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f 21

Science & Technology Parks in Korea

2022.06.29

Seongmin Jeon

전성민

2022 KR4050 Workshop 2022.6.19rev

2 of 21

2

전성민

  • 현 가천대 경영학부 교수, 한국벤처창업학회장
  • 서울대 경제학사, 서울대 경영학 박사
  • IBM, 삼성에서 IT 프로젝트 참여
  • 서울 및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서 창업
  • 플랫폼 비즈니스, 오픈 이노베이션 연구

3 of 21

Table of Contents

1.Science & Technology Parks

2. Timeline

3. Framework

3.1 History

3.2 Ecosystem

3.3 Government

3.4 Divide

3.5 Others

4. Discussions

References

3

4 of 21

1. Science & Technology Parks

4

A science and technology park (STP) is defined as being a property-based development that accommodates and fosters the growth of tenant firms and that is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or a government and private research bodies) based on proximity, ownership, and/or governance. ��Source: Wikipedia, Xie, K., Song, Y., Zhang, W., Hao, J., Liu, Z., & Chen, Y. (2018).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in science parks: A case study of Wuhan Donghu High-Tech Zone.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135, 156-168.

5 of 21

2. Timeline

5

1950 Silicon Valley� Stanford Research Park

HP�

1970 Fairchild�

Intel

Route128

1980 Apple

1990 Netscape Yahoo

2000 Google

2010 Facebook(Meta), Tesla

North America Europe ASIA KOREA

Tsukuba

Hsinchu (TSMC, UMC, universities,..)

Beijing Zhongguancun

Shenzen

Daeduk

KAIST

Teheran Valley/Gangnam

Bundang/Pangyo

Sophia Antipolis

Cambridge Science Park

6 of 21

3. Framework

6

3.1 History

3.2 Ecosystem

3.3 Government

3.4 Divide

3.5 Others

출처: Cohan, P. S., Cohan, P. S., & Ramachandran. (2018). Startup Cities. Apress.

7 of 21

3.1 Framework – History(1)

7

일본

  • 쓰꾸바 연구학원도시, 1963년 정부기능이전 및 연구 진흥 목적으로 추진
  • 1985년 세계박람회개최를 계기로 도시 기반을 확보하며 민간기업 연구소의 입주
  • 70년대에 설립된 쓰쿠바대학 등 3개 대학, 일본 내 국제 연구교류 및 기술 핵심지역

대만

  • 1980년대부터 신주(新竹)지역을 테크노파크 조성, 첨단, 비메모리 산업 육성
  • TSMC, UMC, 윈본드 등 반도체 회사 본사와 공장, 대만 반도체 기업의 70%
  • 대만 정부가 반도체와 첨단 기업의 공장·주거단지와 공원·여가 공간·대학·국립 연구소와 지원 행정기관까지 모은 산업단지, 정부가 회사에 직접 투자
  • 부품부터 시스템 제조업체까지 한곳에 모여 있어 시너지 효과 큼

중국

  • 중관춘(中关村)은 1988년 중국 최초로 지정된 첨단 기술 개발구�: 베이징 대학, 칭화 대학 등 대학들이 몰려 있는 베이징 시 하이뎬 구(海淀區) 위치
  • 선전시(深圳), 홍콩과 인접1980년에는 개혁개방 노선을 채용한 덩샤오핑의 지시에 의해 경제특구가 지정, 화웨이, 티피링크, 텐센트 등 IT 대기업 본사

8 of 21

3.1 Framework – History(2)

8

대덕: 1975 –

  • 한국전자통신연구소를 비롯한 13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입주. 이어 삼성, 현대 등 민간기업연구소들이 입주

KAIST: 1971 –

  • 미국 600만불 교육차관으로 KAIS 설립(Terman 박사 조사단)
  • 1981년 KAIS, KIST 통합 설립, 컴퓨터, 인터넷 기술 기반 벤처기업 배출�: 휴먼컴퓨터, 퓨쳐시스템, 터보테크, 인젠 등
  • SBS 드라마 카이스트 1999 – 2000년

테헤란 밸리: 1995 –

  • 강남역 – 삼성역 3km 구간�한국 IT산업의 중심지, 'IT붐‘ 시절 안철수연구소, 두루넷, 네띠앙 등 소프트웨어와 정보통신 벤처기업이 입주

분당: 2010 –

  • 네이버 그린팩토리, 게임회사

판교: 2012 –

  • 경기도에서 IT산업을 키워보기로 하고 IT밸리 선정, 성남시가 판교신도시 계획에 신분당선 계획이 있다는 점을 내세워 유치함. 2006년 착공
  • 2012년부터 1세대 기술벤처 한컴, 안랩 및 게임회사 엔씨, 넥슨, NHN, 네오위즈 등 IT기업들이 판교테크노밸리로 입주, 주변 아파트 부동산 개발

9 of 21

3.1 Framework – History(3)

9

인천 송도 바이오클러스터: 2010 –

  •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라
  • 삼성 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사이언스
  • 제조시설과 물류창고 집적, 국내 바이오 기업은 중요 원부자재 및 용역 서비스 공급 유리, 제조 원가 절감

대덕 바이오클러스터,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1975 -

  • 대덕 연구개발특구 내 정부 출연연구기관, 정부투자기관, 연구기관, 기업부설연구소, 대학 등으로 구성된 연구개발 중심형 클러스터
  • 오송 국가산업단지 지정(1997)

경기도 바이오클러스터

  • 삼성제약ㆍ대웅제약ㆍ안국약품 등 제약 산업이 집적된 향남제약 지방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이 단지는 기업체 중심으로 형성
  • 광교 테크노밸리와 최근 조성된 판교 테크노밸리에는 기업뿐만 아니라 차세대 융합기술연구원, 경기과학기술진흥원, 경기신용보증재단 등 기업 지원기관과 관련 인프라 및 서비스 제공 기관들이 입주

10 of 21

3.3 Framework – History(4)

10

11 of 21

3.2 Framework - Ecosystems

11

대학

  • KAIST, Postech
  • 호서대 벤처대학원
  • 한양대, 국민대, 고려대, 서울대
  • 산학협력단, 기술지주회사 설립
  • 학부생 1인 창업 지원 중심, 교수 창업, 실험실 창업 한계
  • 교내 엑설러레이터, VC 도입, 학교의 영리 활동 인식 변화 필요

12 of 21

3.2 Framework - Ecosystems

12

투자

  • VC의 역할 (강남에 집중)
  • 정부지원 중심� - 모태펀드: 한국벤처투자

- TIPS

  • Accelerators : 글로벌 수준
  • Incubators
  • Co-working Space

13 of 21

3.3 Framework - 정부의 역할 이슈

13

대덕*

  • 1973년 1월 ‘제2연구단지 건설기본계획' 확정
  • 1978년부터 연구소들이 이전�: 표준연구소, 화학연구소, 기계금속시험연구소, 전자기술연구소
  • 1980년대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설립 확대, 기업 연구소들도 대거 대덕연구단지로 이전/설립
  • KAIST가 1989년에 대전으로 이전

🡪 민간기업, 벤처 10~20% 미만 이슈

판교

  • 손학규 경기도지사 시절 경기도에서 IT산업을 키워보기로 하고 IT밸리를 만들 곳을 신청받음. 성남시가 판교신도시 계획에 강남구와 바로 연결되는 신분당선 계획이 있다는 점을 내세워 유치 경쟁에서 승리
  • 2005년 판교신도시 계획을 수정하여 2006년 판교테크노밸리를 착공

🡪 Commons 부족, Hsinchu, 중관촌, 심천, 항조우 사례 분석

* https://theme.archives.go.kr/next/koreaOfRecord/daedukResearch.do�송성수. (2009). 과학기술거점의 진화: 대덕연구단지의 사례. 과학기술학연구9(1), 33-55.

14 of 21

3.4 Framework - 지역 간 격차 이슈

14

Ro Khanna*

  • Digital Economy의 발전이 다른 지역에 분배?
  • 지역 별 차이, 저성장 지역에 대한 지원
  • 디지털 경제의 발전과 사회적 진보
  • 기술 발전에 기반한 사업이 발달하면서 개인 정보 보호와 안전, 형평성과 접근성, 연결 및 커뮤니티 등 사회적 이슈 등이 발생함
  • 디지털 혁명에 뒤쳐진 사람들과 지역을 고려해야 함. 특히 시골 마을과 흑인 및 유색인종 지역 사회에 더 많은 부를 창출할 기회를 제공해야 함
  • 실리콘 밸리나 동부 해안 도시 중심에 집중된 정보기술이 이전할 필요는 없으나, 지방의 디지털 경제가 발전해야 함�예) 오클라호마 털사, Black Tech Street, 각 주마다 농업 시스템을 지원하는 디지털 그랜트 칼리지

🡪 카카오가 제2캠퍼스를 광주에 만들 수 있을까? � 구글 NY, Austin 캠퍼스 분석, IT인력의 남방한계선?

Khanna, R. (2022). Dignity in a Digital Age: Making Tech Work for All of Us. Simon and Schuster.

15 of 21

3.5 Framework – Other Issues

15

Flexibility

  • 점심생활권
  • Cambridge와 같은 독립적 운영(ARM, Oxford 아스트라제네카)
  • 원격 근무�- 코로나19 2020년 상반기에 선진국에서는 원격근무 비율이 50~60%�- 코로나19 이전에 전체 근로자 중에서 재택근무 비중이 미국이 3%, EU가 5%, 가장 높은 네덜란드 13.7%�- 대한상공회의소가 회원사 312개 기업의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코로나19 이후 업무방식 변화 실태’(2020년 6월 30일 발표) 재택근무, 화상회의 등 비대면 원격근무 방식을 시행 기업 34.4%�- 전체 유연근무제 활용 중에서 재택 및 원격근무제 비중은 5.8%(2017년 8월 기준) (통계청 KOSIS)� -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유연근무제 활용 인원이 16.1%, 재택근무유형 비중은 0.6%�- 공공과 민간을 포함한 재택근무 비중은 0.01%~0.64%�- 원격근무를 꺼리는 이유: 기존 업무방식과 충돌(62.9%), 업무진행속도 저하우려(16.7%), 정보보안 우려(9.2%), 인프라 구축비용 부담(7%) 등

Source: http://m.worklaw.co.kr/ja_data/intranet/contents/N202009_046%ED%8A%B92_%EC%9D%B4%EB%AA%85%ED%98%B8.pdf

16 of 21

Silicon Valley vs. Gangnam-Pangyo

16

Gangnam

Pangyo

15km

15km

Source:

Google Maps

17 of 21

San Francisco Inner City

17

Source:

Google Maps

18 of 21

4. Discussions

18

  • Daum 제주도 이전 시도
  • 최신 경영 및 기술정보 취득
  • 산학연 공동연구 및 기술협력 지원
  • 공동연구 장비 및 시설 인프라 지원
  • 법률, 금융, 투자, 행정 등 지원시설
  • 탁아 등 공공보육시설

19 of 21

Reference

19

  • 1) Khanna, R. (2022). Dignity in a Digital Age: Making Tech Work for All of Us. Simon and Schuster.
  • 2) Vaidyanathan, G. (2008). Technology parks in a developing country: the case of India.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33(3), 285-299.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0961-007-9041-3
  • 3) Hasan, S., Klaiber, H. A., & Sheldon, I. (2020). The impact of science parks on small-and medium-sized enterprises’ productivity distributions: the case of Taiwan and South Korea. Small Business Economics, 54(1), 135-153.: 대만, 한국 사례
  • 4) Wikipedia
  • - Science Park https://en.wikipedia.org/wiki/Science_park
  • - Cambridge Science Park https://en.wikipedia.org/wiki/Cambridge_Science_Park
  • - Tsukuba https://en.wikipedia.org/wiki/Tsukuba
  • - Hsinchu https://en.wikipedia.org/wiki/Hsinchu
  • - Zhongguancun https://en.wikipedia.org/wiki/Zhongguancun
  • 5) O'Mara, M. (2020). The code: Silicon Valley and the remaking of America. Penguin.
  • 6) Teheran Valley Government material
  • 7) Pangyo 경기도시공사 material
  • 8) 조선일보, 2022. 1. 1.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2/01/01/2JJOJ6AG35GDDGOAWQZNJIUZHM/
  • 9) Cohan, P. S., Cohan, P. S., & Ramachandran. (2018). Startup Cities. Apress.
  • 10) https://foundershield.com/blog/cities-biotech-startups/

20 of 21

References - Additional(1)

20

  • 1) Kyoung-Joo, L., & Eun-Young, K. (2018). A leadership competency model of science and technology parks: the case of Chungbuk Techno Park in Korea.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 innovation, 13(4), 105-114. : 충북 케이스 스터디
  • 2) Park, Y. H. (1994). Prospects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High Technology Park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10(2), 31-44.: 개발
  • 3) Park, S. C., Seong-Keun, L., & Lee, K. R. (2004). A Comparative Study of Development Strategies and Government-Industry-University Linkages of Science and Technology Parks in Finland and South Korea. Korea Observer, 35(4), 709.: 정부-산업-대학 비교 연구
  • 4) Shin, D. H. (2001). An alternative approach to developing science parks: A case study from Korea. Papers in Regional Science, 80(1), 103-111.: 개발
  • 5) Park, S. C. (2002). Science parks in South Korea and Sweden: A study on comparison between Taedok Science Town and Ideon Science Park. Korea Observer, 33(1), 109.: 한국, 스웨덴 사례
  • 6) Sung, T. K., Gibson, D. V., & Kang, B. S. (2003).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transfer in business ventures: the case of Daejeon, Korea.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70(5), 449-466.: 대전 사례
  • 7) Yan, M. R., Chien, K. M., Hong, L. Y., & Yang, T. N. (2018). Evaluating the collaborative ecosystem for an innovation-driven economy: A systems analysis and case study of science parks. Sustainability, 10(3), 887.: 생태계
  • 8) Yun, S., & Lee, J. (2013). An innovation network analysis of science clusters in South Korea and Taiwan. Asia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21(2), 277-289.: 한국, 대만 사례
  • 9) Seo, J. H. (2006, December). The Korean techno-parks as the hub of sub-national innovation system: case of Daegu techno-park. In National Workshop on “Sub-national Innovation systems and technology building policies to enhance competitive of SMEs (pp. 21-22).: 대구 사례
  • 10) 이원철, & 최종인. (2014). 과학연구단지의 기초원천 기술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지방과학연구단지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9(3), 63-74.

21 of 21

Reference – Additional (2)

21

  • 11) 정선양, 황두희, & 임종빈. (2016). 혁신클러스터의 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판교테크노밸리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19(4), 848-872.
  • 12) Arthurs, D., Cassidy, E., Davis, C. H., & Wolfe, D. (2009). Indicators to support innovation cluster policy.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46(3-4), 263-279.
  • 13) Hobbs, K. G., Link, A. N., & Scott, J. T. (2017). Science and technology parks: an annotated and analytical literature review.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42(4), 957-976.
  • 13) Isenberg, D. J. (2010). How to start an entrepreneurial revolution. Harvard business review88(6), 40-50.
  • 14) Lecluyse, L., Knockaert, M., & Spithoven, A. (2019). The contribution of science parks: A literature review and future research agenda.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44(2), 559-595.
  • (15) Ramírez-Alesón, M., & Fernández-Olmos, M. (2018). Unravelling the effects of Science Parks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NTBFs.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43(2), 482-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