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 B | C | D | E | F | G | H | I | J | K | L | M | N | O | P | Q | R | S | T | U | V | W | X | Y | Z | AA | AB | AC | AD | AE | AF | AG | AH | AI | AJ | AK | AL | AM | AN | AO | AP | AQ | AR | AS | AT | AU | AV | AW | AX | AY | ||
---|---|---|---|---|---|---|---|---|---|---|---|---|---|---|---|---|---|---|---|---|---|---|---|---|---|---|---|---|---|---|---|---|---|---|---|---|---|---|---|---|---|---|---|---|---|---|---|---|---|---|---|---|
1 | ||||||||||||||||||||||||||||||||||||||||||||||||||||
2 | ||||||||||||||||||||||||||||||||||||||||||||||||||||
3 | 스프레드시트와 인터넷 산책하기 | |||||||||||||||||||||||||||||||||||||||||||||||||||
4 | Taking an Internet Walk with Spreadsheet | |||||||||||||||||||||||||||||||||||||||||||||||||||
5 | https://artsactsdays.kr/product/8581/ | Internet | 인터넷은 컴퓨터로 연결하여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컴퓨터 네트워크이자, 네트워크와 장치 사이의 통신을 목적으로 상호 연결된 '글로벌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global system of interconnected computer networks)이다. | 인터넷이란 이름은 1973년 TCP/IP를 정립한 빈튼 서프와 밥 간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를 구현하여 모든 컴퓨터를 하나의 통신망 안에 연결(International Network)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이를 줄여 인터넷(Internet)이라고 처음 명명하였던 데 어원을 두고 있다. 이후 인터넷은 "정보의 바다"라고 불리면서 컴퓨터가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연결되어 TCP/IP를 이용해 정보를 주고 받게 되었다. | ||||||||||||||||||||||||||||||||||||||||||||||||
6 | Spreadsheet | 스프레드시트(spreadsheet) 또는 표 계산은 표 형식으로 데이터의 조직, 분석, 저장을 가능케 하는 상호작용 컴퓨터 애플리케이션이다. 즉, 경리, 회계 등의 계산을 위해 사용되는 표 형식의 계산용지나, 계산용지를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게 구현한 표 계산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 디지털 스프레드시트가 처음 등장했을 때 그것은 '대중을 위한 기능적 프로그래밍'으로 생각되었다. 이는 일종의 해방적 기술이었는데, 개인용 컴퓨터와 디지털 스프레드시트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온라인에서 상당히 복잡한 계산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데이터 구조, 특히 테이블과 배열은 규칙성과 일관성을 강제하는 엄격한 규칙을 바탕으로 반들어진 제한된 구조다. - 테드 넬슨, 지그재그. | |||||||||||||||||||||||||||||||||||||||||||||||||
7 |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출판 도구로 활용해 간편하고 유연하게 웹사이트를 만들어보는 워크숍입니다. 인터넷을 산책하며 온라인 공간을 살펴보고, 많은 자본과 기술 없이 사적인 아이디어를 가볍게 출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 |||||||||||||||||||||||||||||||||||||||||||||||||||
8 | Walk | 산책(散策)은 휴식을 취하거나, 건강을 위해서 천천히 걸어다니는 일을 말한다. 산책을 하면서 생각도 하며, 대화도 한다. 산책은 여유로운 속도로 따라 걷거나 통과하는 의미의 이 산책은 여가활동으로 전 세계적으로 즐기는 오락이자 활동이다. 산책의 목적은 주변 환경을 흡수하기 위해 약간 느린 속도로 걷는 것이다. | 스프레드시트 | 커다란 표, 셀로 나뉘는 수많은 공간 | ||||||||||||||||||||||||||||||||||||||||||||||||
9 | 이 워크숍에서는 스프레드시트 혹은 웹 출판을 위한 변칙적인 도구들을 탐색합니다. 문서 도구로 웹사이트를 만드는 ‘Doc Web’ 사례와 관련 동시대 담론들을 살펴보는 동시에, 각자의 관심사에 기반한 데이터를 채집하고 분류하여 기묘하고 시적인 웹사이트를 제작합니다. | 인터넷의 유래는 1960~1970년대 미국 국방부 산하의 고등 연구국(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ARPA)의 연구용 네트워크가 시초이며, 군사용 네트워크는 밀네트(MILNET)로 발전되었다. 동서냉전이 한창이던 때 미국 국방부 고등계획국에서는 핵전쟁 등의 상황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네트워크를 연구하였다. | ||||||||||||||||||||||||||||||||||||||||||||||||||
10 | 셀 | 데이터를 갖기 위한 칸 | ||||||||||||||||||||||||||||||||||||||||||||||||||
11 | 워크숍은 진행자의 강의와 참여자의 발제로 이루어집니다. 참여자들은 가벼운 출판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스프레드시트 웹사이트를 만들고, 주소를 생성하여 누구나 방문이 가능한 웹사이트로 전환합니다. | 한국 최초의 인터넷은 1982년 5월 15일 전길남 박사가 주도하여 서울대학교와 한국전자기술연구소(현 ETRI) 사이에 구축한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한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터넷 연결에 성공한 나라가 되었다. | ||||||||||||||||||||||||||||||||||||||||||||||||||
12 | Tool | 도구(道具)는 어떤 일을 할 때 이용하는 소규모 장치를 말한다. 도구를 활용함으로써 사람이 일을 할 때 노력을 덜 들이고 편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식을 만들 때 사용하는 칼이나 식사를 할 때 사용하는 수저가 그 예가 되겠다. 칼은 음식을 자를 때에 도움을 주고 수저는 뜨거운 음식을 먹을 때 손을 보호한다. | 출처: 위키피디아 | 친도구 10대 신조 1. cannot be for real use, 판매할 수 없다. 2. must exist, 실제로 존재해야 한다. 3. must have a spirit of anarchy, 무정부주의를 지향하며, 정치적으로 편향되어선 안된다. 4. is a tool for everyday life, 일상생활의 도구이다. 5. is not a tradeable commodity, 거래 가능한 상품이 아니다. 6. must not have been created for purposes of humour alone: humour is merely the by-product 유머만을 목적으로 창작되어서는 안 됩니다. 유머는 단지 부수물일 뿐입니다. 7. is not propaganda, �선전도 아니다. 8. is not taboo, 금기시되지 않으며, 9. cannot be patented, and, 특허를 받을 수 없다. 10. is without prejudice. 편견이 없습니다. | 시트 | 행/열로 이루어진 페이지 | ||||||||||||||||||||||||||||||||||||||||||||||
13 | 1 | 도구 탐색하기 | ||||||||||||||||||||||||||||||||||||||||||||||||||
14 | Dan Bricklin | Bob Frankston | ||||||||||||||||||||||||||||||||||||||||||||||||||
15 | 웹사이트와 도구를 둘러싼 관점과 다양한 방법들을 살펴봅니다. | Power, D. J., "A Brief History of Spreadsheets", DSSResources.COM, World Wide Web,http://dssresources.com/history/sshistory.html, version 3.6, 08/30/2004. Photo added September 24, 2002. | ||||||||||||||||||||||||||||||||||||||||||||||||||
16 | ||||||||||||||||||||||||||||||||||||||||||||||||||||
17 | 권수진, <화이트 스프레드시트> | 출처: 위키피디아 | ||||||||||||||||||||||||||||||||||||||||||||||||||
18 | ||||||||||||||||||||||||||||||||||||||||||||||||||||
19 | EN->KR | ELAN ULLENDORFF, The Docs Web: The soft power of Google Doc publishing | 희귀하다 (진) | 길 (도) | 갖출 (구) | Decolonize | ||||||||||||||||||||||||||||||||||||||||||||||
20 | 珍道具 chindōgu, 가와카미 켄지(Kawakami Kenji) 특정 문제에 대한 이상적인 해결책처럼 보이지만 해결하기보다 더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독창적인 일상 도구를 발명하는 행위 | |||||||||||||||||||||||||||||||||||||||||||||||||||
21 | VISLA Magazine, 카와카미 켄지 / 20세기 대량생산 시대에 저항한 쓸모없지만 기발한 발명품, Chindogu | |||||||||||||||||||||||||||||||||||||||||||||||||||
22 | ||||||||||||||||||||||||||||||||||||||||||||||||||||
23 | EN->KR | Anoushka Khandwala, What Does It Mean to Decolonize Design? | ||||||||||||||||||||||||||||||||||||||||||||||||||
24 | The�Docs Web | ELAN ULLENDORFF, The Docs Web: The soft power of Google Doc publishing | Anoushka Khandwala, What Does It Mean to Decolonize Design? | |||||||||||||||||||||||||||||||||||||||||||||||||
25 | https://chindogu.com/ics/ | |||||||||||||||||||||||||||||||||||||||||||||||||||
26 | ||||||||||||||||||||||||||||||||||||||||||||||||||||
27 | 2 | 상자 만들기 | 출처: 위키피디아 | |||||||||||||||||||||||||||||||||||||||||||||||||
28 | ||||||||||||||||||||||||||||||||||||||||||||||||||||
29 | 한 주간 탐색한 스프레드시트, 아레나(are.na) 혹은 새로운 도구로 상자를 만들어 웹사이트의 초기 뼈대를 구축합니다. | |||||||||||||||||||||||||||||||||||||||||||||||||||
30 | ||||||||||||||||||||||||||||||||||||||||||||||||||||
31 | 백지윤, <Research Mate> | |||||||||||||||||||||||||||||||||||||||||||||||||||
32 | ||||||||||||||||||||||||||||||||||||||||||||||||||||
33 | 이지수, <Birdcall Research Center – Research materials> | |||||||||||||||||||||||||||||||||||||||||||||||||||
34 | ||||||||||||||||||||||||||||||||||||||||||||||||||||
35 | Samuel Arbesman, The List of My Lists | |||||||||||||||||||||||||||||||||||||||||||||||||||
36 | ||||||||||||||||||||||||||||||||||||||||||||||||||||
37 | ||||||||||||||||||||||||||||||||||||||||||||||||||||
38 | 3 | 자원 모으기 | Taking an Internet Walk 1. ALTERNATIVE PATH SYSTEMS 대체 경로 시스템 2. HYPERLINKS: FROM BLUE TO PURPLE 하이퍼링크: 파란색에서 보라색으로 3. LOCAL COMMUNITY & NEIGHBORHOODS 지역 사회 및 이웃 4. FRIENDS OF FRIENDS 친구의 친구들 5. FORAGING BEHIND THE SCENE 무대 뒤에서 채집하기 6. FIELD POCKET COMPUTER 필드 포켓 컴퓨터 7. THE THINGS WE CARRY & KEEP 우리가 가지고 다니고 보관하는 것들 8. GIFTS 선물 9. PERSONAL TRACES 개인 추적 | |||||||||||||||||||||||||||||||||||||||||||||||||
39 | ||||||||||||||||||||||||||||||||||||||||||||||||||||
40 | 구축한 | 상자를 | 들고 | 인터넷을 | 산책하며 | 데이터를 | 채집합니다. | |||||||||||||||||||||||||||||||||||||||||||||
41 | ||||||||||||||||||||||||||||||||||||||||||||||||||||
42 | Internet Archive, Wayback Machine | |||||||||||||||||||||||||||||||||||||||||||||||||||
43 | ||||||||||||||||||||||||||||||||||||||||||||||||||||
44 | Everest Pipkin, build your own screenshot garden | |||||||||||||||||||||||||||||||||||||||||||||||||||
45 | ||||||||||||||||||||||||||||||||||||||||||||||||||||
46 | Everest Pipkin, Ghost Pines: The Haunted Forests of a Machine Learning Dataset | |||||||||||||||||||||||||||||||||||||||||||||||||||
47 | ||||||||||||||||||||||||||||||||||||||||||||||||||||
48 | EN->KR | Spencer Chang & Kristoffer Tjalve, Taking an Internet Walk | ||||||||||||||||||||||||||||||||||||||||||||||||||
49 | ||||||||||||||||||||||||||||||||||||||||||||||||||||
50 | ||||||||||||||||||||||||||||||||||||||||||||||||||||
51 | 4 | 종이에서 스크린으로 | ||||||||||||||||||||||||||||||||||||||||||||||||||
52 | ||||||||||||||||||||||||||||||||||||||||||||||||||||
53 | 산책을 통해 채집한 데이터들를 모아 자신에게 필요한 체계를 짜보거나 만들고 싶은 이미지를 그려보는 등 디지털 환경에서 벗어나 손과 종이로 웹사이트를 구성하고 계획합니다. | |||||||||||||||||||||||||||||||||||||||||||||||||||
54 | Taking an Internet Walk (by Spencer Chang & Kristoffer Tjalve) | |||||||||||||||||||||||||||||||||||||||||||||||||||
55 | Becca Abbe, The Internet’s Back-to-the-Land Movement | |||||||||||||||||||||||||||||||||||||||||||||||||||
56 | ||||||||||||||||||||||||||||||||||||||||||||||||||||
57 | J. R. CARPENTER, handmade web | |||||||||||||||||||||||||||||||||||||||||||||||||||
58 | ||||||||||||||||||||||||||||||||||||||||||||||||||||
59 | ||||||||||||||||||||||||||||||||||||||||||||||||||||
60 | 5 | 규모에서 벗어나기 | ||||||||||||||||||||||||||||||||||||||||||||||||||
61 | ||||||||||||||||||||||||||||||||||||||||||||||||||||
62 | The Internet’s Back-to-the-Land Movement 를 읽고 토론을 진행합니다. | 중심과 규모의 유혹에서 벗어난 기묘하고 시적인 웹사이트를 산책하며 내가 가꿀 온라인 공간을 상상해 봅니다. | ||||||||||||||||||||||||||||||||||||||||||||||||||
63 | ||||||||||||||||||||||||||||||||||||||||||||||||||||
64 | 아멜리아 호루비, 「일과 삷을 소셜 미디어가 아닌 형태로 공유하는 100가지 방법」 (무슨일 선집 2호 『투명한 장벽, 플랫폼을 배반하기』) | |||||||||||||||||||||||||||||||||||||||||||||||||||
65 | ||||||||||||||||||||||||||||||||||||||||||||||||||||
66 | Laurel Schwulst, Ultralight | |||||||||||||||||||||||||||||||||||||||||||||||||||
67 | ||||||||||||||||||||||||||||||||||||||||||||||||||||
68 | Jake Dow-Smith, publish something online | |||||||||||||||||||||||||||||||||||||||||||||||||||
69 | ||||||||||||||||||||||||||||||||||||||||||||||||||||
70 | ||||||||||||||||||||||||||||||||||||||||||||||||||||
71 | 6 | 길 위에서 | ||||||||||||||||||||||||||||||||||||||||||||||||||
72 | ||||||||||||||||||||||||||||||||||||||||||||||||||||
73 | 인터넷을 산책하며 살펴본 온라인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개개인이 출판한 다양한 용도의 웹사이트를 공유합니다. | |||||||||||||||||||||||||||||||||||||||||||||||||||
74 | ||||||||||||||||||||||||||||||||||||||||||||||||||||
75 | Claire L. Evans, The word for web is forest | |||||||||||||||||||||||||||||||||||||||||||||||||||
76 | ||||||||||||||||||||||||||||||||||||||||||||||||||||
77 | Laurel Schwulst, my website is a shifting house next to a river of knowledge. what could yours be? | |||||||||||||||||||||||||||||||||||||||||||||||||||
78 | ||||||||||||||||||||||||||||||||||||||||||||||||||||
79 | ||||||||||||||||||||||||||||||||||||||||||||||||||||
80 | 진행 | 권수진 | Temporary space 1.0 | |||||||||||||||||||||||||||||||||||||||||||||||||
81 |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그래픽 디자이너. 스프레드시트를 출판 도구로 제안하는 워크숍, ‘화이트 스프레드시트’를 운영한다. 데이터 간의 상호작용을 가시화하는 이 워크숍을 통해 스크린과 지면, 저자와 독자, 도구와 제작자의 관계를 환기한다. | |||||||||||||||||||||||||||||||||||||||||||||||||||
82 | ||||||||||||||||||||||||||||||||||||||||||||||||||||
83 | ||||||||||||||||||||||||||||||||||||||||||||||||||||
84 | ||||||||||||||||||||||||||||||||||||||||||||||||||||
85 | 참여자 | 김가연 | ||||||||||||||||||||||||||||||||||||||||||||||||||
86 | AAD 전체 업무를 총괄한다. 8팀으로 구성된 워크숍 내용을 기록하며, 모임에서 생성되는 대화와 연결을 공유하는 또 다른 방식(영상, 큐레이션)에 대해 고민하고 실천할 예정이다. | |||||||||||||||||||||||||||||||||||||||||||||||||||
87 | 김보라 | |||||||||||||||||||||||||||||||||||||||||||||||||||
88 | 그래픽/편집 디자이너. 예술 분야의 지인분들 소규모 웹 작업을 종종 하게 되면서 웹작업에서 불필요한 기능 없이, 정보를 나누는 유연한 구조로 작업하고 싶어 신청합니다. | |||||||||||||||||||||||||||||||||||||||||||||||||||
89 | 길미예 | |||||||||||||||||||||||||||||||||||||||||||||||||||
90 | 평소 웹환경과 인터랙티브 웹사이트디자인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권수진 디자이너 작업물도 관심있게 봐왔던 중 시적인 웹사이트 탈 중심적 웹사이트, 인터넷 산책하기 라는 대목에 이끌렸습니다. 웹사이트의 본질에 다가가며 좀 더 자유롭게 내가 만들어보고싶은 웹사이트에 다가가고자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 |||||||||||||||||||||||||||||||||||||||||||||||||||
91 | 신주영 | |||||||||||||||||||||||||||||||||||||||||||||||||||
92 | 새로운 방식으로 간편하게 웹사이트를 디자인해볼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습니다. 관심있는 주제는 많으나 아카이빙한 자료를 정돈하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어 이를 해소할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 생각했고, 해당 활동을 계기로 접근하기 어려운 웹 환경에 대한 두려움이나 막막함이 깨어지지 않을까? 라는 기대감에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 |||||||||||||||||||||||||||||||||||||||||||||||||||
93 | 이연지 | |||||||||||||||||||||||||||||||||||||||||||||||||||
94 | 시각미술 종사자. 평소 온오프라인에서 잡다구리한 리서치를 많이 하는데요. 최근에는 부쩍 그걸 정리하고픈 욕심이 생겼어요. SNS로 몇 번 시도해보려 했지만 조금 한계가 보여서 좀 더 전략적인 방법을 고민하게 되었구요. 그러던 차에 때마침 인스타에서 해당 워크숍 홍보를 보게 됐는데, “관심사에 기반한 데이터를 채집하고 분류하여 이상하고 시적인 웹사이트를 제작” 이 말에 꽂혀서 주저 없이 신청했어요. | |||||||||||||||||||||||||||||||||||||||||||||||||||
95 | 조은지 | |||||||||||||||||||||||||||||||||||||||||||||||||||
96 | 문화예술 교육 및 기획 현장에서 활동. 다양한 현장에서 이것저것을 만들어가다보니 파편화 된 저의 작업을 정리할 수 있는 도구를 찾고 있었습니다. 작년부터 웹사이트 만들기에 관심을 두고 버드콜에서 운영하는 이 워크숍에 관심이 있었지만 시간이 맞지 않아 신청하지 못했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맞는 기회가 생겨 신청해봅니다. 저는 전혀 웹과는 관련 없는 일을 하고 있는데, 잘 따라갈 수 있을지 걱정이 됩니다. 많이 궁금하고, 질문할 것 같습니다만.. 잘 부탁드립니다! | |||||||||||||||||||||||||||||||||||||||||||||||||||
97 | 주슬아 | |||||||||||||||||||||||||||||||||||||||||||||||||||
98 | 시각 예술가. 제 작업이 주로 리서치 베이스이기도 하고,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해서 웹사이트를 만들고 싶었는데 눈여겨보다가 AAD에서 하신다는 이야기를 듣고 신청했습니다! | |||||||||||||||||||||||||||||||||||||||||||||||||||
99 | 기록자 | 백지윤 | (AAD 매니저) | 리서치 메이트 온라인 | 참조점 | |||||||||||||||||||||||||||||||||||||||||||||||
100 | 리서치를 연결하고 아카이브를 다시 활성화(퍼포밍)하는 방식에 관심이 많다. 금년 AAD Workshop 《툴(을/로) 번역하기》를 기획했다. 8팀으로 구성된 전체 워크숍 내용을 기록하여 동료 학습과 실천의 다양한 형태와 연결과 차이를 조망하는 아카이브 또는 출판물을 만들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