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f 27

2018 동고동락 을 돌아보다.

2018일 11월 26일 저녁 5시 반, 동천동주민자치센터

2 of 27

3 of 27

4 of 27

5 of 27

6 of 27

7 of 27

8 of 27

9 of 27

10 of 27

11 of 27

12 of 27

가장 기억에 남는 것?

01

가장 좋았던 것?

02

13 of 27

  • 마을공동체, 공공성, 환경에 대한 주민들의 의식 개선
  • 주민 공동의 경험과 기억을 통한 마을문화 형성
  • 생태적 마을을 만듦으로써 삶의 질을 높임
  • 도시농업과 대안에너지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미래형 도시마을을

디자인

- 따복마을지원사업 역할 모델로 위상정립

사업의 기대효과

14 of 27

세부사업명

일정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마을지원체계 구축 및 워크숍

주민 만나기

마을 정체성 기록/확산

마을 자원조사

마을 텃밭

마을둘레길 조성 및 걷기

15 of 27

1. 지속가능성

2. 마을의 로드맵(계획수립)

3. 마을 활동가

4. 마을의 변화

16 of 27

1. 지속가능성

1. 자원연계의 효과

2. 자원발굴을 위한 노력

3. 자원연계를 통한 효과

사람자원, 물적자원(공간 등), 지적자원(사람들의 역량 등), 자본자원(자산 등) 등이 지역에서 어떻게 엮어지고 확대되고 있는지

17 of 27

지속가능성

 

마을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은 자원입니다.

(인적, 물적(공간), 지적, 자산의 자원)

 

  • 우리 마을의 자원 발굴과 연계를 위한 노력은 어떠했는지
  • 그 효과와 성과를 평가한다면? 무엇을 얻었고, 무엇을 놓쳤나?
  • 앞으로의 기대나 전망은?

18 of 27

2. 마을의 로드맵(계획수립)

1. 계획수립 과정

2. 계획 실천 과정

3. 계획 수정, 보완 과정

그 과정에서 생긴 지역의 변화, 계획의 변화, 주체의 변화는?

19 of 27

마을의 로드맵 (계획 수립)

 

동고동락 사업은 3년을 내다보는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계획은 현실적 여건에 따라 늘 수정과 보완이 가능하고 또 필요합니다.

중요한 것은 변화 ( 마을의 변화, 계획의 변화, 주체의 변화 ) 입니다.

 

  • 우리의 목적과 목표는 무엇이었나.
  • 계획 수립과정과 실천과정에서 있었다고 생각하는 변화는?
  • 계획의 수정과 보완이 적절했는지.
  • 무엇을 얻었고, 무엇을 놓쳤나?

 

20 of 27

3. 마을 활동가

1. 주체 역량의 변화

2. 주체, 주민들의 동기부여를 위한 노력

3. 주체들의 소진 발생시 했던 노력

4. 기타

활동비를 받는 사람의 활동이 지역사회에서 느껴지는지, 어떠한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는지, 그 역할이 공동체, 마을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21 of 27

4. 마을의 변화

1. 공동체 내적인 변화를 위한 노력

2. 마을의 변화를 위한 노력

3. 마을 변화 지점

4. 마을 변화 가능성

5. 기타

통합지원을 통한 활동으로 생겨난 공동체 내적인 변화는 무엇인지, 마을의 변화는 무엇인지, 그 가능성은 무엇인지

22 of 27

마을의 변화

 

따복마을지원사업은 마을내의 자체적이고 전반적인 변화를 중요시하는 통합지원사업입니다.

 

- 동고동락사업을 통해 우리 마을에서는 무엇이 달라지고 있나 (단체 내의 변화, 마을 내에서의 변화)

- 변화의 지점과 요인은?

- 앞으로의 변화 가능성은?

23 of 27

우리가 얻은 것

우리가 놓친 것

24 of 27

키워드

자체평가(100점 만점)

보완지점

지속가능성

마을로드맵

마을활동가

마을변화추구

<총평>

 

 

25 of 27

 

 

사업계획(우선순위 순)

예산

마을의 변화

(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지역사회의 변화모습)

A++

A+

A

B+

B

자체평가_ 2차년 계획

26 of 27

1. 마을별 실무자 배치

2. 멘토 지원

3. 통합지원

4. 기타

사업 제안

27 of 27

동고동락,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