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f 13

위태로운 🐣🥚

달걀 받기….game...

달걀을 깨뜨리지 않게 전달하는 1인용 게임입니다.

오른쪽의 플레이어가 달걀을 사수하지 못하였을때

깨진달걀이 점점 늘어나게 됩니다.

좌절하지마세요, replay 버튼으로 언제든

다시 게임할 수 있습니다!!

이름 : 최준혁, 백인찬

프로젝트 :https://scratch.mit.edu/projects/403928089

닭에게 달걀을 전달받습니다… 깨지면 안돼요!

닭이 노합니다.

2 of 13

스타워즈_DOG WAR

우주는 강아지들이 지배하게 되고 간식을 놓고 전쟁

우주에서 펼쳐지는 강아지들의

전쟁

이름 : 강희호, 조희령

프로젝트 : https://scratch.mit.edu/projects/403933066

작품의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3 of 13

친구와의

배구연습

작품 소개

만들어 두었던 pong게임을 응용하여 학생이 친구와 함께 공을 주고 받으며 배구연습을 하는 모습을 게임으로 나타내 보았습니다.

이름 : 김지민, 박유진

프로젝트 : https://scratch.mit.edu/projects/403930868

작품의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4 of 13

인터스텔라

영화에서 주인공이 우주선을 타고 여러 행성을 돌아다니는 것을 PONG 게임에 적용시켜보았다.

이름 : 이예빈, 홍성빈, 장은서

프로젝트 : https://scratch.mit.edu/projects/403954702

작품의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5 of 13

별자리 연주

우주를 배경으로 별자리를 만드는 게임.

공의 움직임은 우주의 별자리가 된다.

또한 공이 바에 닿으면 피아노 소리가 나 연주를 할 수 있다.

이름 : 김다인, 홍주연

프로젝트 : https://scratch.mit.edu/projects/403930057

6 of 13

NBA

(그들만의리그)

농구선수들의 피튀기는? 자존심대결

이름 : 이헌준 양규열

프로젝트 https://scratch.mit.edu/projects/403958724

작품의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7 of 13

엄마와 딸의

동생 깨우기

닭 엄마와 병아리 딸이 아직 태어나지 않은 달걀 동생을 깨우기 위해 떨어뜨리지 않고 계속 주고 받는다.

달걀은 주고 받는 동안 계속해서 모양이 변한다.

만약 깨질 경우 지게 되는 게임.

이름 : 김동현, 최은홍

프로젝트 : https://scratch.mit.edu/projects/403930090

작품의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8 of 13

마법연습

PONG의 튕겨지는 기법과 복제기법을 섞어 마술사가 별을 여러개로 만들어 내는 마법연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름 : 유지영, 황혜리

프로젝트 :https://scratch.mit.edu/projects/403928813

작품의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9 of 13

탱탱볼

동심의 세계로 돌아가 친구와 함께 탱탱볼을 던지고 노는 듯한 게임을 구성해보았습니다. 다양한 색상의 탱탱볼로 아이가 된 기분을 만끽해보세요!

이름 : 이윤지 이지수

프로젝트 : https://scratch.mit.edu/projects/403950421

10 of 13

말 vs 오리

말과 오리가 나와 pong 게임 대결을 펼친다. 하지만 결국 오리가 승리하게 되고 오리가 춤추게 된다.

이름 : 현서림 오형록

프로젝트 :https://scratch.mit.edu/projects/403928114

작품의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11 of 13

변화하며-baseball

pong의 기본 설정을 이용해 야구를 묘사했습니다.

각 스프라이트에 공이 닿으면 크기가 변화하며 소리가 나게끔 만들었습니다.

이름 : 이경진, 김경태, 김규민

프로젝트 : https://scratch.mit.edu/projects/403928983

12 of 13

Pong v2

기존의 전통적인 룰은 유지하면서

컨트롤을 더 복잡하게 만들었습니다.

더 복잡하고 정교한 컨트롤로

친구와 경쟁하여 승리를 노리십시오

이름 : 양윤성, 박영신

프로젝트 :https://scratch.mit.edu/projects/403929693

13 of 13

도움말

  • 2명이 1팀
  • Pong 게임이 될 필요는 없다.
  • Pong의 유전자를 계승하여, �전혀 다른 창작물을 만들자.
    • 게임을 유지해도 된다.
    • 예술작업이 될 수도 있다.
    • 전혀 엉뚱한 의미를 담고 표현할 수 있다.
  • 기존 Pong에는 없는 새로운 ‘논리 구조’를 추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