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단원 학습 평가
01 데이터의 형태를 바르게 연결해 보자.
(1)과 (3)은 구체적인 수치로 끊어서 데이터를 표현하므로 디지털, (2)는 연속적인 형태로 데이터를 표현하므로 아날로그이다.
교과서 92p
✔
2의 비트 수 제곱만큼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3비트로 2의 3제곱인 여덟 가지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02 다음 상황을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비트(bit) 수는 얼마인가?
① 1bit ② 2bit ③ 3bit
④ 4bit ⑤ 5bit
무지개의 일곱 가지 색깔을 구분하여 비트로 표현하고자 한다.
교과서 92p
03 데이터 구조화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데이터를 특징에 따라 분류한다.
② 데이터를 정돈된 형태로 나타낸다.
③ 데이터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④ 표, 계층형, 그래프 등의 방법으로 구조화할 수 있다.
⑤ 데이터는 반드시 하나의 구조화 방법만 사용하여 구조화해야 한다.
✔
교과서 92p
2 37 … 1
2 18 … 1
2 9 … 0
2 4 … 1
2 2 … 0
1 … 0
1 0 0 1 0 1 1
4
B
1001011(2)
4B (16)
2 75
(1) 이진수:
(2) 십육진수:
01 십진수 75를 이진수와 십육진수로 각각 변환해 보자.
교과서 92p
02 다음 설명을 계층형으로 구조화해 보자.
우리 학급에는 회장 김수현, 부회장 김건우, 총무부장 홍길동, 정보부장 정경빈, 학생부장 김민준, 체육부장 이진혁이 있다. 총무부원은 최완규, 정보부원은 홍현우, 체육부원은 김세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과서 92p
03 다음의 구조화된 데이터를 해석할 때 정확한 정보이면 O, 아니면 X로 표시해 보자.
교과서 93p
03 다음의 구조화된 데이터를 해석할 때 정확한 정보이면 O, 아니면 X로 표시해 보자.
(1) 미세 먼지 농도는 2015년 이후 꾸준히 줄고 있다.� ( )
(2) 2015년~2022년 사이에 측정된 미세 먼지 농도는 2022년에 가장 낮은 수치를 달성했다. ( )
(3) 미세 먼지 농도가 비교적 크게 감소한 2020년에 시민들의 대기질 만족도가 대폭 높아졌다. ( )
(4) 대기질 만족도는 과거에서 현재로 갈수록 높아졌다.�( )
X
미세 먼지 농도와 대기질 만족도 데이터를 분석해보면 미세 먼지 농도는 2019년에 미세하게 상승한 경우 외에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반면 대기질 만족도는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점차 감소하다가 2020년부터 급격히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2020년의 미세 먼지 농도가 대폭 감소하여 대기질 만족도는 높아졌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1)은 X, (2)는 O, (3)은 O, (4)는 X로답 할 수 있다.
X
O
O
교과서 93p
01 그림은 이미지 데이터를 디지털로 표현한 예이다. 그림을 확대했을 경우 (가)는 경계선에 계단 모양이 나타나며 (나)의 경우보다 선명도가 떨어진다. (가)와 (나)의 이미지 데이터 표현 방식에 대해 서술하시오.
비트맵 방식은 픽셀로 이미지가 구성되어 이미지를 확대했을 때 계단 현상이 발생한다.
벡터 방식은 점의 위치, 선의 길이 등을 수식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이미지를 확대해 도 선명도가 떨어지지 않는다.
(가)
(나)
교과서 93p
02 아스키 코드와 유니코드의 특징과 차이점을 서술하시오.
• 아스키 코드 : 영문자와 숫자, 기호 몇 개만을 표현할 수 있으며 한 문자당 7비트를 사용한다.
• 유니코드 : 한글을 포함한 전 세계의 언어를 모두 표현할 수 있으며 한 문자당 16비트를 사용한다.
교과서 93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