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CDEFGHIJKLMNOPQRSTU
1
서적명권수바로가기오류신고 내용오류 처리 결과비고
2
검요상권
https://mediclassics.kr/books/115/volume/1/#content_204
"남편이 늙었다지만 아이를 기대해 볼 수도 있었겠건만"

주석에 [sm/ 문법이 들어가 있습니다.
문법 오류를 수정하였습니다.
3
검요상권
https://mediclassics.kr/books/115/volume/1/#content_204
" 놋그릇 장수의 부인으로 떠돌아다니다가, 갑자기 남편이 죽었다"

주석에 [sm/ 문법이 들어가 있습니다.
문법 오류를 수정하였습니다.
4
검요하권
https://mediclassics.kr/books/115/volume/2/#content_363
"전에는 어찌 불손하게 굴다가 나중에는 공손해지는가"

주석에 [sm/ 문법이 들어가 있습니다.
문법 오류를 수정하였습니다.
5
급유방권13
https://mediclassics.kr/books/6/volume/13/#content_262
金銀花
금은화
1.127본초
1
金銀花甘溫, 花與莖葉同功, 治外感寒熱, 諸般瘡癰腫毒. ○忍冬藤煮汁, 釀酒飮, 補虛療風, 輕身益壽, 臘月採, 常服, 古方云, 誰知至賤之中, 乃有殊常之功.乾者力不及生.
금은화는 성미가 달고 따뜻하다. 꽃과 줄기와 잎은 효능이 같다. 한사나 열사에 외감된 경우 및 여러 가지 창이나 옹저나 부종의 독기를 치료한다. ○인동등 달인 물로 술을 담아 마시면 허로를 보하고 풍증을 치료하며 몸을 가볍게 하고 수명을 늘린다. 섣달에 채취하여 늘 복용한다. 옛 방서에 '누가 알리오, 지극히 보잘것없는 것들 중에, 이것이 비범한 효능이 있는 줄.'이라고 하였다.말린 것은 효능이 생것보다 못하다.

금은화 약성 을 잘살펴보겠습니다;
늘 이용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6
동의보감내경편 권02
https://mediclassics.kr/books/8/volume/2/#content_425
"見鬼神者"
유문사친
鬼神者
해당 문구에 유문사친의 교감기를 달아두었습니다.
7
동의보감내경편 권02
https://mediclassics.kr/books/8/volume/2/#content_425
" 陰水盛于下"
유문사친
陰火盛於下
해당 문구에 유문사친의 교감기를 달아두었습니다.
8
동의보감내경편 권02
https://mediclassics.kr/books/8/volume/2/#content_425
"陰司"
유문사친
陰府
해당 문구에 유문사친의 교감기를 달아두었습니다.
9
동의보감내경편 권03
https://mediclassics.kr/books/8/volume/3/#content_1511
"蟲"
한의학 고전DB 안에서는 구충, 관중환, 오장충 등 세부 내용 부분의 "䖝"이 "蟲"으로 표기되어있음.
동의보감 서적 내에서는 "䖝"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서적 표기법 그대로 표기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요? 확인 부탁드립니다.
한의학고전DB에서는 검색의 정확도를 위하여 이체자나 속자가 명확한 한자에 대해서는 별도표기 없이 본자로 교정하여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이점을 참고하여 양해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10
동의보감잡병편 권03
https://mediclassics.kr/books/8/volume/11/#content_232
"水當養於木, 血當養於肝"
於는 목적격으로 해석해야...수는 당연히 목을 기르고 혈은 당연히 간을 기른다.
"수(水)는 목(木)에서 기르는 것을 담당하고, 혈(血)은 간에서 기르는 것을 담당한다."로 처리되었습니다.
11
동의보감잡병편 권05
https://mediclassics.kr/books/8/volume/13/#content_371
"方見氣門"
→ 方見前陰
해당 부분에 교감기 주석이 달려 있습니다. 교감기에서 번역에 내용이 반영된 경우는 글자 앞에 "*"표시를 달아두었으니 참고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12
동의보감잡병편 권07
https://mediclassics.kr/books/8/volume/15/#content_984
"傅"이 "敷"
삼인방 : 以滓敷病處
해당 문구에 삼인방의 교감기를 달아두었습니다.
13
동의보감잡병편 권07
https://mediclassics.kr/books/8/volume/15/#content_985
"傅"
동일
해당 문구에 삼인방의 교감기를 달아두었습니다.
14
동의보감잡병편 권07
https://mediclassics.kr/books/8/volume/15/#content_986
"傅"
동일
해당 문구에 삼인방의 교감기를 달아두었습니다.
15
동의보감잡병편 권07
https://mediclassics.kr/books/8/volume/15/#content_987
"傅"
동일
해당 문구에 삼인방의 교감기를 달아두었습니다.
16
동의보감잡병편 권09
https://mediclassics.kr/books/8/volume/17/#content_935
"무과성허"
==> 무과성하
"무과성하"로 처리되었습니다.
17
동의보감잡병편 권09
https://mediclassics.kr/books/8/volume/17/#content_958
"산제로 만들어 먹는 데"
==> 먹는데
"산제로 만들어 먹는데"로 처리되었습니다.
18
동의보감잡병편 권10
https://mediclassics.kr/books/8/volume/18/#content_423
"붉은 말의 껍질을 깔고"
==> 가죽
"붉은 말의 가죽을 깔고" 로 처리되었습니다.
19
동의보감잡병편 권10
https://mediclassics.kr/books/8/volume/18/#content_424
"석연(石燕)을"
==> 석연자를
"석연자(石燕子)를"로 처리되었습니다.
20
동의사상신편외편
https://mediclassics.kr/books/9/volume/2/#content_998
방제 4.1.3 조위승청탕 한글 번역 부분에 천문동이어야 하는데 맥문동으로 잘못 적혀 있는 오류가 있습니다.천문동으로 처리되었습니다.
21
동의수세보원_갑오구본권2
https://mediclassics.kr/books/183/volume/2/#content_58
少陰病, 自利@여의도본} ???주석 문법 오류를 전체 일괄 수정하였습니다.
22
동의수세보원_신축본권2
https://mediclassics.kr/books/182/volume/2/#content_227
향사육군자탕
포부자 -> 향부자
향부자로 처리되었습니다.
23
동의수세보원_신축본권2
https://mediclassics.kr/books/182/volume/2/#content_279
향부자 를 포부자 로 수정요함.포부자로 처리되었습니다.
24
동의수세보원_신축본권2
https://mediclassics.kr/books/182/volume/2/#content_279
포부자 를 향부자 로 수정요함.향부자로 처리되었습니다.
25
동의수세보원_신축본권4
https://mediclassics.kr/books/182/volume/4/#content_176
제목에 태양인 내촉 소장변론 >> 소장병론소장병론으로 처리되었습니다.
26
본초강목권16_草部
https://mediclassics.kr/books/190/volume/20/#content_327
압척초의 석명에서 有角如鳥嘴는 "새 부리 같은 꼬투리열매가 맺힌다"는 뜻입니다. 結角尖曲如鳥喙, 實在角中에서도 角은 꼬투리(열매)라는 뜻입니다.두군데 모두 "새 부리 같은 꼬투리열매"로 처리되었습니다.
27
본초강목권19_草部
https://mediclassics.kr/books/190/volume/25/#content_232
" 호황"
포황
포황으로 처리되었습니다.
28
본초강목권35하_木部
https://mediclassics.kr/books/190/volume/42/#content_638
"��"
글자확인요
𦽄䕋乃蔱蘠二字之誤. 으로 처리되었습니다.
29
본초강목권37_木部
https://mediclassics.kr/books/190/volume/44/#content_312
"근죽엽"
근죽근
"근죽근"으로 처리되었습니다.
30
사고전서총목제요ㆍ의가류권104 의가류2
https://mediclassics.kr/books/193/volume/5/#content_87
진약(陳鑰)
=> 사고전서에 '정교(程鐈)'로 되어 있어 확인 필요

〈병용참기론(病用參耆論)〉
=> 병용삼기론(인삼, 황기)
>무영전본(武英殿本)에는 "陳鑰"으로 되어 있습니다. "程鐈@사고전서"를 교감기로 달아두었습니다.

>"병용삼기론"으로 처리되었습니다.
31
상한론(주해상한론)권2
https://mediclassics.kr/books/145/volume/3/#content_111
계지탕방에 이하 조문들이 포함되어 겉으로 보이지 않습니다.서적 전체 조문이 보이도록 수준을 처리하였습니다.
32
신편의학정전권5
https://mediclassics.kr/books/214/volume/6/#content_1
赤爐甘石◍次]@인민위생본}
=> 전처리 오류로 보입니다.
한의학고전DB 전체 주석 오류를 수정하였습니다.
33
양의미권2
https://mediclassics.kr/books/43/volume/2/#content_54
"건조[sm/燥]하면"
==> 건조[燥]하면
※ 양의미 전체에서 대괄호가 작은 글자로 처리되었습니다.
양의미 전체 해당 기호를 수정하였습니다.
34
언해태산집요단권
https://mediclassics.kr/books/47/volume/1/#content_171
"붉은 말의 껍질을 깔고"
==> 가죽
"붉은 말의 가죽을 깔고"로 처리되었습니다.
35
의방합편(의방합부)권1
https://mediclassics.kr/books/58/volume/1/#content_2068
盛白缸浮水重陽米性堅必先烹, 麪曲一斗釀酒, 作燒酒納小口陶缸, 又納白淸一升 川椒末 乾干末各五分, 厚白紙堅封, 重湯一晝夜, 隨量服. 濕痰與諸積無不見效."}
=> 전처리 오류로 보입니다.
한의학고전DB 전체 주석 오류를 수정하였습니다.
36
의종손익권9
https://mediclassics.kr/books/59/volume/9/#content_459
"마디를 말들에"
조각으로 만들어
조각으로 만들어로 처리되었습니다.
37
의휘권4
https://mediclassics.kr/books/60/volume/4/#content_974
用化蟲丸. 霍氣根東引不出土者, 胡粉炒, 各一兩, 枯明白礬燒存性一戔五分. 右爲細末, 米糊爲丸, 桐子大."}
=> 전처리 오류로 보입니다.
한의학고전DB 전체 주석 오류를 수정하였습니다.
38
향약집성방권04 | 風門
https://mediclassics.kr/books/93/volume/4/#content_53
約虞世 => 初虞世의 오기이다.
원서의 오류인지 탈초의 오류인지 확인 필요.
원문에는 『約虞世』로 되어 있습니다.
교감기를 달고 번역을 "초우세"로 수정하였습니다.
39
향약집성방권53 | 諸救急門
https://mediclassics.kr/books/93/volume/53/#content_51
둔시(遁尸)의 주석에서 sm 삭제
"갑자기 생기는 위중한 병증.[sm/한국전통지식포탈 : www.koreantk.com]"
==> 갑자기 생기는 위중한 병증@한국전통지식포탈
"갑자기 생기는 위중한 병증@한국전통지식포탈"로 처리되었습니다.
40
향약집성방권53 | 諸救急門
https://mediclassics.kr/books/93/volume/53/#content_8
"셋째는 물 에"
==> 물에
"물에"로 처리되었습니다.
41
향약집성방권53 | 諸救急門
https://mediclassics.kr/books/93/volume/53/#content_83
향약집성방 전체에서 '침구법' 수준기호 수정
DK ==> DD
향약집성방 전체 鍼灸法, 針灸法, 灸法, 鍼灸 DD로 수정하였습니다.
42
황제내경영추권1
https://mediclassics.kr/books/184/volume/1/#content_43
"야"
-> 약
약득야실=>약득약실
로 처리되었습니다.
43
동의보감내경편 권01
https://mediclassics.kr/books/8/volume/1/#content_871
동의보감 내에 진피 영문명이
Aurantii Pericarpium/Citrus Unshius Pericarpium
혼용되어있음
"진피 영문명"에 대해서는 추후 동의보감 전체에서 일관성 있게 처리하겠습니다.보류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