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을 커먼즈로 바꾸는 금융생활
2023 금천마을대학
2023.04.11 금천구마을공동체지원센터
김지음 (빈고 책임활동가)
우리 마을에 공유지가 있다면
나의 돈은 어디로?
다섯 집이 사는 공동체
다섯 집이 사는 공동체
집의 넓이
다섯 집이 사는 공동체
교통수단
집5 : 슈퍼카
집4 : 대형차
집3 : 중형차
집2 : 소형차
집1 : 자전거
다섯 집이 사는 공동체
다섯 집이 사는 공동체
최근 4년간 순자산 수익률
한국이 다섯 집이 사는 나라라면
공동체와 금융
해방촌 빈집
게스츠하우스 빈집
까페 해방촌 빈가게
해방촌 빈마을
빈집은 무엇이었을까?
빈고게임 1 – 주거비와 자산소득
| 주거비 | 자본소득 | 비고 |
1번 | 0원 | 0원 | 월세도 없고, 소득도 없다. |
2번 | 0원 | -10만원 | 월세는 없고, 이자만 낸다. |
3번 | -10만원 | 0원 | 은행이자 10만원이 주거비다. |
4번 | -40만원 | +30만원 | 소비는 월세와 동일 : - 40만원 전세소득 40 - 이자비용 10 = +30만원 |
빈고게임 1 – 주거비와 자산소득
자산
자본
부채
-
=
4000
2000
2000
재무상태표
월세 40+이자10
전세소득 40
수입
잉여
지출
-
=
-10
수지계산서
이자 10
자산소득 40
자본수익 30
빈고게임 1 – 주거비와 자산소득
빈고게임 2 – 함께살기 게임
A : 3000
B : 1000-10
A : 1000-10
B : 1000-10
A : 3000+10
B : 1000-10
A : 3000
B : 1000
1안
3안
2안
4안
해방촌 빈집의 사례
빈집
복지시설
숙박업소
공동체
자본
국가
가족
커먼즈
자치
환대
공유
커먼즈은행
커먼즈금융
사양-공유
공공금융
세금-분배
자본금융
상품-경쟁
지원금융
선물-답례
수익
사양
수익
사양
채무자
채권자
자본
국가
가족
커먼즈
커먼즈은행
빈고 돈의 흐름
빈고 조합원들
출자자 | 예금을 탈환 : 화폐를 자본에서 빈고로 탈환하기. 무기를 되찾아오기. |
이용자 | 이자를 탈환 : 자산을 빈고로 탈환하기. 빼앗기던 것을 빼앗아 오기. |
연대자 | 빼앗은 것들을 빼앗긴 자들에게 돌려주기. 연대하고 환대하기. |
운영자 | 주권을 탈환 : 화폐를 배치하고 잉여를 분배하는 권력을 탈환하기. 함께 계획하기. |
출자자
이용자
연대자
운영자
=
=
=
자본은행 vs 커먼즈은행
자본은행 | vs | 커먼즈은행 |
자본수익의 추구 | 원리 | 자본수익의 사양 |
이자수익을 추구하는 예금자 | 수신 | 이자수익을 사양하는 출자자 |
레버리지를 추구하는 대출자 | 여신 | 레버리지를 사양하는 이용자 |
경쟁과 착취의 대상 | 외부 | 연대하고 환대하는 연대자 |
최대수익을 추구하는 은행가 | 운영 | 커먼즈 확대와 커머너 소통을 촉진하는 운영자 |
부동산, 대자본, 국가 | 공급 | 커먼즈, 커머너, 코뮌 |
주주, 자본, 국가 독점 | 분배 | 연대자, 출자자, 이용자, 운영자 잠정적 분배 |
주주 | 지배 | 조합원, 활동가 |
최대수익, 자본주의 유지 | 목적 | 커먼즈 확장, 자본주의의 극복 |
빈고 소개
자본에서 공유지로
커머너
커먼즈
=
공동체들의 공동체
골목쟁이네 | | 들 | | 모두들 | | 국경을넘는계 | 꼬뮨뱅크워크샵 | 넥스트젠 | 동동동문회 |
공룡 | 단편집 | 따로또같이 | | 미세마을 | | | | | 두꺼비 |
그린집 | | 레드북스 | | 빈땅조합 | | | 빈마을 | | 빈둥 |
내일상회 | 명륜동쓰리룸 | 망집 | | 빈컴퓨터 | | | 빈민비건 | | |
| | | | 웬자족 | | 솔방울커먼즈 | 수수노래조합 | 쓰자 | 에코토피아 |
| 평집 | | | 이룸 | | | | | |
| 해방촌사람들 | | | | | 두물머리 | 경의선공유지 | 에밀리,숲 | |
| 홍성키키 | 건강계 | 고양이 | 공유주거협동조합 | 여행자 | 연해주펀드 | 온지곤지 | 홍성키트 | 그리고... 당신 |
빈마을금고 취지문
우리는 돈을 진정 우리를 위해서 이용할 것입니다. 우리는 과거의 노동이 만들어 낸 돈의 가치를 존중하지만, 그 돈이 다시 돈을 만들어 낸다는 것은 인정할 수 없습니다. 돈이 돈을 버는 것으로 보이는 것의 실상은 돈이 만인을 억누르고 만인이 생산한 것을 빼앗아 오는 것입니다. 우리가 가진 돈이 돈을 벌어 오는 것에 현혹되는 것은, 그 돈이 사실 우리가 빼앗겼던 수많은 것의 단지 일부만을 돌려주는 것일 뿐이라는 사실을 잊는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돈이 만들어 낸 돈을 그 원래의 주인들인 세상 만인과 공유할 것입니다. 우리가 가진 돈의 가치는 함께 살아가는 모든 생명과 공유할 때 더욱 빛을 발하며, 미래를 살아갈 모든 사람들도 함께 누릴 권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럴 때 돈은 우리를 옥죄고 억누르는 지금의 위치에서 내려와, 원래의 위치 즉 우리의 삶을 위한 단순하고 유용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올바르게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빈고 선언문
우리는 가난하다. 이 척박한 환경에서 공동체와 공유지를 만들어내는 사람들이 어떻게 빚지지 않고 살아갈 수 있겠는가? 빼앗기는 사람들, 투쟁하는 사람들, 함께하는 사람들이 어떻게 몰락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 와중에도 먼저 협력하고 먼저 내어주는 착한 사람들이 어떻게 가난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수익을 바라지 않고 공공의 목적을 위해 투자하는 사람들이 어떻게 돈을 벌 수 있겠는가? 받을 기대 없이 주고, 주는 티 내지 않고 주고, 받은 것보다 더 크게 나눠주는 아름다운 사람들이 어찌 홀로 이 험한 세상을 살아갈 수 있겠는가?
그래서 우리는 함께 가난하기로 한다. 가난한 우리들이 모여서 함께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어떻게 이런 우리가 갈가리 찢어져 홀로 하나둘 그들이 되어가지 않고, 언제까지나 우리로서 함께 할 수 있을 것인가? 이런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은행은 어떠한 은행일 수 있을까? 반대로 이런 사람들을 만들어내는 은행은 어떤 은행이어야 할 것인가? 어떻게 그들의 은행이 아닌 우리의 은행을, 은행이 아닌 다른 은행을 만들 것인가?
건강보험계
빈땅 조합
공유주택 키키
빈고 13년 누적 잉여금
지구분담금
http://bingobank.org
출자금/공동체통장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