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f 24

High Technology Ventures and �Technology Parks

2022.01.08.

전성민

가천대학교 경영학부

KR4050 Meeting 2021.11rev11.08

2 of 24

2

  1. High Technology Ventures
  2. Technology Parks
  3. Remarks & Discussions

3 of 24

Motivations

3

  • 20세기 한국에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들이 출현하고 '인터넷 혁명'이라 불릴 정도로 사회, 경제적으로 거대한 영향을 미쳤으나 인터넷 비즈니스 역사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
  • 기존의 출판물은 네이버, 넥슨 출입기자의 회사에 대한 기록물이거나 NC Soft 창업자에 대한 에세이 형태였으며 NHN 합병 등 일부 사례 연구만이 이뤄진 상황

🡪 다음 세대에 전달한 인터넷 비즈니스� 역사 연구 목표

4 of 24

Literature Review

4

  • 벤처에 대한 산업적 고찰 (성소미, 2001; Zhang, 2003)
  • 대한민국 벤처 20년사 (벤처기업협회, 2015)
  • 벤처붐에 대한 역사적 고찰 (이민화, 최선, 2015)
  • 사례 연구 (Song, 2010; Jeon et al., 2013)

5 of 24

Literature Review

5

출처: Cohan, P. S., Cohan, P. S., & Ramachandran. (2018). Startup Cities. Apress.

6 of 24

’80, ‘90년대 기술벤처

6

1980

1990

출처: 이민화, & 최선. (2015). 기업가정신/벤처/창업/정책: 1 차 벤처붐의 성과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평가. 중소기업연구, 37(4), 147-179., 휴먼컴, 아이네트, 새롬기술 추가

Silicon Valley

South Korea

7 of 24

새롬기술

7

  • 1993년 설립, 한국과학기술원 전산과 석사 출신 창업
  • 초기에 팩스맨과 새롬 데이타맨
  • 1999년 8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 시가총액이 5조 원이 넘기도 함
  • 1999년 10월 미국에 인터넷 전화인 다이얼패드 서비스 시작
  • 2000년 초 다음, 네이버컴을 인수합병 시도�- 다음의 제2주주인 베텔스만의 반대로 무산�- 네이버컴에는 250억 원을 투자

8 of 24

다음

8

  • 1995년 이재웅. 박건희, 이택경 창업
  • 예술 사이트,
  • 1997년 5월 평생 무료 이메일 '한메일넷‘
  • 1998년 말에 회원수 100만 명을 달성
  • 네이버 검색엔진 사용
  • 1999년 11월에 코스닥시장 등록, 26 일 연속 상한가

당시 인터넷 생태계는 외국계 포털 야후의 영향력이 강했고, 인터넷의 사업성을 내다본 대기업도 속속 시장에 진입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한메일넷은 벤처 특유의 빠른 의사결정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시장 선점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

출처: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8/17/2016081702100.html

9 of 24

네이버

9

  • 1997년 삼성SDS 사내벤처, 이해진 창업
  • 1999년 분사 네이버컴(주) 설립
  • KTIC 100억 원 단독 투자, 20% 지분
  • 2000년 한게임, 서치솔루션 인수

Microsoft, Google 등 많은 회사들이 검색 서비스 개발에 뛰어들었으나 대부분 실패

미국, 중국, 러시아, 한국만이 독자적 검색 서비스

10 of 24

카카오

10

  • NHN 대표였던 김범수는 2006년 아이위랩 설립
  • 2009년 11월 마이크로카페 카카오 서비스 시작
  • 카카오아지트(모바일 카페), 카카오 수다(모바일 사진 및 동영상), 카카오톡 3가지 서비스
  • 카카오톡의 대박, 2010년 사명을 카카오로 변경
  • 무료 서비스, 카카오톡의 초기 창업 자본금은 100억 원, 2011년까지 2년간 210억원의 누적적자
  • 2012년 게임업체인 애니팡 및 중계서비스 업체와 계약을 체결, 90억의 영업이익을 달성
  • 텐센트, 위메이드 엔터테인먼트로부터 각각 720억원(360만 주, 지분율 12.38%), 200억원(100만 주, 3.44%) 투자 유치
  • 2014년 다음커뮤니케이션과 카카오와의 합병

11 of 24

평가

11

  • 이중적인 평가�: 수만 개 벤처기업들이 등장, 일자리 창출로 대기업 중심 한국 경제의 대안이자 희망 vs. ‘묻지마 투자’로 대표되는 버블 경제
  • 故 이민화 박사 (1953~2019년): ‘벤처업계의 대부’�- 메디슨을 설립, 국내 최초 초음파진단기 개발�- ‘95년 벤처기업협회를 설립, 초대 회장 역임�- 벤처기업특별법, 코스닥 설립, 벤처단지 조성, 실험실 창업, 기술거래소, 스톡옵션 등 각종 제도 기초�- ‘벤처연방 신화’를 내세워 투자 기반의 선단 경영을 했다는 비판
  • 재무적 성공 후 기업가정신, 도전정신 해이: 코스닥 상장 벤처 455여 곳 중 217개 퇴출, 무리한 사업 확장, 주가조작, 회계 비리 등 벤처에 대한 신뢰 하락

12 of 24

연구계획

12

  • 2022년 6월 KR4050 워크샵
  • 인터넷 비즈니스 역사 연구팀�- 서울시립대 김상순 교수 / 서울대 홍석철 교수 / 충북대 김성미 박사�-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대표 최항집), “테헤란밸리 시절“ 단행본 출판
  • 주요 회사 인사 인터뷰 �- 새롬기술, 싸이월드, 네이버, 다음, 카카오 �- 회사 역사 자료 수집, 핵심 인사 인터뷰
  • 연구 주제의 확장�- 한중일, 네이버, 넥슨, 카카오 회사별 사례 연구

13 of 24

Reference

13

  • 벤처기업협회 (2015). 대한민국 벤처 20년사
  • 성소미 (2001). 한국의 벤처 평가와 전망.
  • 이민화, 최선 (2015). 기업가정신/벤처/창업/정책: 1 차 벤처붐의 성과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평가. 중소기업연구, 37(4), 147-179
  • Aspray, W., & Ceruzzi, P. E. (2008). The internet and American business (Vol. 1). The MIT Press.
  • Jeon, S., Yoo, B., & Kim, I. (2013). Merger and Spin-Off of Hangame: Implications for Internet Portal and Web Game Industry. Academy of Entrepreneurship Journal, Dec, 13-11.
  • Wi, J. H. (2010). NCsoft's Global Success and Future Challenges. SERI Quarterly3(2), 76.
  • Zhang, J. (2003). High-tech start-ups and industry dynamics in Silicon Valley. Public Policy Instit. of CA.

14 of 24

Technology Parks

14

  • 실리콘 밸리는 왜 성공적인가? (테슬라, 우주산업 등)
  • 실리콘밸리가 사라진다면 그 역할을 대체할 곳을 어디인가?
  • 테헤란 밸리, 판교 밸리는 성공적인가?
  • 수도권 외 지역에도 성공적인 “밸리“ 지역을 나올 수 있을까?

15 of 24

Literature Reveiws

15

- Science and technology parks (Hobbs et al., 2017)

- Science Parks and Innovation (Ramírez-Alesón, 2018)

- Reviews on Science Parks (Lecluvse et al., 2019)

16 of 24

Timeline

16

출처: https://www.bizjournals.com/sanjose/news/2018/03/23/from-orchards-to-motherboardsa-timeline-of-how.html

SF Bay Area

South Korea

’50 ’60 ’70 ’80 ’90 ’00

Research �Park

Shockley

Semiconductor

Teheran Valley (Gangnam)

Bundang

Pangyo

Valley

17 of 24

Silicon Valley

17

Source:

https://vividmaps.com/tech-companies-in-silicon-valley/

Silicon�Valley

18 of 24

Silicon Valley vs. Gangnam-Pangyo

18

Gangnam

Pangyo

15km

15km

Source:

Google Maps

19 of 24

San Francisco Inner City

19

Source:

Google Maps

20 of 24

1세대 기술벤처 지리적 위치: 테헤란 밸리

20

  • 테헤란路 ‘90년대 초, 초고속 光(광)통신 설치, 이를 이용하기 위해 벤처기업들이 100여 개 이상 입주
  • 벤처캐피털 이동(한국IT벤처투자, 아주기술투자, 테크노캐피털, 밀레니엄 벤처투자, 인터베스트, 와이즈내일인베스트먼트 등)
  • 한글과 컴퓨터, 안철수 컴퓨터바이러스 연구소, 나모 인터랙티브, 야후코리아, 드림위즈, 옥션, 네띠앙, 네이버, 드림라인 등

출처: 한국일보, 2014, 저무는 테헤란밸리, https://m.news.zum.com/articles/11295984

21 of 24

1세대 기술벤처 이전: 판교

21

  • 경기도에서 IT산업을 키워보기로 하고 IT밸리를 만들 곳을 신청받았고 성남시가 판교신도시 계획에 강남구와 바로 연결되는 신분당선 계획이 있다는 점을 내세워 유치함
  • 2004년 말 사업 인가, 2006년 판교테크노밸리를 착공
  • 2012년부터 1세대 기술벤처 한컴, 안랩 및 게임회사 엔씨, 넥슨, NHN, 네오위즈 등 IT기업들이 판교테크노밸리로 입주

출처: 한국일보, 2014, 저무는 테헤란밸리, https://m.news.zum.com/articles/11295984

출처: https://misaeng.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4/12/2016041201019.html

22 of 24

이슈 및 연구 계획

22

- VC 90% 이상이 강남에 집중

- 부동산 개발 중심

- 테헤란-강남, 분당-판교 밸리의 연계 부족

- 연구의 확장�- 다른 나라 사례 비교� USA:  Silicon Valley

        Route 128, Massachusetts

        (many more)

China: Beijing (중관촌)

          Shanghai

          Shenchen

          (many more)

UK:     Cambridge

          London

          (more)

France: Paris

            Sophia Antipolice

            (more)

Japan: Tokyo

Canada: Toronto

Germany: Berlin

               Munich

India: Bangalore

          New Delhi

          Mumbai

          (more)

23 of 24

Remarks & Discussions

23

  • 본 연구는 인터넷역사프로젝트 kr4050에서 준비된 내용으로 전길남 교수 피드백을 받았음
  • 인터넷역사프로젝트는 20세기의 한국 인터넷 개발 경험으로부터 인터넷 AI 생태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생태계 및 인터넷 개발 인적 네트워크 개발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 중임
  • 본 연구는 인터넷 개발 40주년 기념으로 2022년 6월 진행될 KR4050 Workshops에서 High Technology Ventures, Science & Technology Parks 주제로 발표될 예정임

Kr4050 한국 인터넷 역사 프로젝트

"early internet development in the 20th century"

24 of 24

Reference

24

  • 김소연, 조민경, & 이무원. (2020). 싱가포르 창업생태계 연구: Isenberg (2010) 프레임워크의 지역적 변용을 통한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15(2), 47-65.
  • 정선양, 황두희, & 임종빈. (2016). 혁신클러스터의 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판교테크노밸리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19(4), 848-872.
  • Arthurs, D., Cassidy, E., Davis, C. H., & Wolfe, D. (2009). Indicators to support innovation cluster policy.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46(3-4), 263-279.
  • Hobbs, K. G., Link, A. N., & Scott, J. T. (2017). Science and technology parks: an annotated and analytical literature review.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42(4), 957-976.
  • Isenberg, D. J. (2010). How to start an entrepreneurial revolution. Harvard business review88(6), 40-50.
  • Lecluyse, L., Knockaert, M., & Spithoven, A. (2019). The contribution of science parks: A literature review and future research agenda.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44(2), 559-595.
  • Ramírez-Alesón, M., & Fernández-Olmos, M. (2018). Unravelling the effects of Science Parks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NTBFs.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43(2), 482-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