 예술가와 주요 인물들의 이야기를 파헤친다. 마오쩌둥의 죽음에서부터 1989년까지를 다루는 〈그날이 오면〉은 천안문 광장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며 예술의 힘을 보여준다. | 2022 | |||||||||||||||
10 | 그녀의 키친, 쉬 셰프 | She Chef | 멜라니 리브하이트, 게레온 베첼 | Melanie LIEBHEIT, Gereon WETZEL | 독일, 오스트리아 | 다큐멘터리 | 2022 | 105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39 | <그녀의 키친, 쉬 셰프>는 최근 열린 요리 월드컵에서 우승한 젊은 셰프 아그네스의 여정을 그린다. 자신감 넘치는 아그네스는 20대의 나이에 오스트리아 최고의 레스토랑인 슈타이레렉에서 견습 과정을 거친 뒤 오스트리아 요리 국가대표팀에 합류하고, 2018년 요리 월드컵에서 남자 선수들 사이의 최초이자 유일한 여성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이 작품은 아그네스의 야심 찬 여정을 따라가며 최고의 셰프가 되기 위해 걸어온 그녀의 발자취를 좇는다. | 2023 | |||||||||||||||
11 | 그림자 놀이 | Shadow Game | 에이피어 블랑케보르트, 엘스 판드리엘 | Eefje Blankevoort, Els van Driel | 네덜란드 | 다큐멘터리 | 2021 | 90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1201 | 여기 전쟁으로 황폐해진 고국을 떠나 안전과 더 나은 삶을 찾아 매일같이 유럽 국경을 넘으려는 10대 소년 소녀들이 있다. 지뢰밭, 야생 곰, 빠르게 흐르는 강물, 밀수업자들과 국경 수비대의 위험이 도사리는 ‘그림자 세계’를 건너는 것을 그들은 ‘게임’이라 부르며, 이 승부에서 필사적으로 이기려 애쓴다. 유럽 전역에 세워진 방벽으로 인해 이제 망명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최종 목적지를 향한 그들의 여정은 그 어느 때보다 위험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10대들은 몇 달 또는 심지어 몇 년에 걸쳐 이 위험한 여행에 목숨을 건다. 그 과정에서 그들은 빠르게 성장한다. 그리스에서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이탈리아에서 프랑스, 그리고 네덜란드에 이르기까지 유럽 전역에 그들의 발길이 닿지 않는 곳은 없다. 길 위의 어린 난민들 각각의 삶이 혼재되어 하나의 보편적인 이야기를 이루는 〈그림자 놀이〉는 일종의 현대적 오디세이이다. 그들은 눈앞의 수많은 장애물을 극복하고 과연 새로운 안식처를 찾을 수 있을까? | 2022 | |||||||||||||||
12 | 글로버스 운행기 | Operation Globus | 아리아드나 세우바 세라 | Ariadna Seuba Serra | 스페인, 네덜란드 | 다큐멘터리 | 2019 | 62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480 | 호우의 유일한 꿈은 그와 친구들이 세계 여행을 떠났을 때 탔던 트럭을 찾는 것이다. 40년이 지난 지금, 그는 드디어 그 트럭을 찾기로 결심한다. 세상 반대편을 향해 떠났던 여행은 자아 발견과 화해의 여정이 된다. 모든 문제에 맞서 그의 꿈을 좇는 용기를 가진 한 남자가 그 과정에서 과거를 대면하게 되는 이야기를 보여준다. | 2019 | |||||||||||||||
13 | 끝나지 않는 인형극 | Dolls Don't Die | 라나지트 레이 | Ranajit RAY | 인도 | 다큐멘터리 | 2022 | 70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30 | 무생물을 움직이고, 말하고, 웃고, 춤추고, 울게 만드는 기술은 마다브가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가장 소중한 유산이다. 이렇게 갈고닦은 기술은 이제 마다브의 존재 이유가 되었다. 그러나 인형극의 인기가 급격히 식어가고 자신의 극단이 소멸해 가는 모습을 무력하게 지켜보는 마다브는 이제 이름 없이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휩싸인다. <끝나지 않는 인형극>은 냉혹한 현실과 열정적인 예술가의 황홀경 사이에 놓인 한 남자의 투쟁과 꿈을 그린다. 이 작품은 자신의 예술 활동을 계속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마다브의 외롭고도 끈질긴 싸움에 보내는 찬사다. | 2023 | |||||||||||||||
14 | 나란히, 발레 | Ballet in Tandem | 양웨이신 | YANG Wei-Hsin | 대만 | 다큐멘터리 | 2021 | 143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204 | 고전발레를 통한 자아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다른 세 세대 대만 무용수들 이야기. 그들은 이러한 여정을 통해 이 예술 형식을 바라보는 사회 인식을 전환하고 앞으로의 성장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보려 한다. | 2022 | |||||||||||||||
15 | 나의 아버지는 스파이 | My Father, the Spy | 야크 킬미, 긴츠 그루베 | Jaak Kilmi, Gints Grube | 리트비아, 미국, 독일 | 다큐멘터리 | 2019 | 84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464 | 1978년 옛 소련의 학생이었던 이에바는 당시 뉴욕에서 UN 소련 파견단으로 일하고 있던 아버지를 만나러 가는 일이 그녀의 삶을 영원히 둘로 갈라놓는 일이 될 것이라 예측하지 못했다. 이에바는 정보원들의 작전에 연루되고, 그녀의 삶은 완전히 달라진다. 어머니를 다시 볼 수도, 조국 라트비아로 다시 돌아갈 수도 없다. | 2019 | |||||||||||||||
16 | 나이스 피플 | Nice People | 안데르스 헬예손 카린 아프 클린트베리 | Anders HELGESON, Karin af KLINTBERG | 스웨덴 | 다큐멘터리 | 2015 | 94min | https://www.eidf.co.kr/dbox/movie/view/292 | 아이스하키와 비슷한 스포츠인 ‘반디' 2014년 세계선수권대회가 다가오자, 파트릭 안데르손은 스웨덴 볼렝에에서 소말리아 사람들로 팀을 만든다. 어떤 아프리카 국가도 이전에는 반디 선수권대회에 참가한 적이 없다. 예선전이 열릴 시베리아에서 연습 경기를 하면서, 사람들은 공동체에 대해 좀 더 이해하기 시작한다. | 2016 | |||||||||||||||
17 | 나폴리 셀프카메라 | Selfie | 아고스티노 페렌테 | Agostino Ferrente | 프랑스, 이탈리아 | 다큐멘터리 | 2019 | 78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465 | 16세 소년 알레산드로와 피에트로는 나폴리 트라이아노에 산다. 이곳에서 2014년 여름, 또 다른 16세 소년 다비드 비폴코가 그를 탈주자로 오인한 경찰의 총에 맞아 세상을 떠났다. 알레산드로와 피에트로는 감독의 제안을 받아들여 아이폰으로 자신들의 모습을 담았고, 자신들의 일상과 끈끈한 우정, 그들이 사는 지역, 그리고 친구 다비드의 삶을 앗아간 비극에 대해 이야기한다. | 2019 | |||||||||||||||
18 | 내 이름은 해피 | My Name Is Happy | 닉 리드, 아이세 토프락 | Nick READ, Ayse TOPRAK | 영국, 튀르키예 | 다큐멘터리 | 2022 | 82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67 | <내 이름은 해피>는 터키 남동부 외딴 마을 출신의 쿠르드족 10대 소녀 무툴루 카야의 감동적인 이야기를 전한다. 무툴루는 19살 때 '터키 갓 탤런트' 결승에 진출하며 스타덤에 올랐다. 그리고 며칠 후, 무툴루는 자신을 납치하려던 한 남자의 총에 맞게 되었다. 무툴루는 희박한 생존 확률을 이겨내고 살아남았지만, 남은 삶을 뒤바꿀 장애와 뇌 속에 박혀 있는 총알은 그대로였다. 여전히 회복 중인 무툴루는 나날이 증가하는 터키 여성에 대한 범죄라는 현실에서 벗어날 수 없다. 그러나 무툴루는 자신의 장애에도 불구하고, 남자친구에게 살해당한 언니를 위한 정의를 추구하기 위해 늘 자신을 믿어주는 가족과 함께 끈질기게 노력한다. 말랄라의 이야기에 영감을 받은 무툴루는 틱톡에서 180만 명의 팔로워들에게 지지를 요청하고, 개인적인 이야기가 담긴 항의 곡을 직접 작곡하고 녹음하여 자신의 정당한 분노를 표현한다. 무툴루는 터키어로 '행복'을 뜻한다. | 2023 | |||||||||||||||
19 | 내가 정말 미소짓고 있었을까 | To See If I am Smiling | 타마르 야롬 | Tamar Yarom | 이스라엘 | 다큐멘터리 | 2007 | 59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71 | 영화는 이스라엘 여성 군인들이 가자 지구와 웨스트뱅크에 주둔했을 때 겪었던 도덕적 갈등과 팔레스타인 주민들과의 만남을 되새긴다. 그들은 18세의 어린 나이에 자신에게 주어졌던 권력에 대해 비판적인 논조로 회고한다. | 2008 | |||||||||||||||
20 | 너희가 힙합을 아느냐 | We Speak Hip Hop | 비나 이리지, 다비드 부아소 시칼 | Vina Hiridjee, David Boisseaux-Chical | 프랑스 | 다큐멘터리 | 2019 | 90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533 | 비나 이리지와 다비드 부아소 시칼은 10년간 5개 대륙에서 15개의 언어를 촬영했고, 이것은 28명의 헌신적인 예술가들의 목소리를 담아낸 이 영화가 되었다. 그들의 프로젝트는 경계를 넘어 이 비트 마스터들과 위대한 시인들의 독창성과 공동의 가치를 조명한다. | 2019 | |||||||||||||||
21 | 넬리와 나딘 | Nelly & Nadine | 마그누스 게르텐 | Magnus Gertten | 스웨덴, 벨기에, 노르웨이 | 다큐멘터리 | 2022 | 90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185 | 1944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라벤스부르크 강제 수용소에서 사랑에 빠진 두 여성의 비상한 사랑 이야기. 전쟁 막바지 몇 개월 동안 헤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넬리와 나딘은 다시 만나 여생을 함께했다. 수년 동안 그들의 사랑 이야기는 가장 가까운 가족에게조차 비밀이었지만 이제 넬리의 손주 실비는 넬리와 나딘의 개인 아카이브를 처음으로 공개하며 그들의 놀라운 이야기를 밝히려 한다. | 2022 | |||||||||||||||
22 | 넷, 다섯, 여섯: 북한 여자 축구의 전설들 | ...Ned, Tassot, Yossot... | 브리기테 바이히 | Brigitte WEICH | 오스트리아 | 다큐멘터리 | 2023 | 99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68 | 영화 〈하나, 둘, 셋〉(2009) 이후 약 5년 만에 브리기테 바이히 감독이 북한으로 돌아가 여성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4명에게 그들의 삶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묻는다. 감독과 네 선수 사이의 친밀하고 우호적인 협력이 돋보이는 이 작품은 북한 프로 선수의 삶을 구체적으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우리가 만들어내는 이미지에 관한 질문을 던진다. | 2024 | |||||||||||||||
23 | 노래방 천국 | Karaoke Paradise | 에이나리 파카넨 | Einari PAAKKANEN | 핀란드 | 다큐멘터리 | 2022 | 75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40 | 핀란드에서 가장 경험이 많은 노래방 호스티스 에비는 손님들의 아픔을 안아주려 한다. 에비는 또 한 번 장비를 챙기고 자동차 시동을 건 뒤 핀란드 북부의 풍경을 따라 여행길에 오른다. 에비의 여정은 '가라오케 파라다이스'와 연결되며, 이곳에서 다양한 이야기들이 교차한다. 세상에서 가장 수줍음이 많은 토니는 무대 위에서만큼은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사랑을 찾고 있는 카리는 텅 빈 노래방 자동차 수리점에서 노래를 부른다. 파킨슨병 때문에 거의 걷지 못하는 엘리나는 펑크 음악에 맞춰 춤을 춘다. 말하기가 너무 고통스러운 로라는 대신 노래를 한다. 핀란드 사람들은 외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는 독특한 방법을 찾아낸 것이다. 바로 노래를 통해서. | 2023 | |||||||||||||||
24 | 늑대와 함께 | Among the Wolves | 탕기 뒤모르티에, 올리비에 라레 | Tanguy DUMORTIER, Olivier LARREY | 프랑스, 벨기에 | 다큐멘터리 | 2023 | 81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78 | 핀란드와 러시아 사이의 비무장지대 어딘가에서 화가 이브와 사진가 올리비에가 야생 늑대 무리를 기다리고 있다. 사계절 내내 변함없는 풍경 속에 꼼짝도 하지 않고 고요하게 지내던 그들은 점차 '사진'의 일부가 되어 늑대의 삶에 푹 빠져든다. | 2024 | |||||||||||||||
25 | 니카를 찾아서 | Searching for Nika | 스타니슬라브 카프랄로프 | Stanislav KAPRALOV | 스페인, 우크라이나, 미국 | 다큐멘터리 | 2023 | 76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37 |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해 키예프를 폭격했을 때 영화감독 스타니슬라브 카프랄로프의 반려견 니카를 잃어버렸다. 니카를 찾기로 결심한 스타니슬라브는 폐허 속으로 들어가 동물 구조를 돕는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그 여정을 기록한다. 자원봉사자들의 일원이 된 스타니슬라브는 니카를 찾기 위한 여정을 계속하면서 자원봉사자들의 시련과 성공을 촬영하고, 3,500마리의 동물을 수용하는 유럽 최대 규모의 '시러스' 동물 보호소에 도착해 여전히 매일 굶주리고 쇠약해진 개들을 수용하고 있다. 동물들의 먹이를 구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동물들을 절대 버리지 않겠다고 결심하는 보호소 소장 알렉산드라를 만고 소장의 철칙은 스타니슬라브에게 영감을 주었고, 그는 희망을 포기하지 않고 자원봉사자들과 도움이 필요한 동물들을 돕는 데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로 결심한다. 반려견 니카의 실종으로 시작된 여정은 우크라이나에서 가능한 한 많은 동물을 돕기 위한 인도주의적 운동을 기록하고 지원하는 임무로 발전한다. 이 여정을 기록하고 참여하면서 스타니슬라브는 전쟁의 참혹한 풍경 속에서 이타주의와 인간애에 대한 이야기를 발견하고, 여정이 끝날 무렵 마침내 자신의 반려견 니카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게 됩니다. | 2023 | |||||||||||||||
26 | 다크 레드 포레스트 | Dark Red Forest | 진화칭 | JIN Huaqing | 중국 | 다큐멘터리 | 2021 | 85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181 | 〈다크 레드 포레스트〉는 신앙에 헌신하는 여성들의 수수께끼 같은 삶을 탐구한다. 2만 명의 비구니들은 중국 티베트의 눈 덮인 고원 위 한 수도원에서 살고 있다. 혹독한 자연에 둘러싸여 바깥세상으로부터 단절된 채 살아가는 이들은 삶의 가장 큰 의문에 대한 종교적 탐구의 결과물을 엿보게 해준다. 열반에 이르기 위해 비구니들은 가족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채 모든 것을 희생하며 스승과 서로에게 자신을 맡긴다. | 2022 | |||||||||||||||
27 | 더 매직 라이프 오브 V | The Magic Life of V | 토니슬라브 흐리스토프 | Tonislav Hristov | 핀란드, 덴마크, 불가리 | 다큐멘터리 | 2019 | 82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491 | 라이브 롤플레잉으로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소녀 이야기. 어릴 적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가운데 그녀는 지적장애가 있는 오빠를 라이브 롤플레잉을 통해 독립적으로 만들려 한다. 오빠를 다양한 역할과 정체성의 세계로 이끌던 중, 마침내 그녀는 아버지에게 학대당했던 과거를 마주할 용기를 갖게 된다. | 2019 | |||||||||||||||
28 | 두 개의 별 | After the Rain | 판젠 | FAN Jian | 중국 | 다큐멘터리 | 2021 | 104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203 | 2008년 대지진이 중국의 한 도시를 초토화한 후, 한 자녀 정책으로 인해 대부분 아이가 하나뿐이었던 6,000명이 넘는 부모들은 죽은 아이들을 잊고 살아가야 했다. 〈두 개의 별〉은 충격 속에 새로운 아이를 맞이하는 경험을 공유하며 절친한 친구가 된 두 커플의 이야기를 그린다. 2017년, 메이와 성은 6세 아들 촨과 더불어 액자에 담긴 사망한 어린 딸의 사진과 함께 살고 있다. 그들의 친구 잉과 핑은 첫째 딸을 잃은 후11세 딸 란란을 키우고 있다. 촨과 란란이 나이가 들고 성숙해지면서 둘째를 양육하는 부모들은 어려움을 겪는다. 두려움, 분노, 형언할 수 없는 슬픔에 휩싸인 가족들은 불확실한 내일을 향해 나아가기 위해 세대 간 트라우마를 넘어 희망을 찾는다. | 2022 | |||||||||||||||
29 | 땅 아래 사람들 | Photophobia | 이반 오스트로호프스키, 파볼 페카르치크 | Ivan OSTROCHOVSKY, Pavol PEKAR?IK | 슬로바키아, 체코, 우크라이나 | 다큐멘터리 | 2023 | 71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46 | 열두 살 니키와 그의 가족은 끔찍한 전쟁을 피할 피난처를 찾아 하르키우 지하철역에 도착한다. 니키의 가족에게 태양빛을 본다는 것은 죽음과도 같은 것이기에, 소년은 역을 떠날 수 없고 그들은 네온 불빛 아래에서 생활한다. 승강장을 떠돌다가 열한 살 비카를 만나면서 새로운 세계를 접하는 니키. 그들의 유대감은 끈끈해지고 아이들은 다시 한번 태양을 마주할 용기를 얻는다. | 2024 | |||||||||||||||
30 | 라멘 먹으러 오세요 | Come Back Anytime | 존 대슈바크 | John Daschbach | 일본 | 다큐멘터리 | 2021 | 81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205 | 독학으로 라멘을 배운 우에다 마사모토와 그의 아내 가즈코는 도쿄에서 40년 넘게 그들의 라멘 가게 비젠테이를 운영 중이다. 가게 단골손님 수도 제법 되어서 친밀한 공동체 공간을 형성한 지 오래다. 주말에 두 부부는 함께 농촌 곳곳을 누비며 배, 죽순, 산마 등을 수확한다. 그 무엇도 영원하지 않고, 주인장도 언젠가 은퇴해야 한다는 사실을 아는 이 공간의 모든 이들은 남은 시간에 최선을 다하고자 한다. 바로 기가 막히게 맛있고 영혼을 풍요롭게 하는 음식과 특별한 공간에서 만난 인연의 소중함에 진정으로 감사하는 것으로 말이다. | 2022 | |||||||||||||||
31 | 로젝 | Rojek | 자이네 아키올 | Zaynê AKYOL | 캐나다 | 다큐멘터리 | 2022 | 127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27 | <로젝>은 칼리프 국가 건설이라는 꿈을 공유하며 전 세계에서 모여든 이슬람 국가 대원들과 수용소에 구금된 그들의 아내들을 대면한다. 지하디스트들의 근본주의적 신념과 맞닥뜨리는 이 작품은 그들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통해 이슬람 국가(ISIS)의 시작과 흥망성쇠를 추적하고자 한다. 이들과의 대화는 전후 시리아 쿠르디스탄의 현재를 묘사하는 다양한 시퀀스와 얽히며 다큐멘터리가 전개되는 실마리가 된다. | 2023 | |||||||||||||||
32 | 르코르뷔지에가 꿈꾼 유토피아 | The Power of Utopia: Living with Le Corbusier in Chandigarh | 카린 부허, 토마스 카러 | Karin BUCHER, Thomas KARRER | 스위스 | 다큐멘터리 | 2023 | 85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76 | 스위스 태생의 프랑스 건축가 르코르뷔지에는 70년 전 인도 계획도시 찬디가르 건설을 통해 평생의 업적을 완성했다. 이 영화는 도시에 살고 있는 네 명의 문화 예술 관계자들을 따라가며 르코르뷔지에의 유산, 유토피아적 도시 개념,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를 반성적으로 돌아본다. | 2024 | |||||||||||||||
33 | 리스본 비트 | Lisbon Beat | 리타 마이아, 바스코 비아나 | Rita Maia, Vasco Viana | 포루투갈 | 다큐멘터리 | 2019 | 65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530 | 복잡한 정체성 혼란의 도시에 자신들이 살아갈 터전을 마련하는 뮤지션들의 삶을 통해 리스본 교외 지역의 풍경을 들여다본다. 아프리카 앙골라에서 상투메, 카보베르데, 기니비사우까지, 다양한 배경과 세대의 만남을 연륜 있는 음악가들과 젊은 프로듀서들을 통해 보여준다. | 2019 | |||||||||||||||
34 | 마더 | Mother | 크리스토프 빌슨 | Kristof Bilsen | 벨기에, 네덜란드 | 다큐멘터리 | 2019 | 82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509 | 태국의 작은 마을에서 폼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는 유럽인들을 돌보는 일을 한다. 스위스에서 새로운 환자가 왔을 때, 폼은 자기 아이들과 떨어져 살면서 환자 엘리자베스의 삶의 마지막 순간을 돌보고 있었다. 폼과 환자들은 사랑과 친절함으로 서로를 돌보며, 각자의 삶에서 잃어버린 조각들을 되찾으려 한다. | 2019 | |||||||||||||||
35 | 마이 리틀 댄싱 슈즈 | My Little Dancing Shoes | 브라이언 크리스토퍼 브라질 | Bryan Kristoffer J. Brazil | 필리핀 | 다큐멘터리 | 2018 | 52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492 | 2000년부터 댄스 스포츠는 세부에서 인기 있는 종목이다. 특히 사회 취약층 아이들에게 댄스 스포츠 선수가 되는 것은 미래를 향한 문을 여는 길이다. 영화는 세계 대회 출전을 위해 훈련하는 아이들이 눈물과 웃음을 함께하며 생존과 패배, 승리에 대해 배우는 모습을 담았다. | 2019 | |||||||||||||||
36 | 마인드 게임 | The Mind Game | 사지드 칸 나시리, 에이피어 블랑케보르트, 엘스 반 드리엘 | Sajid Khan NASIRI, Eefje BLANKEVOORT, Els van DRIEL | 네덜란드 | 다큐멘터리 | 2023 | 62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24 | 사지드 칸 나시리는 겨우 열네 살의 나이에 홀로 아프가니스탄에서 탈출했다. 위험과 고난으로 가득했던 2년간의 여정을 휴대폰 카메라로 꼼꼼히 기록한 그는 벨기에에 도착한 뒤 망명을 신청한다. 수상 경력에 빛나는 다큐멘터리 <그림자 놀이>를 긴밀히 이어 나가는 작품이다. 나시리는 벨기에에 도착하기만 하면 마음 놓고 학교에 다니며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하지만 벨기에에 도착하자마자 새로운 게임, 바로 ‘마인드 게임’이 시작된다. 어린 난민들이 직면하는 심리적 압박에 대한 밀착 다큐멘터리. | 2023 | |||||||||||||||
37 | 마지막 코뿔소 | The Last Male on Earth | 플로르 판 데르 묄렌 | Floor van der Meulen | 네덜란드, 벨기에, 독일 | 다큐멘터리 | 2019 | 72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502 | 2018년 3월, 지구상의 마지막 수컷 북방흰코뿔소가 죽었다. 그의 이름은 수단이다. 수단의 42년간 지구에서 삶과 함께 북방흰코뿔소종의 역사도 막을 내렸다. 수단이 마지막 개체가 된 순간부터 그는 보디가드들에 둘러싸였고, 관광객들은 그와 사진을 찍기 위해 줄을 섰으며 기자들이 그의 이야기를 취재하기 위해 케냐로 몰려들었다. 그리고 과학자들은 지금까지도 그의 종족을 번식시킬 방법을 찾고 있다. | 2019 | |||||||||||||||
38 | 말 끌기 좋은 날 | A Good Day for Horse Logging | 야마다 유이치로 | YAMADA Yuichiro | 일본 | 다큐멘터리 | 2021 | 10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228 | 니시노 마사토시는 말로 벌채한 나무를 옮기는 마반(馬搬) 일을 한다. 쇼와 시대에 진작 사라진 바로 그 직업 말이다. 두 딸을 양육해야 하는 그의 아내 도모코는 낭만을 좇는 한심한 남편을 보며 전전긍긍한다. 세상에 아직도 말을 끌고 숲을 누비며 나무를 하다니! 한때 일본 전역에서 빈번했던 이 일은 트랙터와 불도저가 도입되며 이미 사라진 지 오래이거늘 왜 니시노는 여전히 숲으로 향한단 말인가? 숲 밖의 생존을 걱정하는 한 여자와 숲 안의 삶을 추구하는 한 남자의 앞날은 과연 어찌 될까? | 2022 | |||||||||||||||
39 | 메뚜기 공화국 | Grasshopper Republic | 다니엘 맥케이브 | Daniel McCABE | 미국 | 다큐멘터리 | 2023 | 94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1371 | 세 계절에 걸쳐 촬영된 <메뚜기 공화국>은 현지 메뚜기 포획 팀을 따라가며, 오늘날의 포획꾼들이 이 까다로운 사냥감을 잡아 큰돈을 벌기 위해 외진 숲을 헤쳐 나가는 모습을 시네마 베리떼 형식으로 담아낸다. 관객은 무너져 내리는 진흙 둑 위로 거대한 발전기를 끌어올리는 장면을 목격한다. 화학 처리된 전구를 매단 기둥은 우듬지 위로 섬뜩한 네온 녹색 빛을 비추며 메뚜기 떼를 철제 덫으로 끌어들인다. 독특한 시각적 표현과 이질적인 세계가 충돌하면서 감정이 폭발한다. 부상과 질병, 탈진으로 고통받던 포획꾼들이 마침내 성공을 맞이하며 안도감에 휩싸인다. 한편 인공적인 덫에 걸려든 메뚜기들의 운명은 프라이팬 위에서 끝을 맺는다. 포획꾼과 메뚜기들의 관점이 교차하는 동안, 인간과 자연의 관계, 그리고 자연에 대한 인간의 집단적인 영향력에 대한 고찰의 순간이 촉발한다. | ||||||||||||||||
40 | 메이크업 아티스트 | Makeup Artist | 자파르 나자피 | Jafar Najafi | 이란 | 다큐멘터리 | 2021 | 76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191 | 학업을 이어 대학에 진학해 영화계에서 메이크업 아티스트가 되고 싶은 미나는 그 꿈 때문에 남편과 갈등을 빚고 있는 젊은 여성이다. 미나는 이혼하거나, 양육권을 넘기는 것을 포함하여 남편이 다시 결혼하도록 하는 지역 관습에 따라야 한다. 미나는 그녀의 아들도 잘 돌봐줄 만한 남편의 새 아내를 직접 구하기로 한다. 꿈을 이루기로 결심한 미나는 남편과 시어머니의 거센 반대에도 굴하지 않고 자신의 길을 개척하며 나아간다. 그러자 서서히 그녀의 주변 사람들과 그녀의 세상이 변화하는 것처럼 보인다. | 2022 | |||||||||||||||
41 | 멧돼지 사냥 | Wild Boar Hunting | 김민지 | KIM Min Ji | 한국 | 다큐멘터리 | 2016 | 65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248 | 경남 통영의 작은 섬 두미도. 오늘도 이곳 주민들은 고통과 시름으로 밤잠을 이루지 못한다. 10여 년 전 갑자기 나타나 이 섬의 주인이 된 멧돼지 때문이다. 멧돼지들은 농작물을 먹어 치워 한 해 농사를 망치는가 하면, 민가까지 출몰해 발자국을 남기고 공포에 떨게 한다. 마을 사람들의 멧돼지에 대한 미움이 하늘을 찌르던 때, 통영의 유명한 멧돼지 사냥꾼이 섬을 찾아온다. 사냥꾼은 두미도의 멧돼지들을 소탕하기 위해 깊은 산을 오르는데… | 2016 | |||||||||||||||
42 | 몰렌베크의 아이들 | Gods of Molenbeek | 리에타 후타넨 | Reetta Huhtanen | 핀란드, 벨기에, 독일 | 다큐멘터리 | 2019 | 73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488 | 브뤼셀의 몰렌베크는 누군가에게는 지옥이자 지하드 전사들의 중심지이지만, 6살 소년들 아토스와 아민에게는 즐거운 집이다. 둘은 같은 건물에 살지만 철저하게 다른 두 세계에서 왔다. 둘 사이에서 핀란드가 모로코를 만나고, 무신론이 이슬람과 어울린다. 아토스와 아민에게는 그들이 생각해낸 많은 신들이 있고, 브뤼셀에서 테러가 일어나 그 다양하고 조화로운 세계를 망가뜨리기까지 신에 대한 장난스러운 이론적 토론들로 시간을 보냈다. | 2019 | |||||||||||||||
43 | 무인 전쟁 | War and Games | 카린 유르시크 | Karin JURSCHICK | 독일 | 다큐멘터리 | 2016 | 53min | https://www.eidf.co.kr/dbox/movie/view/272 | 드론, 원격조종 무기, 그리고 전쟁 로봇들은 전쟁 기술의 새로운 장이다. 스크린으로 이것들을 조종하는 것은 컴퓨터 게임과도 같다. 이 새로운 원격조종 기술은 우리에게 정찰에 대한 정보와 안보를 보장해 주는 것일까, 아니면 우리를 감시하는 상태를 포장하는 것일까? 전쟁의 미래를 바꿀 뿐 아니라, 시민들의 삶, 그리고 윤리와 도덕을 바라보는 우리의 생각까지도 바꿀 기술 발전에 대한 다큐멘터리. | 2016 | |||||||||||||||
44 | 미드나잇 카우보이의 전설 | Desperate Souls, Dark City and the Legend of Midnight Cowboy | 낸시 버스키 | Nancy BUIRSKI | 미국 | 다큐멘터리 | 2022 | 101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71 | 이 영화는 〈미드나잇 카우보이〉(1969)의 제작 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가 아니다. 인간미 넘치고 획기적인 걸작과 이를 만든 불완전하지만 재능있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이다. 문화적 혁명, 정치 사회적 변화, 깨어진 꿈과 노력을 다룬 이 영화는 격동기였던 당시의 이야기이자 지금의 이야기다. 영화를 만든 시대와, 그 시대가 만든 영화를 돌아보는 다큐멘터리. | 2024 | |||||||||||||||
45 | 미워할 수 없는 녀석들 | Don't Be a Dick about It | 벤 멀린코슨 | Ben Mullinkosson | 미국 | 다큐멘터리 | 2018 | 69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460 | 빨간 머리 형제 피터와 매튜는 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다. 그들은 서로를 좋아하는 만큼 끊임없이 다툰다. 피터는 TV 프로그램 <서바이버>에 빠져 있어서 매일 <서바이버>의 탈락 장면을 고집스럽게 재현한다. 동생 매튜는 개를 무서워하는 것을 이겨내려고 한다. 형제는 서로의 단점을 받아들이면서도 놀려대느라 바쁘고, 그들의 서로에 대한 조건 없는 사랑이 영화 내내 생생하게 드러난다. | 2019 | |||||||||||||||
46 | 발레 보이 | Ballet Boys | 케너트 엘베바크 | Kenneth Elvebakk | 노르웨이 | 다큐멘터리 | 2014 | 73min | https://www.eidf.co.kr/dbox/movie/view/147 | 루카스, 쉬베르트, 토르게이르는 발레를 전공하는 소년들이다. 그들의 공통된 소원은 노르웨이 발레 아카데미에 들어가는 것이다. 소년들은 발레를 위해 또래의 친구들이 누리는 삶을 기꺼이 포기하고, 쉬는 시간도 없이 훈련에 매달린다. 이제 심사위원들의 결정에 그들의 미래가 달려 있다. 전문 발레 댄서를 꿈꾸는 소년들의 매혹적인 성장담. | 2015 | |||||||||||||||
47 | 발헨 호수의 비밀 | Walchensee Forever | 야나 지 원더스 | Janna Ji WONDERS | 독일 | 다큐멘터리 | 2020 | 110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60 | 야나 지 원더스 감독은 자신의 가족의 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 <발헨 호수의 비밀>에서 지난 100년에 걸쳐 이어져온 여성 4명의 삶을 들여다본다. 삶과 사랑, 그리고 죽음을 좇는 여정에서 정체성, 뿌리, 그리고 자아 실현에 대한 질문이 던져진다. 이는 영원히 반복되는 삶과 죽음에 대한 개인적인 이야기다. | 2023 | |||||||||||||||
48 | 백래시: 디지털 시대의 여성혐오 | Backlash: Misogyny in the Digital Age | 레아 클레르몽 디온, 길레인 마로이스트 | Léa CLERMONT-DION, Guylaine MAROIST | 캐나다 | 다큐멘터리 | 2022 | 80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36 | <백래시: 디지털 시대의 여성혐오>는 관객을 온라인 여성 혐오의 소용돌이 한가운데로 데려가 여성에 대한 증오를 기록한다. 심리 스릴러를 연상시키는 이 암울한 작품은 추악한 온라인 협박과 괴롭힘의 피해자가 된 네 명의 여성을 두 대륙에 걸쳐 따라간다. 가상 폭력에 시달리는 삶은 어떤 모습인가? 이 작품은 피해자들의 일상을 면밀히 추적하며 그 실상을 보여주고자 한다. 공포 영화를 볼 때처럼, 관객은 피해자들을 공격하는 증오의 물결, 사생활까지 만연히 스며든 공포, 공공장소에서 느끼는 안전감의 부재를 실시간으로 목격할 것이다. | 2023 | |||||||||||||||
50 | 버디, 인생의 동반자 | Buddy | 헤디 호너흐만 | Heddy Honigmann | 네덜란드 | 다큐멘터리 | 2018 | 86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501 | 주인의 삶에서 없어서는 안될 특별한 개 여섯 마리에 대한 영화이다. 개들은 주인들의 쉽지 않은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특별히 훈련 받았고, 주인들은 개들의 이 특별한 능력 덕분에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다. 영화는 등장인물들의 불굴의 의지, 그리고 개와 사람 사이의 깊은 유대감에 바치는 송가이다. | 2019 | |||||||||||||||
51 | 버마 VJ | Burma VJ - Reporting froma Closed Country | 안데르스 외스터가르트 | Anders Østergaard | 덴마크 | 다큐멘터리 | 2008 | 84min | https://www.eidf.co.kr/dbox/movie/view/67 | 2007년, 군사독재에 반대하는 승려들의 평화시위 장면이 위성을 통해 방송되며 세계는 미얀마의 정치상황을 주목하게 되었다. 이 영상을 찍은 단체는 DVB(The Democratic Voice of Burma). DVB 리포터들이 생명의 위협을 무릅쓰고 촬영한 독점 영상을 편집한 작품으로, 혼돈의 중심에서 진실을 전하고자 하는 생생함이 그대로 전해진다. | 2009 | |||||||||||||||
52 | 베르메르에 가까이 | Close to Vermeer | 쉬자너 라에스 | Suzanne RAES | 네덜란드 | 다큐멘터리 | 2023 | 79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70 | 사상 최대 규모 베르메르 전시회의 개최 과정을 독특한 통찰력으로 담아낸 작품. 영화는 요하네스 페르메이르(베르메르)를 새롭게 조명하기 위해 노력하는 국립미술관의 큐레이터와 보존 전문가를 따라가며, 작품을 네덜란드로 가져가는 데 필요한 외교부터 그림을 한 겹씩 스캔하면서 얻은 새로운 지식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보여준다. | 2024 | |||||||||||||||
53 | 베이루트: 폭풍의 눈 | Beirut: Eye of the Storm | 마이 마스리 | Mai Masri | 레바논 | 다큐멘터리 | 2021 | 75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189 | 베이루트에 사는 네 젊은 여성들이 격동하는 최근 레바논 현대사를 기록한다. 연이은 반정부 시위와 그로 인한 사회 봉쇄, 이후 몇 달이 채 가기 전 벌어진 베이루트 폭발 사고를 아우른다. | 2022 | |||||||||||||||
54 | 보사노바의 목소리, 미우샤 | Miúcha - The Voice of Bossa Nova | 릴리안 무티, 다니엘 자르보스 | Liliane MUTTI, Daniel ZARVOS | 미국, 브라질 | 다큐멘터리 | 2022 | 98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49 | <보사노바의 목소리, 미우샤>는 미우샤와 주앙 지우베르투의 16mm 홈 무비, 일기, 편지, 개인 녹음 작업을 통해 보사노바의 역사에 대한 페미니스트의 관점을 보여준다. 이 영화는 1962년부터 1982년에 이르기까지의 20년 동안 가수가 되기 위한 미우샤의 고군분투, 그녀와 주앙 지우베르투 사이의 파란만장한 결혼 생활을 다룬다. 미우샤의 일기, 편지, 수채화 등을 통해 시대의 변화와 성공, 가난, 광기의 순간을 겪은 두 예술가의 굴곡을 살펴 볼 수 있다. 미우샤는 보사노바의 황금 트리오인 톰 조빙,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 주앙 지우베르투와 작곡, 녹음, 공연을 함께한 유일한 여성 아티스트이기도 하다. 미우샤는 안티 뮤즈로서 남성 서사에 균열을 내고 보사노바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를 들려준다. | 2023 | |||||||||||||||
55 | 북경의 별 | Beijing Spring | 앤드루 코언, 게일런 로스 | Andrew COHEN, Gaylen ROSS | 중국 | 다큐멘터리 | 2021 | 102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64 | 경찰이 싱싱화후(星星畫會)의 도발적인 예술 공연을 중단시키고 활동가 웨이징성을 체포하자 수천 명이 천안문 광장에서 표현의 자유를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 이는 공산주의 통치 하에서 처음으로 일어난 시위였다. 영화감독 치샤오닝은 이 사건을 비밀리에 기록했고, 수년간 숨겨져 있던 그의 영상이 이제 공개된다. | 2024 | |||||||||||||||
56 | 북해의 청어잡이 | Raw Herring | 레오나르드 레텔 헴리히, 헤티 나이켄스-레텔 헴리히 | Leonard Retel Helmrich, Hetty Naaijkens-Retel Helmrich | 네덜란드 | 다큐멘터리 | 2013 | 75min | https://www.eidf.co.kr/dbox/movie/view/43 | 천연자원도 부족하고 지대가 낮아 늘 바닷물에 잠기는 척박한 환경의 네덜란드는 청어잡이를 통해 해상 무역으로 번영을 맞을 수 있었다. 아버지에서 아들로 대를 이어가던 청어잡이의 시대는 저물어 가고 있지만, 오늘도 청어잡이 어부들은 북해의 높고 거친 파도를 헤치고 바다 한복판으로 나아간다. 감독 레오나르드 레텔 헴리히는 특유의 싱글샷 카메라 기법으로 청어를 잡는 배 위 어부들의 일상을 역동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 2013 | |||||||||||||||
57 | 블랙 맘바스 | Black Mambas | 레나 카르베 | Lena Karbe | 프랑스, 독일 | 다큐멘터리 | 2022 | 81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183 | ‘블랙 맘바스’는 남아프리카 최초로 여성으로만 구성된 밀렵 방지 부대로서 크루거 국립공원에서 흔히 ‘빅 파이브’로 불리는 코끼리, 들소, 사자, 표범, 코뿔소를 보호하고 있다. 대부분 백인 남성으로 구성된 환경보호국에 의해 주요 홍보 수단으로 선택된 이들은 미래로의 전진과 식민지 과거로의 회귀 중 택일해야 한다. | 2022 | |||||||||||||||
58 | 블루 아일랜드 | Blue Island | 천쯔운 | CHAN Tze-woon | 홍콩, 일본 | 다큐멘터리 | 2022 | 97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66 | 젊은 시절 저항 운동에 참여했던 세 명의 실존 인물을 기록한 이 작품은, 2019년 홍콩에서 벌어진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 반대 운동에 참여했던 네 명의 젊은이를 통해 그들의 상처받은 기억과 경험을 극적으로 그려낸다. 실제 주인공들은 시간과 역사를 거쳐 서로 떨어져 있지만, 그들의 삶은 평행적으로 얽혀있다. 다큐멘터리와 드라마를 넘나드는 이미지의 흐름은 아카이브 자료, 인터뷰, 비하인드 영상을 혼합하여 격동의 시대를 아우르는 광대한 태피스트리를 짜낸다. | 2023 | |||||||||||||||
59 | 비러브드 | Beloved | 야세르 탈레비 | Yaser Talebi | 이란 | 다큐멘터리 | 2018 | 61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458 | 자연 속에서 홀로 살아가는 80세 할머니의 현실적 삶에 대한 다큐멘터리. 하지만 그녀는 자신의 삶을 사랑한다. 영화는 친절하고 다정한 어머니이자 삶의 힘든 순간들에 정면으로 맞서며 자연과 사랑하는 가족들을 포기하지 않는 용감하고 강한 그녀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남성적인 강인한 삶을 살면서도 그녀는 그러한 삶을 시적으로 만들어간다. | 2019 | |||||||||||||||
60 | 빛의 건축가 렌조 피아노 | Renzo Piano, The Architect of Light | 카를로스 사우라 | Carlos Saura | 스페인 | 다큐멘터리 | 2018 | 70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513 | 특별한 건물 보틴센터, 동시대의 천재 건축가 렌조 피아노, 그리고 또 다른 동시대의 천재 영화 감독 카를로스 사우라. 둘은 건축과 영화의 관계에 대한 그들의 견해를 풀어놓으며 렌조 피아노가 상상했던 거대한 건물을 둘러싼 마술 같은 모습들을 보여준다. 보틴센터는 세월을 거치며 변치 않는 도시의 영혼으로 조화되어 간다. | 2019 | |||||||||||||||
61 | 사라지는 유목민 | The Fading Nomads | 웨이성저 | WEI Shengze | 중국 | 다큐멘터리 | 2021 | 75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190 | 중국 신장 최서단 국경 지역에 “이터널(영원)”이라 불리는 고산지대 초원이 있다. ⟨사라지는 유목민⟩은 이곳에 사는 몽골 마지막 유목민들이 정착 생활로 삶의 방식을 전환하는 힘든 과정과 극적인 변화를 18년에 걸쳐 담는다. (19회 서울국제환경영화제) | 2022 | |||||||||||||||
62 | 사빈 바이스, 한 세기의 기록 | Sabine Weiss, One Century of Photography | 카미유 매나지 | Camille MÉNAGER | 프랑스 | 다큐멘터리 | 2022 | 52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47 | 사빈 바이스(1924-2021)는 거의 한 세기 동안 수천 명의 얼굴, 유명 잡지에 실린 최고의 패션 디자이너 컬렉션, 지금은 사라진 파리의 노동 계급, 전 세계의 사진 보도 등 다방면에 걸쳐 기념비적 작품을 남겼다. 사회의 변방에 초점을 맞춘 바이스는 뛰어난 20세기의 증인이었다. 이 작품은 일생을 열정적인 작업에 바친 한 아티스트의 초상을 최초로 그려내며, 휴머니즘 사진 분야의 가장 위대한 여성이 남긴 마지막 말을 기록한다. | 2023 | |||||||||||||||
63 | 산불 전망대 위에서 | Fire Tower | 토바 크렌츠먼 | Tova KRENTZMAN | 캐나다 | 다큐멘터리 | 2023 | 48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80 | 기술이 우리 생활 전반에 침투해 있지만 화재를 감시하는 장소인 산불 전망대는 여전히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영화는 30여 미터 위 높이에서 숲을 내려다보며 외딴 풍경 속 극한의 생활 조건을 견뎌야 하는 화재 감시인의 세계로 우리를 이끈다. | 2024 | |||||||||||||||
64 | 삼형제 이야기 | The Mountains | 크리스티안 아인스호이 | Christian EINSHØJ | 덴마크 | 다큐멘터리 | 2023 | 87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38 | 형의 비극적인 죽음 이후 20년이 지난 지금, 크리스티안 아인스호이 감독의 가족은 붕괴하고 있다. 홈 비디오로 촬영한 30여 년간의 기록, 75,000장의 가족사진, 몸에 꽉 끼는 슈퍼히어로 의상 세 벌로 무장한 크리스티안은 25년 전의 비극과 그로 인해 남은 숨겨진 상처들을 마주하기 위해 오랜 시간 잊혀 있던 시간의 풍경 속으로 모험을 떠난다. 이 작품은 아버지와 아들, 방대한 우표 컬렉션과 아마추어 영상, 그리고 장거리 비즈니스 클래스 비행처럼 우리가 상처에 대한 대화로부터 도망치려고 선택하는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 작품은 또한 마침내 침묵이 깨지고 가족이 산등성이의 이면에 도달했을 때 뒤따를지 모르는 구원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 2023 | |||||||||||||||
65 | 샤부 | Shabu | 샤미라 라파엘라 | Shamira Raphaëla | 네덜란드, 벨기에, 독일 | 다큐멘터리 | 2021 | 75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207 | 네덜란드령 안틸 제도 출신의 열네 살 샤부는 네덜란드 남로테르담에서 가장 악명 높은 지역 중 하나에 위치한 도심 아파트 ‘더 페이퍼클립’에 거주한다. 그의 꿈은 유명한 음악가가 되는 것이다. 우리는 이 따뜻한 영화를 통해 그가 바라보는 활기차고 발랄하며, 흥미롭고 재미있는 동네로 들어간다. 주민 모두가 서로를 알고 도와주는, 다채롭고 사랑이 넘치는 그런 동네로. 그리고 이번 여름, 샤부는 역경에 처했고 그들의 도움이 필요하다. 그는 자신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여성인 할머니를 화나게 하는데, 바로 할머니가 수리남에서 휴가를 보내는 동안 차를 몰고 나갔다가 사고를 낸 것. 그는 음악 경력을 쌓는 대신 피해 보상을 하기 위해 뭐든 해야 한다. 한편 그는 첫 연애를 하지만 사랑은 쉽지 않다. 샤부는 친구, 가족, 연애, 음악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법을 배운다. 〈샤부〉는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좋은 가족 영화이다. 뜨거운 여름과 삶에 대한 갈증을 가진 소년이 꿈을 좇는 동시에 자신의 실수에 쫓기는 이야기이자, 할머니, 엄마, 여자친구 등 그에게 중요한 여성들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사랑하는 사람들이 자신을 다시금 자랑스럽게 생각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모든 재능을 동원하는 샤부의 여정이 펼쳐진다. | 2022 | |||||||||||||||
66 | 섀도 월드 | Shadow World | 요한 흐리몬프러 | Johan GRIMONPREZ | 미국, 프랑스 | 다큐멘터리 | 2016 | 94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236 | 영국 항공방위 산업체 BAE와 록히드 마틴사에 대한 조사를 통해 세계 최고위층 사이에 무기 거래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이와 관련된 부정부패가 외교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룬 다큐멘터리. 나아가, 영화는 무기 거래가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국제 안보정세와 끊임없이 계속되는 전쟁의 국면을 어떻게 변화시키며, 이 같은 무기들이 우리를 어떻게 공격하고 미래 기술을 얼마나 위협하는지에 대해 경고한다. | 2017 | |||||||||||||||
67 | 석양의 빛: 디아스포라 이야기 | Light of the Setting Sun | 비키 두 | Vicky DU | 미국 | 다큐멘터리 | 2023 | 74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52 | 대만계 미국인 감독이 1949년 중국 공산주의 혁명 이후 지속되어 온 폭력의 순환에 대한 가족의 침묵에 질문을 던진다. 이 영화는 말하지 못한 이야기를 시적으로 그린 가족의 초상화이다. | 2024 | |||||||||||||||
68 | 선생 | The Teacher Who Lived Before | 이규대 | LEE Gyudae | 대한민국 | 다큐멘터리 | 2024 | 57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90 | 교사로 일하던 딸이 학교에서 마음의 상처를 받고 스스로 세상을 떠났다. 도예가인 아버지는 실의에 빠져 오랫동안 가마에 불을 피우지 못했다. 딸의 죽음 후 15개월이 지나서야 다시 도자기를 굽게 된 아버지는, 타오르는 불꽃을 바라보며 딸을 위한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다. 사망 교사의 유가족이자 예술가의 가장 개인적인 이야기를 통해 대한민국 교육의 아픔을 직시하고 치유의 실마리를 발견한다. | 2024 | |||||||||||||||
69 | 세자리아 에보라, 삶을 노래하다 | Cesaria Evora | 아나 소피아 폰세카 | Ana Sofia FONSECA | 포르투갈 | 다큐멘터리 | 2022 | 94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50 | 세자리아 에보라는 맨발의 디바로 알려져 있다. 이 작품은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영상과 에보라의 삶에 대한 통찰을 통해 아프리카 최초의 목소리가 세계적인 명성을 얻기까지 겪었던 어려움과 성공을 추적한다. 에보라는 목소리 덕분에 가난에서 벗어나 스타덤에 올랐지만, 그녀의 유일한 꿈은 오직 자유로워지는 것이었다. | 2023 | |||||||||||||||
70 | 소녀의 꿈 | The Dream of a Horse | 마르얀 코스라비 | Marjan KHOSRAVI | 이란 | 다큐멘터리 | 2022 | 25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51 | 2023 | ||||||||||||||||
71 | 스라소니 맨 | Lynx Man | 유하 수온페 | Juha SUONPAA | 핀란드 | 다큐멘터리 | 2023 | 80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81 | 이혼에 잇따른 사고 이후 핀란드 서부에 있는 본인 소유의 농장에서 혼자 살고 있는 한누. 길가에서 죽은 스라소니를 발견한 한누는 마치 오랜 친구를 만난 것 같은 기분에 휩싸이고, 어린 시절 그 지역에 살던 스라소니가 다시 돌아왔음을 깨닫는다. 새로운 활력과 삶에 대한 욕망으로 가득 찬 한누는 자신의 땅 곳곳에 트레일 카메라를 설치한다. | 2024 | |||||||||||||||
72 | 스칼라 극장 | Scala | 아난타 티타낫 | Ananta Thitanat | 태국 | 다큐멘터리 | 2022 | 65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193 | 시암 광장의 최초 독립형 영화관 시암과 리도가 불타 없어진 이후 스칼라 극장은 2020년 코로나 타격을 받기 전까지 운영된 방콕의 마지막 독립영화관이었다. 마지막 영화 상영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스칼라 극장은 문을 닫을 것이라 선언하고, 전 직원의 딸이기도 한 영화감독은 스칼라 극장을 탐사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극장 해체를 돕고자 모인 아버지의 옛 친구를 만나 오랫동안 잊고 있던 어린 시절의 기억을 예기치 않게 마주한다. | 2022 | |||||||||||||||
73 | 스틸 라이프 | Steel Life | 마누엘 바우어 | Manuel BAUER | 페루, 스페인 | 다큐멘터리 | 2022 | 95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28 | <스틸 라이프>는 페루의 가장 중요한 국경일인 7월 28일 독립기념일 주간에 페루 중앙 철도를 따라 여행길에 나선다. 열차는 노선을 따라 주요 역을 지나며 페루인들의 일상을 스친다. 같은 철도를 공유하지만, 페루인들은 저마다 다른 경험을 갖고 일상을 살아가며 각자의 여정을 걷는다. 이 과정에서 사라지기를 거부하는 100년 된 술집, 금속 탐지기를 통과하지 못할 정도로 혈중 납 농도가 높은 아이들을 보호하려는 간호사, 그리고 주민들의 기억과 건강마저 함께 집어삼키며 자멸해 가는 어느 도시에 대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 2023 | |||||||||||||||
74 | 슬기로운 초등생활 | The Making of a Japanese | 야마자키 에마 | Ema Ryan YAMAZAKI | 일본, 미국, 핀란드, 프랑스 | 다큐멘터리 | 2023 | 99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45 | 도쿄 교외에 있는 쓰카도는 큰 규모의 일본 공립 초등학교다. 일본의 독특한 교육 시스템은 공동체의 가치와 집단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방법을 가르치기 위해 아이들로 하여금 직접 학교를 운영하게 한다. 일본 사회의 일원이 되는 데 필요한 특성을 배우는 과정을 담은 이 영화에는 어린 시절의 마법과 같은 기쁨, 눈물, 발견의 소중한 순간이 담겨 있다. | 2024 | |||||||||||||||
75 | 시간의 조란학 | O, Collecting Eggs Despite the Times | 핌 즈비어르 | Pim Zwier | 네덜란드 | 다큐멘터리 | 2021 | 80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186 | 〈시간의 조란학〉은 20세기를 배경으로 한평생을 조란학 체계 수립에 바친 독일 조류학자 막스 쇤베터를 다룬다. 조류학자, 조란학자, 원정대원들, 박물관 직원, 수집가뿐 아니라 군인들, 심지어 국가 반역자들과 교류하며 무려 19,206개의 알을 광적으로 수집, 연구하던 그의 일상 너머로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다. 영화는 쇤베터가 주고받은 서신과 역사적 사료를 기반으로 흘러간다. 내레이터 목소리로 들려주는 서신 속 구절이 콜라주를 이루고, 알 수집에 골몰한 쇤베터만의 세상과 전쟁에 휩쓸린 더 큰 세상이 아카이브 자료를 바탕으로 대조되며 재현된다. | 2022 | |||||||||||||||
76 | 싱크로나이즈 | Synchrony | 카로 블로 | Caro BLOJ | 칠레 | 다큐멘터리 | 2024 | 77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83 | 섬에 홀로 사는 74세 여성 일카는 탁 트인 바다에서 자유를 느낀다. 얼음 수영 세계 챔피언인 35세 여성 바르바라는 가장 추운 바닷물을 찾아 전 세계를 여행하며 자신을 한계까지 몰아붙인다. 일카와 바르바라가 바다와 맺는 복잡하고 이중적인 관계에는 기쁨과 고통이 뒤섞여 있지만 두 여성은 물속에서 비로소 완전해진다. | 2024 | |||||||||||||||
77 | 아무도 말하지 않는 이야기 | Family Stories Untold | 카타리나 딜 | Catarina DIEHL | 핀란드 | 다큐멘터리 | 2023 | 69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32 | <아무도 말하지 않는 이야기>는 일곱 여성의 가족에 대한 이야기를 일생에 걸친 한 편의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로 엮어낸 작품이다. 이 작품은 관객에게 가족 관계에 대해 생각해 보기를 제안한다. 우리는 왜 가족을 시작하고 아이를 낳는 것일까? 21세기에 핵가족의 역할은 무엇일까? | 2023 | |||||||||||||||
78 | 아쇼 | Asho | 자파르 나자피 | Jafar NAJAFI | Iran | 다큐멘터리 | 2019 | 29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77 | 양치기 소년 아쇼는 양들을 돌보느라 바쁘지만, 동시에 그의 사촌이 가져다 주는 할리우드 영화와 연기에 대한 열정도 가득하다. 또한, 둘의 결혼을 부추기는 마을의 전통에도 불구하고 - 혹은 바로 그 전통 때문에 - 한 소녀와 서로를 무시하려 최대한 노력한다. | 2023 | |||||||||||||||
79 | 아시안 고스트 스토리 | An Asian Ghost Story | 왕보 | WANG Bo | 홍콩, 네덜란드 | 다큐멘터리 | 2023 | 37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54 | 20세기 후반 아시아 근대화의 잊히지 않는 기억을 다룬 작품. 이야기는 '공산주의 모발 금지령'으로 알려진 1965년 미국의 머리카락 무역 금수 조치에서 출발한다. 과거 제국주의의 망령이, 가발 하나하나에 깃들어 있다. | 2024 | |||||||||||||||
80 | 아프간에서의 후퇴 | Retreat | 아나벨라 안젤로브스카 | Anabela Angelovska | 독일 | 다큐멘터리 | 2022 | 30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232 | 최근 푸틴이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잔혹한 전쟁을 시작한 이래, 전쟁이 사람들의 일상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서구 사회는 뼈저리게 경험하고 있다. 먼 일 같기만 했던 추상적인 개념의 전쟁과 그것이 가정에 미치는 실제적인 영향 사이를 잇는 건 쉽지 않은 일이지만, 이미 지난 20년 동안 북마케도니아의 일상생활에서 충분히 목격되어 왔다. 바로 수천 명의 젊은이들이 자원입대하여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 있는 미군 기지 주방과 세탁실 등에서 복무한 것이다. 그들이 벌어들인 자국 내 임금 최대 30배에 달하는 수입으로 고향의 가족들은 궁궐 같은 집과 수익성 있는 부동산에 투자했다. 하지만 2021년 여름,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군이 마지막 병력을 철수하면서 그들 대부분은 집으로 돌아왔다. 이 다큐멘터리는 전쟁, 경제, 그리고 부동산이 복잡하게 엉켜 있음을 포착한다. 또한 이주 노동자들이 치러야 할 대가와 수십 년에 걸친 전 세계 정치와 경제 위기의 손익을 폭로한다. | 2022 | |||||||||||||||
81 | 아프리카의 부처 | Buddha in Africa | 니콜 샤퍼 | Nicole Schafer |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웨덴 | 다큐멘터리 | 2019 | 90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476 | 아프리카의 한 중국계 불교 고아원에는 말라위 전 지역에서 온 고아 300명이 살고 있다. 이들 중 하나인 에녹 알루는 전통적인 마을의 삶과 중국의 유교, 불교 사상에 중점을 둔 엄격한 교리 사이에서 자라고 있다. 식민지 시절 기독교 선교지로서의 자취가 남아 있는 곳에서, 중국 이름으로 불리는 아프리카의 아이들은 중국어로 말하고, 부처를 믿으며, 쿵후를 익히기 위한 힘든 수련 과정을 거친다. | 2019 | |||||||||||||||
82 | 안개 속의 아이들 | Children of the Mist | 하레지엠 | Diem HA LE | 베트남 | 다큐멘터리 | 2021 | 90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34 | 북베트남의 안개 자욱한 산속에서 한 몽족 10대 소녀가 어린 시절과 성인기 사이의 아슬아슬한 경계를 걷는다. 3년에 걸친 기간 동안, 소수민족 소녀들은 순수함을 잃고 유혹의 함정을 발견하며 독립을 위한 투쟁을 해야만 한다. | 2023 | |||||||||||||||
83 | 안녕 내 사랑 | Bella Ciao | 줄리아 자포네지 | Giulia GIAPPONESI | 이탈리아 | 다큐멘터리 | 2022 | 92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45 | 수십 년 동안 이탈리아 사람들은 불의에 맞서 싸울 때마다 '안녕 내 사랑'이라는 곡을 불러왔다. 혹자는 이 노래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파시즘에 맞서 싸우던 이탈리아 파르티잔의 애국가라고 말하지만,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다. 이탈리아의 논밭에서 착취당하던 노동자들이 즐겨 부르던 민요였을까? 다양한 화자들의 이야기가 아카이브 자료와 함께 풍부하게 펼쳐진다. 사실, 이 노래의 기원보다 중요한 것은 자유를 부르짖는 사람들에게 이 노래가 지닌 의미일 것이다. | 2023 | |||||||||||||||
84 | 야생에서 | A Call from the Wild | 아스예이르 헬게스타 | Asgeir HELGESTAD | 노르웨이 | 다큐멘터리 | 2024 | 81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79 | 감독은 자신이 평생에 걸쳐 사진을 찍어 온 조국 노르웨이의 자연 상태를 기록한다. 자신의 농장에 있는 벌들의 삶부터 고산지대의 야생 순록, 바다 언저리의 바다오리들까지 멸종 위기에 처한 아름다운 야생의 모습을 보여주는 한편 자연을 쇠퇴하게 만든 인간의 활동을 추적한다. | 2024 | |||||||||||||||
85 | 어느 수도사의 대성당 | The Cathedral | 데니스 도브로보다 | Denis DOBROVODA | 스페인 | 다큐멘터리 | 2022 | 85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25 | 한 스페인 수도사가 수도원 생활에 적응하지 못해 쫓겨난다. 그는 우울한 마음으로 고향으로 돌아가며 결심을 굳힌다. 이후 건축에 대한 전문 지식이나 누구의 도움도 없이 홀로 거대한 성당을 건축하는 데 60년이라는 시간을 보낸 그를 마을 사람들은 광인으로 여긴다. 이제 96세에 접어든 그는 자신이 지은 무허가 성당이 철거되지 않도록 지켜내야만 한다. | 2023 | |||||||||||||||
86 | 어떤 프랑스 청년 | A French Youth | 제레미 바타글리아 | Jeremie BATTAGLIA | 캐나다, 프랑스 | 다큐멘터리 | 2024 | 84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51 | 프랑스 남부 아를에서는 '카마르그 투우'가 열린다. 북아프리카 출신의 두 청년 자와드와 벨카는 카마르그 투우에서 열정과 자유를 느낀다. 황소와의 대결을 통해 경기장에서뿐 아니라 프랑스 사회에서의 입지까지 굳힐 수 있다. 하지만 이에는 대가가 따를 것이다. | 2024 | |||||||||||||||
87 | 언제나 그 자리에 | Life as Usual | 야마다 유이치로 | YAMADA Yuichiro | 일본 | 다큐멘터리 | 2023 | 11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58 | 급성 골수성 백혈병 진단을 받은 시라사키 아키코는 일주일 내로 사망할 수도 있다는 진단을 받았지만 오랜 입원 끝에 증상이 완화되었다. 남편 세이지는 재발을 걱정하지만 아키코는 불안함에 떠는 다른 환자들을 돕기 시작한다. | 2024 | |||||||||||||||
88 | 엄마에게 보내는 편지 | Dear Mom | 할레지엠 | HA LE Diem | 베트남 | 다큐멘터리 | 2024 | 17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55 | 베트남 북서부 산간 지역에 사는 11세 몽족 소녀 송은 지난 6년 동안 어머니의 부재를 받아들이려 애써 왔다. 송이 직접 쓴 편지를 통해 아이들이 겪어 온 정서적 고통과 사회적 어려움이 드러난다. | 2024 | |||||||||||||||
89 | 영사실의 불빛 | The Return of the Projectionist | 오르한 아가자데 | Orkhan AGHAZADEH | 프랑스 | 다큐멘터리 | 2024 | 88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47 | 사미드와 아야즈는 50살의 나이 차에도 불구하고 영화에 대한 열정만은 같다. 두 사람은 아제르바이잔 언덕에 자리 잡은 마을에서 영화관을 되살리기 위한 아이디어로 가득하다. 몇 달이 흐르고 오랫동안 기다려 온 영사기 전구가 도착하자 영화관은 사람들로 문전성시다. 과연 마법은 이루어질까? | 2024 | |||||||||||||||
90 | 영혼의 눈동자 | Eyes of the Soul | 카를로타 넬손 | Carlota NELSON | 스페인 | 다큐멘터리 | 2023 | 73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72 | 스페인 사진작가 크리스티나 가르시아 로데로는 종교 행사와 이교도 행사 등 자국의 축제들을 최초로 포착했으며 프로젝트를 완료하는 데 15년이 걸렸다. 반세기가 지난 오늘날, 이 74세의 예술가는 삶과 사랑, 아름다움과 죽음이 전 세계에서 어떻게 기념되고 있는지에 대해 계속해서 기록하고 있다. 그녀의 창작 과정을 탐구하는 영화. | 2024 | |||||||||||||||
91 | 오랜 시간, 우리 | An Eternity of You and Me | 샤네 티스 | Sanne This | 덴마크 | 다큐멘터리 | 2022 | 79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206 | 뒷마당에 고양이와 닭을 키우며 살아가는 알베르트와 사네는 무엇보다도 간절히 아이를 원한다. 구체적인 노력도, 부모가 되기 위한 준비도 충분한 상황. 하지만 좋은 소식은 들리지 않고 결국 그들은 불임치료와 인공수정에 의존하게 된다. 그리스신화의 시시포스처럼, 알베르트와 사네는 결국 다시 굴러떨어질 바위를 산 정상으로 끝없이 밀어 올리는 형벌을 치르는 듯하다. 그러나 이 영화의 감독이기도 한 주인공 사네는 관객들에게 그 과정을 숨기려 하지 않는다. 산부인과 검사, 진료 예약, 연이은 임신 테스트기 음성 반응과 그들 결혼 생활의 갈등마저 모두 카메라에 담는다. 〈오랜 시간, 우리〉는 사람과 사람 사이, 뿌리 깊은 성 역할, 그리고 위기가 닥치면 묻어둬야 하는 (혹은 다시금 꺼내야 하는) 지난날의 꿈들을 무겁지 않게 얘기하는 독특한 실내극이다. | 2022 | |||||||||||||||
92 | 올모스트 데어 | Almost There | 자클린 쥔트 | Jacqueline ZÜND | 스위스 | 다큐멘터리 | 2016 | 83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423 | <올모스트 데어>는 인생의 말년에 이르러 새로운 의미와 행복을 찾아 떠나는 세 남자에 대한 이야기이다. 밥은 그의 안전한 집을 캠핑카와 바꾸고 척박한 캘리포니아 사막으로 나가서 자기 내면의 터프가이를 찾고자 한다. 드래그퀸이자 스탠드업 코미디언인 스티브는 지긋지긋한 영국을 떠나 스페인 베니돔의 콘크리트 빌딩 사이에서 자신의 과거와 화해한다. 야마다는 도쿄의 아이들에게 이야기책을 읽어주며 비로소 웃음을 되찾는다. | 2018 | |||||||||||||||
93 | 완벽한 하루 | A Perfect Day | 채라다 | CHAE Rada | 대한민국 | 다큐멘터리 | 2024 | 75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88 | 경기도 용인에 있는 한 호스피스 병원. 2023년 봄부터 가을까지 약 5개월간 ‘호스피스와 그 안의 사람들’을 관찰한 영상 기록을 통해, 죽음을 앞둔 이들에게 필요한 현대 의학의 역할과 우리 사회의 시선은 무엇인지를 보여 준다. 질병의 고통에 시달리며 삶의 끝에 선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은 과연 무엇인가? 죽어감과 죽음 앞에서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것, 누군가의 ‘하루’를 가능케 하는 것은 과연 무엇인가? | 2024 | |||||||||||||||
94 | 우리가 있을 곳은 | Where We Belong | 자클린 쥔트 | Jacqueline Zund | 스위스 | 다큐멘터리 | 2019 | 78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467 | 부모들이 갈라서고 가족들도 흩어졌다. 한때는 한 가족이었지만 이제는 두 개의 세계로 갈라졌다. 그 과도기에서 아이들은 두 가정을 오가며 산다. 영화는 아이들의 현실에 다가가 아이들이 얼마나 연약한지, 하지만 얼마나 용감하고, 똑똑하면서도 흥미롭게 상황을 받아들이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 2019 | |||||||||||||||
95 | 우리의 목소리 | Be My Voice | 나히드 페르손 | Nahid Persson | 스웨덴, 미국, 이란, 영국, 노르웨이 | 다큐멘터리 | 2021 | 83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198 | 언론인이자 사회운동가인 마시 알리네자드는 히잡 착용이 강요되는 사회에 저항하는 수백만의 이란 여성들의 목소리를 SNS를 통해 대변하고 있다. 그녀는 미국으로의 망명이 가져다준 표현의 자유를 활용하여 시위를 진두지휘하였고, 어느덧 이를 이란에서 가장 큰 시민 불복종 운동으로 성장시켰다. 이란 정부의 통제가 강화되고 폭력과 핍박이 그녀의 가족들로 향할 때마다 마시의 의지는 시험대에 오른다. | 2022 | |||||||||||||||
96 | 우아한 죽음 | The Good Death | 토마스 크루파 | Tomas Krupa | 슬로바키아, 체코, 프랑스, 오스트리아 | 다큐멘터리 | 2018 | 83min | https://dbox.ebs.co.kr/dbox/movie/view/507 | 불치병에 걸린 자넷은 우아하게 죽음을 맞이하고 싶지만 영국 법으로는 그녀가 바라는 죽음이 금지되어 있다. 참기 힘든 고통 속에서 자넷은 죽음을 기다리길 거부하며 스위스에서의 안락사를 선택한다. 마지막 여행을 떠나기 전, 그녀는 이러한 결심을 가족들과 가까운 친구들에게 설명해야 한다. | 2019 | |||||||||||||||
97 | 이니나와 | ININNAWA: An Island Calling | 아르판 사브란 | Arfan SABRAN | 인도네시아 | 다큐멘터리 | 2022 | 73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35 | 인도네시아에는 2억 6,500만 명의 인구가 17,000여 개의 섬에 흩어져 살고 있다. 모녀는 플로레스 해의 외딴섬에서 평생을 의료 서비스에 헌신해 온 한 가족의 이야기를 통해 세계에서 가장 큰 군도 국가가 국민에게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직면한 어려움을 탐구한다. 미미는 최근까지 도시에 있는 학교에 첫 아이를 맡기고 섬에서 막내 아이를 돌보며 일해온 어머니다. 라비아는 간호사이자 어머니로서 은퇴를 준비하며, 섬 주민들에 대한 전적인 책임을 딸 미미에게 물려줄 준비를 하고 있다. 미미는 얼마나 오랫동안 어린 자녀와 남편을 떠나 마음을 굳게 먹고 일할 수 있을까. 또 라비아는 언제까지 섬의 부름으로부터 거리를 둘 수 있을까. | 2023 | |||||||||||||||
98 | 이란 부인의 이런 남편 | Mrs. Iran's Husband | 마르잔 호스라비 | Marjan KHOSRAVI | 이란 | 다큐멘터리 | 2023 | 27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61 | 한 가족이 외딴 산속에서 살고 있다. 남편인 술탄 모하메드는 절대적인 권위로 가정을 다스리며 두 아내와 자식들에게 복종을 요구한다. 술탄이 세 번째 아내를 들이려 하자 두 아내는 입장 차를 보인다. | 2024 | |||||||||||||||
99 | 인생은 아름답다 | Life Is Beautiful | 모하메드 자발리 | Mohamed JABALY | 팔레스타인, 노르웨이 | 다큐멘터리 | 2023 | 90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487 | 노르웨이에 발이 묶인 감독 자발리가 팔레스타인인이자 영화감독으로서 자신의 권리를 찾기 위해 싸운다. 자발리는 개인 아카이브와 영상 통화를 통해 고향과 친구들, 가족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을 공유한다. 이 영화는 가자 지구와 제2의 고향 트롬쇠, 그리고 이야기가 가진 강력한 힘에 부치는 일종의 러브레터이다. | 2024 | |||||||||||||||
100 | 전장을 지배하다, 잠수함 U-96 | U-96, The True Story of 'Das Boot' | 라파엘 밀레 | Raphaël MILLET | France,Belgium | 다큐멘터리 | 2023 | 70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41 | 사건 발생 후 80년이 흐른 현재, 영화 <특전 유보트>는 40년 전의 이미지와 증언을 통해 예기치 못했던 방식으로 페테르젠이 창조한 픽션 속의 현실을 조명한다. U-96의 일곱 번째 전투 순찰 과정을 픽션으로 담아낸 이 작품의 세계적인 흥행 이후, 해당 잠수함은 히틀러 시대의 잠수함 중에서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가장 유명한 잠수함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이 특별한 잠수함과 승무원들의 이야기는 허구를 훨씬 뛰어넘는다. <특전 유보트>의 성공은 볼프강 페터젠에게 할리우드로 향하는 문을 열어주었을 뿐만 아니라, 그 이후로 미국 영화계에서 제작된 모든 잠수함 전쟁 영화의 기준을 세웠다. 이는 궁극적으로 히틀러의 프로파간다 이미지와 오늘날 할리우드 영화의 이미지가 지닌 힘 사이에 존재하는 간접적이고 때로는 무의식적인 관계에 대한 더 폭넓은 성찰의 길을 제시한다. | 2023 | |||||||||||||||
101 | 전쟁 일기 | The War Diary | 하콥 멜코냔 | Hakob MELKONYAN | 프랑스, 아르메니아 | 다큐멘터리 | 2023 | 85min | https://www.eidf.co.kr/kor/movie/view/1326 | 컨템포러리 로드 무비 <전쟁 일기>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아르메니아, 조지아의 현재 현실과 역사를 대면한다. 감독 하콥 멜코니안은 한 장의 특별한 문서로 인해 일생일대의 여정에 나서게 된다. 2차 세계대전 당시 할아버지가 남긴 일기를 받은 아르메니아 출신 영화감독은 소련군의 발자취를 따라 당도한 영토에서 오늘날의 현실을 발견하기로 결심한다. 소련 붕괴 후 독립한 아르메니아, 조지아, 우크라이나는 현재 무수한 치명적 분쟁으로 분열되어 있다. <전쟁 일기>는 매우 개인적인 탐구인 동시에 이들 국가의 지정학적 맥락을 조명한다. | 2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