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f 32

2 of 32

자료 출처: 고등학교 고육학 교과서 (강현석)

3 of 32

< 02-03 >

해결방법 생각, 아이디어

4 of 32

5 of 32

구체화 과정 1

분석: ESD에 관해 들어보거나 구체적으로 아는 예비교원의 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 예비교원의 인식 부족 등의 원인을 얻어 체인지메이커 활동을 위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 기존의 대학생, 예비교원의 인식

6 of 32

구체화 과정 1

  • 기존의 대학생, 예비교원의 인식

분석: ESD에 관해 들어보았더라도, 교육 현장과 해외의 ESD 사례를 아예 접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 예비교원이 ESD를 알더라도, 실제 사례를 접하지 못해 실천과 인식 향상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7 of 32

구체화 과정 1

  • 기존의 대학생, 예비교원의 인식

분석: ESD의 정의를 알리고, 이에 대한 참여 의사를 물었을 때 90%의 예비교원이 관련 교육에 관심 또는 실천 의지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예비교원이 ESD에 대한 접근성과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한다면, ESD 인식 향상 및 실천에 도움이 될 것이다.

8 of 32

구체화 과정 2

  • 무엇이 문제이고, 왜 문제일까?
  • 내가 신경 쓰이는 문제들

9 of 32

자료 출처: 고등학교 고육학 교과서 (강현석)

10 of 32

구체화 과정 3

11 of 32

구체화 과정 4

  • 최종 구체화

목표 예비교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인식 향상

자료 조사

1.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적용 사례

2. 교육현장에서의 필요성, 요구 정도

3. 예비교원이 ESD에 관해 알더라도 관심과 참여 의사가 저조한 이유

4. 쉽게 주제에 접근할 수 있는 관련 그림, 유머 등 (참고)

12 of 32

13 of 32

자료 조사 1

  • 유튜브 영상

  1. 교사연구회 - 지속가능발전교육 네트워킹 연수
  2. 전라권, 경상권 ESD 프로그램 우수사례 발표 및 컨설팅

14 of 32

자료 조사 2

논문, 연구 자료

  • ESD 관련 교사 인식의 필요성/중요성
  • ESD의 현장 적용의 한계

(예비교원의 ESD에 대한 인식 및 관심/참여 전환의 실마리)

15 of 32

자료 조사 2

논문, 연구 자료

  • ESD 관련 교사 인식의 필요성/중요성

16 of 32

자료 조사 2

논문, 연구 자료

2. ESD의 현장 적용의 한계 (예비교원의 ESD에 대한 인식 및 관심/참여 전환의 실마리)

17 of 32

자료 조사 2

논문, 연구 자료

2. ESD의 현장 적용의 한계 (예비교원의 ESD에 대한 인식 및 관심/참여 전환의 실마리)

18 of 32

자료 조사 2

논문, 연구 자료

2. ESD의 현장 적용의 한계 (예비교원의 ESD에 대한 인식 및 관심/참여 전환의 실마리)

19 of 32

자료 조사 2

논문, 연구 자료

3. 중고등학교 교과별 ESD 적용 실제/연구 사례 (일부)

20 of 32

21 of 32

5WHY

활동 아이디어 : 필요성 인식 / 간략화 및 정리 / 실제 사례 / 기회 제공

22 of 32

23 of 32

체인지메이커 활동 구상

  • 5WHY

24 of 32

체인지메이커 활동 구상

목표 예비교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인식 향상

체인지메이커 활동 구상 (과정, 결과)

1. 활동 전후의 인식 변화 분석 (구글문서 또는 설문지 활용): 필요성 인식

2. 초기 OT 형식의 강의 + 구글 사이트를 활용한 ESG 자료 공유: 간략화, 정리

3. 교과/목차/교육과정 내용을 한눈에 제공 + 각 단원별 ESG 적용 사례 소개 (사이트): 간략화, 정리, 실제 사례

4. 시스템 구축 - 누구나 교과별 사례 붙이고 붙여서 하나의 사이트 제작 (사이트): 간략화, 정리, 실제 사례

5. ESG를 수업에 적용하는 것이 어려운 게 아니라는 생각과 큰 틀을 제공: 정리, 기회 제공

(‘일단 해보자’ 등의 생각을 통한 교과별 적용 프로젝트/아이디어 구상 등)

25 of 32

체인지메이커 활동 구상 - SMART 분석

Specific

Measurable

Achievable

Realistic

Timely

정확히 무엇을 하려고 하는가?

성공을 측정할 수 있는 명확한 방법이 있는가?

목표는 해낼 수 있는 일인가?

상황을 고려했을 때, 현실적이고 타당한 목표인가?

언제까지 목표를 달성할 것인가?

  1. 예비교원들이 참고할 수 있는 ESD 사이트 만들기

  • ESD 개념
  • ESD 교과 적용 사례
  • 예비교원이 ESD를 실천하고 적용할 수 있는 기회 제공

[ENTER ESD : 함께 채우기] 페이지 참가 정도로 확인 가능

  • 5명 이상 작성

전체 사이트는 10회 열람

[ENTER ESD : 함께 채우기] 페이지에 여러 항목을 설정하여, 예비교원이 사례, 자신의 아이디어 등 작성 가능한 항목을 부담없이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

YES

2022년 6월 1일 정도

26 of 32

포스터 제작 (과정, 결과)

- 설정한 목표 고려

- '예비교원'을 표현할 수 있는 시각요소

>> 칠판과 '학습목표'

- 진행하려는 체인지메이커 활동 내용을 고려

1) 다양한 교과의 ESD 사례 공유

2) '함께 채우기' 페이지 구성 :

단순 정보 습득이 아니라, 예비교원으로서 아이디어

및 사례 탐색의 기회 제공

>> 검색창과 'ENTER' 키 활용

: 온라인 활동임을 표현 / 직접 찾아보고 참가하는 (입력하는) ESD

27 of 32

활동 진행 (사이트 제작)

  • 사이트 제작 : ENTER ESD

- 구상했던 페이지/목차 적용

- 자료 조사 및 수집한 영상, 논문 추가

- 'ENTER ESD : 함께 채우기' 구성

28 of 32

활동 과정 (사이트 제작)

  • [ ENTER ESD : 함께 채우기 ] - 페이지 및 작성권한 위한 설문지(익명 서약)

29 of 32

활동 결과 (사이트 퍼뜨리기)

  • [ ENTER ESD : 함께 채우기 ] 참여

30 of 32

활동 결과 (사이트 퍼뜨리기)

  • [ ENTER ESD : 함께 채우기 ] 참여

31 of 32

활동 결과 (사이트 퍼뜨리기)

  • [ ENTER ESD : 함께 채우기 ] 참여

32 of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