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f 36

자본을 커먼즈로 바꾸는 금융생활

2023 금천마을대학

2023.04.11 금천구마을공동체지원센터

김지음 (빈고 책임활동가)

2 of 36

우리 마을에 공유지가 있다면

  • 공유지에서 무엇을 하고 싶을까?
  • 공유지를 위해 얼마를 저축할 수 있을까?

3 of 36

나의 돈은 어디로?

  • 자본에 투자
  • 수익을 위한 기업을 유치
  • 공유지에 저축
  • 마을을 위한 단체에 참여

4 of 36

다섯 집이 사는 공동체

5 of 36

다섯 집이 사는 공동체

집의 넓이

6 of 36

다섯 집이 사는 공동체

교통수단

집5 : 슈퍼카

집4 : 대형차

집3 : 중형차

집2 : 소형차

집1 : 자전거

7 of 36

다섯 집이 사는 공동체

8 of 36

다섯 집이 사는 공동체

최근 4년간 순자산 수익률

9 of 36

한국이 다섯 집이 사는 나라라면

  • 위의 데이터는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2017-2021년 순자산5분위별 자산,부채,소득 현황 데이터를 기반으로 함.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HDAA12&conn_path=I2)
  • 가구별 순자산 기준으로 하위에서부터 20%씩 분위를 나눈 후, 분위별 평균값으로 계산함. 각 분위를 한 집으로 표현했음.  

10 of 36

공동체와 금융

  • 부의 불평등은 공동체를 불가능하게 하는 가장 큰 원인.
  • 현재의 불평등도 문제지만, 그것이 더 큰 불평등을 만들고 있다는 문제.
  • 돈이 돈을 버는 것을 모두가 긍정하고, 이를 위해 경쟁하는 체제
  • 모두가 경쟁의 대상이라면 공동체는 불가능하지 않을까?
  • 혼자서 경쟁을 포기한다면? 선물을 하면 해결이 될까?

  • 자본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함께 사는 방법은?
  • 공동체가 더 큰 공동체와 함께 사는 방법은?

11 of 36

해방촌 빈집

  • 2008년, 게스트하우스와 셰어하우스가 낯설던 시절
  • 서울 해방촌, 손님들의 집(guests’ house), 가난한 집, 빈집
  • 비어있는 집에서 무엇을 하면 좋을까? 빈집들이 파티
  • 손님이 주인이 되고, 주인이 손님이 되는 집
  • 하루 분담금 2000원 이상, 보증금 출자는 자율
  • 빈집 6, 빈가게 1, 장기투숙객 40여명, 단기투숙객 수백명, 이웃들까지 포함한 빈마을 형성.
  • 마을회의, 마을잔치, 해방촌축제…
  • 2018년까지 약 18개의 빈집이 만들어짐. 이후 해방촌 떠남

12 of 36

게스츠하우스 빈집

13 of 36

까페 해방촌 빈가게

14 of 36

해방촌 빈마을

15 of 36

빈집은 무엇이었을까?

  • 평범한 방 3개 임대주택에서 어떻게 마을이 만들어졌을까?
  • 경영자도, 노동자도, 투자자도, 지도자도 없이
  • 자본금, 지원금, 후원금도 없이
  • 공동체도, 복지시설도, 숙박업소도 아닌 독특한 공간
  • 공동체은행 빈고를 구성해서 새로운 빈집을 구성.
  • 해방촌에 빈집은 없어졌지만, 빈고는 남아서 활동을 하고 있고 전국 여러 공동체에 공유자원 공급.

16 of 36

빈고게임 1 – 주거비와 자산소득

  • 월세 40만원, 또는 전세 4000만원 짜리 집이 있다.
  • 자기 돈 2000만원과 은행에서 2000만원을 월이자 10만원에 빌려서, 전세를 사는 사람이 있다. 이 사람의 월 주거비와 자산소득은 얼마인가?

주거비

자본소득

비고

1번

0원

0원

월세도 없고, 소득도 없다.

2번

0원

-10만원

월세는 없고, 이자만 낸다.

3번

-10만원

0원

은행이자 10만원이 주거비다.

4번

-40만원

+30만원

소비는 월세와 동일 : - 40만원

전세소득 40 - 이자비용 10 = +30만원

17 of 36

빈고게임 1 – 주거비와 자산소득

자산

자본

부채

-

=

4000

2000

2000

재무상태표

월세 40+이자10

전세소득 40

수입

잉여

지출

-

=

-10

수지계산서

이자 10

자산소득 40

자본수익 30

18 of 36

빈고게임 1 – 주거비와 자산소득

19 of 36

빈고게임 2 – 함께살기 게임

  • 4000만원 짜리 전세집이 있다. (전세 1000만원 당 월세 10만원의 비율로 보증금을 낮추고 월세로 전환할 수 있다.)
  • 3000만원을 가진 A와 1000만원을 가진 B가 같이 살려고 한다.
  • 어떻게 계약하고, 비용을 분담해야 할까?

A : 3000

B : 1000-10

A : 1000-10

B : 1000-10

A : 3000+10

B : 1000-10

A : 3000

B : 1000

1안

3안

2안

4안

20 of 36

해방촌 빈집의 사례

빈집

복지시설

숙박업소

공동체

자본

국가

가족

커먼즈

자치

환대

공유

21 of 36

커먼즈은행

커먼즈금융

사양-공유

공공금융

세금-분배

자본금융

상품-경쟁

지원금융

선물-답례

수익

사양

수익

사양

채무자

채권자

자본

국가

가족

커먼즈

22 of 36

커먼즈은행

23 of 36

빈고 돈의 흐름

24 of 36

빈고 조합원들

출자자

예금을 탈환 : 화폐를 자본에서 빈고로 탈환하기. 무기를 되찾아오기.

이용자

이자를 탈환 : 자산을 빈고로 탈환하기. 빼앗기던 것을 빼앗아 오기.

연대자

빼앗은 것들을 빼앗긴 자들에게 돌려주기. 연대하고 환대하기.

운영자

주권을 탈환 : 화폐를 배치하고 잉여를 분배하는 권력을 탈환하기. 함께 계획하기.

  • 능력에 따라 출자하고, 필요에 따라 이용한다!
  • 기쁘게 연대하고, 재밌게 운영한다!

출자자

이용자

연대자

운영자

=

=

=

25 of 36

자본은행 vs 커먼즈은행

자본은행

vs

커먼즈은행

자본수익의 추구

원리

자본수익의 사양

이자수익을 추구하는 예금자

수신

이자수익을 사양하는 출자자

레버리지를 추구하는 대출자

여신

레버리지를 사양하는 이용자

경쟁과 착취의 대상

외부

연대하고 환대하는 연대자

최대수익을 추구하는 은행가

운영

커먼즈 확대와 커머너 소통을 촉진하는 운영자

부동산, 대자본, 국가

공급

커먼즈, 커머너, 코뮌

주주, 자본, 국가 독점

분배

연대자, 출자자, 이용자, 운영자 잠정적 분배

주주

지배

조합원, 활동가

최대수익, 자본주의 유지

목적

커먼즈 확장, 자본주의의 극복

26 of 36

빈고 소개

  • 2010년 빈마을의 재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빈마을금고로 시작.
  • 2022년 현재 조합원 485명, 공동체 34개, 공유지 18개
  • 자산 5.2억빈, 출자금 3.5억빈, 누적 잉여금 1.3억빈, 누적 공유지 61곳
  • 공동체와 공유지의 유지와 확산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우리의 돈을 자본이 아닌 커먼즈(공유지)로 만들자.
  • 공동체들의 공동체 만들기.
  • https://bingobank.org/ 010-3058-1968

27 of 36

자본에서 공유지로

커머너

커먼즈

=

28 of 36

공동체들의 공동체

골목쟁이네

모두들

국경을넘는계

꼬뮨뱅크워크샵

넥스트젠

동동동문회

공룡

단편집

따로또같이

미세마을

두꺼비

그린집

레드북스

빈땅조합

빈마을

빈둥

내일상회

명륜동쓰리룸

망집

빈컴퓨터

빈민비건

웬자족

솔방울커먼즈

수수노래조합

쓰자

에코토피아

평집

이룸

해방촌사람들

두물머리

경의선공유지

에밀리,숲

홍성키키

건강계

고양이

공유주거협동조합

여행자

연해주펀드

온지곤지

홍성키트

그리고... 당신

29 of 36

빈마을금고 취지문

우리는 돈을 진정 우리를 위해서 이용할 것입니다. 우리는 과거의 노동이 만들어 낸 돈의 가치를 존중하지만, 그 돈이 다시 돈을 만들어 낸다는 것은 인정할 수 없습니다. 돈이 돈을 버는 것으로 보이는 것의 실상은 돈이 만인을 억누르고 만인이 생산한 것을 빼앗아 오는 것입니다. 우리가 가진 돈이 돈을 벌어 오는 것에 현혹되는 것은, 그 돈이 사실 우리가 빼앗겼던 수많은 것의 단지 일부만을 돌려주는 것일 뿐이라는 사실을 잊는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돈이 만들어 낸 돈을 그 원래의 주인들인 세상 만인과 공유할 것입니다. 우리가 가진 돈의 가치는 함께 살아가는 모든 생명과 공유할 때 더욱 빛을 발하며, 미래를 살아갈 모든 사람들도 함께 누릴 권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럴 때 돈은 우리를 옥죄고 억누르는 지금의 위치에서 내려와, 원래의 위치 즉 우리의 삶을 위한 단순하고 유용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올바르게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30 of 36

빈고 선언문

우리는 가난하다. 이 척박한 환경에서 공동체와 공유지를 만들어내는 사람들이 어떻게 빚지지 않고 살아갈 수 있겠는가? 빼앗기는 사람들, 투쟁하는 사람들, 함께하는 사람들이 어떻게 몰락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 와중에도 먼저 협력하고 먼저 내어주는 착한 사람들이 어떻게 가난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수익을 바라지 않고 공공의 목적을 위해 투자하는 사람들이 어떻게 돈을 벌 수 있겠는가? 받을 기대 없이 주고, 주는 티 내지 않고 주고, 받은 것보다 더 크게 나눠주는 아름다운 사람들이 어찌 홀로 이 험한 세상을 살아갈 수 있겠는가?

그래서 우리는 함께 가난하기로 한다. 가난한 우리들이 모여서 함께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어떻게 이런 우리가 갈가리 찢어져 홀로 하나둘 그들이 되어가지 않고, 언제까지나 우리로서 함께 할 수 있을 것인가? 이런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은행은 어떠한 은행일 수 있을까? 반대로 이런 사람들을 만들어내는 은행은 어떤 은행이어야 할 것인가? 어떻게 그들의 은행이 아닌 우리의 은행을, 은행이 아닌 다른 은행을 만들 것인가?

31 of 36

건강보험계

  • 매월 1만원씩 곗돈을 낸다. (빈고 출자금에서 자동 출금!)
  • 모바일/온라인 계모임을 통해 일상적으로 소통하며 서로의 건강과 안녕을 챙긴다.
  • 본인부담금 중에서 급여는 100%, 비급여 60%를 곗돈에서 사용할 수 있다.
  • 모든 곗돈의 사용은 계모임 상에서 온라인투표를 통해 결정한다.
  • 1년 후 남은 곗돈 잔액은 계원들의 총회 결정에 따라 처분하고 돌려받는다.
  • 계원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평생 함께 건강하게 살아가는 계모임을 만들어간다.
  • 현재 9기, 70여명 계원 활동중

32 of 36

빈땅 조합

  • 2015년 9월 공동체주택모임이 홍성빈땅 매입하며 시작.
  • 땅을 함께 사고 공유지로 만드는 조합. 법인화 추진중.
  • 1평 공유하면 평생 지주. 매년 1평씩 늘려가기. 반환 가능. 상속 불가.
  • 매년 6월 공유지주들이 모이는 빈땅캠프
  • 공유지주 58명. 공유지 : 1574평 (1평=10만빈)
  • 홍성빈땅 : 홍동면 금평리 김애마을 약 340평.
    • 관리자공동체 : 공유주거협동조합, 공유주택 키키 건축.
  • 강릉빈땅 : 포남동 주택 대지
    • 관리자공동체 : 내일상회, 제로웨이스트샵 + 사무실

33 of 36

공유주택 키키

34 of 36

빈고 13년 누적 잉여금

35 of 36

지구분담금

36 of 36

http://bingobank.org

출자금/공동체통장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