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f 31

MY:Bit

친환경 에너지편

조립 & 코딩 매뉴얼

2 of 31

목차

01

02

03

04

하드웨어 조립

회로 연결

센서를 위치에 맞게 고정하기

소프트웨어

MakeCode 블록코딩

마이크로비트와 센서 연결하기

영상매뉴얼

영상을 보며 쉽게 따라해보세요~

3 of 31

01

하드웨어 조립

센서를 위치에 맞게 고정하기

4 of 31

1. 태양광 패널 고정

1. 태양광 패널을 양면테이프를 이용해 지정된 자리에 부착해주세요.

5 of 31

2. LED 고정

1. LED에 서포트를 장착합니다.

(35mm 서포트 2개와 볼트를 이용해서 고정해주세요~)

6 of 31

2. LED 고정

2. 박스 위 타공된 구멍을 뚫고 서포트를 꽂아줍니다.

(너무 깊지 않게 꽂아주세요~)

7 of 31

3. 브레드보드 고정

1. 브레드보드를 박스 위 표시된 자리에 붙여줍니다.

(브레드보드 하단 스티커를 떼어 붙여주세요~)

8 of 31

4. 모터 고정

1. 모터에 프로펠러를 끼워주세요!

9 of 31

4. 모터 고정

2. 모터 브라켓에 서포트를 장착합니다.

( 10mm 볼트를 이용해 40mm 서포트는 작은 브라켓에, 35mm 서포트는 큰 브라켓에 장착합니다~)

10 of 31

4. 모터 고정

3. 바닥판에 모터 브라켓을 고정시킵니다.

( 모터가 마주볼 수 있도록 일직선으로 고정시켜 주세요~)

11 of 31

4. 모터 고정

4. 각 브라켓에 모터를 장착해주세요.

( 큰 브라켓에 둥근 모터, 작은 브라켓에 일반 DC 모터를 장착합니다~)

12 of 31

4. 모터 고정

5. 모터를 박스 위 표시된 위치에 붙여줍니다.

13 of 31

완성 모습

14 of 31

02

회로 연결

마이크로비트와 센서 연결하기

15 of 31

브레드보드란?

브레드 보드 내부에는 위 그림의 색깔 선과 같이

가로와 세로로 금속 조각이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선은 전기가 통합니다.

(이웃하는 선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즉, 연결되어 있는 선에서는 핀을 어디에 꽂아도 동일한 핀에 꽂아졌다고 보면 됩니다.

납땜을 하지 않고도 전자 부품 등을 쉽게 꽂아 전자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보드입니다.

16 of 31

태양광 패널부 핀 연결

LED

태양광패널

긴 다리(+)

빨간선

짧은 다리(-)

검정선

마이크로비트

LED 모듈

5V

V

GND

G

P2

D

마이크로비트

LED

GND

짧은 다리(-)

P0

긴 다리(+)

태양광 패널은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해주세요!

17 of 31

모터부 핀 연결

LED

둥근 모터

짧은 다리(-)

빨간선

긴 다리(+)

검정선

배터리 홀더

소형 모터

검정선(-)

빨간선

빨간선(+)

검정선

마이크로비트

LED

GND

짧은 다리(-)

P1

긴 다리(+)

둥근 모터쪽은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해주세요!

18 of 31

디스플레이 핀 연결

마이크로비트

ssd1306

GND

GND

5V

VCC

P19

SCL

P20

SDA

19 of 31

전체 핀 연결

20 of 31

소프트웨어

03

MakeCode 블록코딩

21 of 31

MakeCode 코딩

makecode.microbit.org 에 접속해 새 프로젝트를 눌러 프로젝트를 만들어주세요.

22 of 31

MakeCode 코딩

확장 버튼을 누른 뒤, ssd1306을 검색하고 디스플레이 확장 블럭을 설치해주세요.

23 of 31

MakeCode 코딩

▶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을

시작하면 블럭에 넣어줍니다.

(oled12864_i2c 블록 사용

주소값을 입력한 뒤, 디스플레이를 ON 시켜줍니다.)

▶ LED 출력값을 확인하기 위해 P0, P1의 핀을

풀-다운 시켜주세요.

(고급 -> 핀 -> 더보기 -> P0핀 풀을 풀-업으로 설정 블록 사용)

24 of 31

MakeCode 코딩

▶ 태양광 패널로 생산되는 전압을 계산합니다.

(LED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값을 측정하여 전압으로 비례 변환합니다.)

1. 변수 -> 변수만들기 를 이용하여 solar 라는 변수를 만들어줍니다.

2. 계산 -> 반올림, 비례변환 , 사칙연산 블록을 이용하여 전압을 계산합니다.

3. 핀 -> P0의 아날로그 입력 값을 이용하여 전압값을 solar에 저장합니다.

(0.67은 실제 측정되는 전압과 맞추기 위한 상수입니다.)

25 of 31

MakeCode 코딩

▶ 모터로 생산되는 전압을 계산합니다.

(LED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값을 측정하여 전압으로 비례 변환합니다.)

1. 변수 -> 변수만들기 를 이용하여 wind 라는 변수를 만들어줍니다.

2. 계산 -> 반올림, 비례변환 , 사칙연산 블록을 이용하여 전압을 계산합니다.

3. 핀 -> P1의 아날로그 입력 값을 이용하여 전압값을 wind에 저장합니다.

(0.67은 실제 측정되는 전압과 맞추기 위한 상수입니다.)

26 of 31

MakeCode 코딩

OLED12864_I2C 탭에서 문자 출력, 수 출력 블록을

이용하여 측정 값을 표시합니다.

▶ X 값은 가로의 위치. Y 값은 세로의 위치를 의미합니다.

27 of 31

MakeCode 코딩

1. 입력 -> A 버튼 눌릴 때 블록을 코딩영역에 놓고 A를 B로 바꿔줍니다.

2. 고급 -> 핀 -> P0에 디지털 값 0 출력을 넣고 P2로 바꿔줍니다.

3. P2에 디지털 값 1을 출력합니다. (ON)

4. 기본 -> 일시중지 블록을 넣고 LED를 켜고 싶은 시간만큼 값을 적어줍니다.

5. 고급 -> 핀 -> P0에 디지털 값 0 출력을 넣고 P2에 0을 출력합니다. (OFF)

28 of 31

MakeCode 코딩

[전체 코드 - 다운로드]

29 of 31

제품 사용 영상

30 of 31

04

영상 매뉴얼

영상을 보며 쉽게 따라해보세요~

31 of 31

영상 매뉴얼 링크

2) 코딩편

1) 조립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