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CDEFGHIJKLMNOPQRSTUVWXYZ
1
신청하러 가기
2
신문연세미나G 2021 여름 계획서
3
제목(안)[공정이론반] 공정 담론 연구를 위한 이론 세미나
4
개요한국사회에서 '공정' 담론이 뜨거운 감자가 된 지 오래되었습니다.
"청년세대가 기성세대에 비해 공정성에 민감하다" 내지는
"이준석 등이 말하는 공정은 진정한 공정이 아니다" 와 같은 수사들이 넘쳐 납니다.

우리는 연구자로서 어떻게 이러한 '공정' 담론을 학술적으로 풀어나가고 개입할 수 있는지,
짧은 세미나를 통해 그 도구들을 함께 얻어보려 합니다.
'공정'의 문제를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지에 대한 관점도 함께 토론하며 벼려 보아요.
5
이런 분들에게
강추!
# '공정' 담론에 개입할 무기를 얻고 싶은 연구자
6
일정7월 19일부터 매주 월요일 오후 5시-7시30분 (6주)
7
장소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연구실
8
온/오프라인
여부
대면 진행, 온라인 참여만 가능할 시 병행 가능
9
이끔이김선기 & 정보영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연구원)
10
참가비비회원: 5만원 / 회원: 3만원
11
주차별 내용
12
내용텍스트Addtional
13
1주차
(7/19)
공정이론 입문 (OT)박효민, 김석호 (2015);
김영주, 나진경(2018)
14
2주차
(7/26)
공정과 형평이론 1임의영(2011) 1~6장
15
3주차
(8/2)
공정과 형평이론 2임의영(2011) 7~10장
16
4주차
(8/9)
공정과 정의론김도균 (2020) 1부
17
5주차
(8/16)
한국사회 공정성의 이슈들김석호(2018); 김태심(2020);
우명숙, 남은영(2021); 이희정(2018)
18
6주차
(8/23)
능력주의마이클 영 <능력주의>
샌델 <공정하다는 착각> 1-2장
19
20
텍스트 리스트
21
- 김도균 (2020). <한국사회에서 정의란 무엇인가: 우리 헌법에 담긴 정의와 공정의 문법>. 파주: 아카넷.
- 김석호 (2018). "한국 사회의 세대 간 공정성” <지식의지평>, 25: 6-23.
- 김영주, 나진경 (2018). "불평등의 심리적 영향에 관한 경험 연구 개관 - 경제적 불평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37(3):
- 김태심 (2020). "공정한 불평등?: 체제 정당화와 재분배 선호”. <평화연구> 28(1): 129 - 167.
- 마이클 샌델. (). <공정하다는 착각>. 서울: 와이즈베리. (함규진 역)
- 마이클 영 (2020). <능력주의 : 2034년, 평등하고 공정하고 정의로운 엘리트 계급의 세습 이야기> (유강은 역)
- 박효민, 김석호(2015). "공정성 이론의 다차원성”. <사회와이론>, 27: 219 - 260.
- 우명숙, 남은영 (2021). "공정성 원칙으로서 능력주의와 불평등 인식: 한국과 일본의 비교”. <아세아연구> 64(1): 201 - 244.
- 이희정 (2018). “청년층 계층인식 변화가 공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사회학>, 52(3): 119-164.
- 임의영 (2011). <형평과 정의: 조화로운 사회적 삶의 원리를 찾아서>. 파주: 한울아카데미.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