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장. 우리 동네 데이터 분석
(브라이틱스)
학습목표
실생활 속 빅데이터_자율주행 영상
01
데이터로 본 서울
02
03
데이터 수집
04
데이터 분석 맛보기
문제 이해
데이터 전처리
05
데이터 탐색
06
데이터 해석
07
데이터 시각화
07
미 샌프란시스코서 ‘자율주행 무인택시’ 24시간 영업 승인
2. 데이터로 본 서울
데이터로 서울을 봅시다.
링크 : https://data.si.re.kr/
3. 문제이해
노원의 인구가 줄어드나요?
4. 데이터 수집
데이터 다운로드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읍, 면 또는 구, 동 기준)의 2011년 부터 2021년까지 총 인구 다운로드하기
통계청 사이트로 이동
4. 데이터 수집
4. 데이터 수집
링크 접속 후 조회설정
4. 데이터 수집
다음과 같이 조회내용 설정
4. 데이터 수집
※ 주의사항
4. 데이터 수집
행렬전환
4. 데이터 수집
데이터 다운로드
4. 데이터 수집
행정구역_읍면동_ 주민등록인구.csv
5.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를 분석 및 처리에 적합한 형태로
만드는과정
데이터 다듬기
브라이틱스에서 파일을 읽기 위해
처리
0-4세 -> y0_4, 100+ -> y99_)
nowon_pop.csv
5.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 다듬기
5. 데이터 전처리
6. 데이터 탐색
6. 데이터 탐색
6. 데이터 탐색
모델 생성
6. 데이터 탐색
데이터 불러오기
6. 데이터 탐색
데이터 불러오기
6. 데이터 탐색
데이터 불러오기
6. 데이터 탐색
데이터 불러오기
6. 데이터 탐색
데이터 불러오기
or
6. 데이터 탐색
데이터 프로파일
6. 데이터 탐색
데이터 프로파일
7. 데이터 해석
7. 데이터 해석
데이터테이블의 구성요소
Q. 데이터 테이블의 속성의 갯수는?
7. 데이터 해석
전체인구데이터
Q. 2011년부터 현재까지 최고 인구수와
최저 인구수는 얼마인가요?
7. 데이터 해석
연령대별 데이터 탐색
Q. 노원구에 사는 사람중 인구가 제일 많은(Max)
연령대는?
7. 데이터 해석
연령대별 데이터 탐색
Q. 2011년부터 현재까지 최고 신생아수와 최저 신생아수는 얼마인가요?
7. 데이터 해석
연령대별 데이터 탐색
Q. 노원구에 사는 74세 이하의 사람중 인구가 제일 적은(Min)
연령대는?
7. 데이터 해석
8. 데이터 시각화
8. 데이터 시각화
시각화하여 분석하기
Q1. 2011~2022년까지 우리 동네 전체 인구수의 변화
8. 데이터 시각화
Q2. 2011~2022년까지 우리 동네 전체 인구수의 변화
2011~2022년까지 서울 노원구 인구 변화 추이 분석
8. 데이터 시각화
2011~2022년까지 서울 노원구 인구 변화 추이 분석
8. 데이터 시각화
2011~2022년까지 서울 노원구 인구 변화 추이 분석
8. 데이터 시각화
8. 데이터 시각화
2011~2022년까지 서울 노원구 인구 변화 추이 분석
Q1. 2011년부터 2022년까지 우리 동네의 인구수 변화 분석 결과를 작성해보자.
Q2. 우리 동네 인구수의 변화에 대한 기사 등을 인터넷에서 검색하여 원인을 찾아 작성해 봅시다.
2011~2022년까지 5세별 인구수를 비교-시각화
8. 데이터 시각화
2011~2022년까지 5세별 인구수를 비교-시각화
8. 데이터 시각화
2011~2022년까지 5세별 인구수를 비교-시각화
8. 데이터 시각화
2011~2022년까지 5세별 인구수를 비교-시각화
8. 데이터 시각화
2011~2022년까지 5세별 인구수를 비교-시각화
8. 데이터 시각화
2011~2022년까지 5세별 인구수를 비교-그룹화
8. 데이터 시각화
2011~2022년까지 5세별 인구수를 비교-함수열 추가
8. 데이터 시각화
※주의!
Group By
‘year’ 선택해제
2011~2022년까지 5세별 인구수를 비교-함수열 추가
8. 데이터 시각화
2011~2022년까지 5세별 인구수를 비교-함수열 추가
8. 데이터 시각화
2011~2022년까지 서울 노원구 인구 변화 추이 분석
Q1. 약 10년 전과 현재의 연령대별 분포 비교 결과를 해석해 봅시다.
8. 데이터 시각화
Q2. 노원구의 인구가 변한 이유에 대해 생각해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