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f 6

2020 디지털 인문학 대회

-비대면 시대의 인문학 교육과 디지털 인문학-

[해외 한국학 교육과 디지털 인문학]

민원정

칠레가톨릭대학교 아시아센터/역사학과

& 서울대학교 규장각 국제한국학센터

2 of 6

목차

들어가는 말

아날로그 한국학

디지털 한국학

나가는 말

3 of 6

들어가는 말

‘‘In the age of ‘fingertip knowledge,’ curiosity is the key to learning.”

—Elliott Masie, chair, The Learning Consortium at The Masie Center

4 of 6

아날로그 한국학

  • 숫자로 보는 해외한국학
  • 한국학의 정의와 목적
  • 컨소시엄은 아픈 손가락을 치료할 수 있는가?
  • 한류와 한국학
  • 한국어와 한국학
  •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 한국의 지원

5 of 6

디지털 한국학

  • 지식 기반 학습에서 스스로 “하는" 한국학으로
  • 아카이브 구축 및 공유
  • 활용 도구의 개발
  • 언어권 문화권 별 자료의 아카이브화
  • 자료의 활용
  • 비판적 사고 형성

6 of 6

나가는 말

  • 융합은 선택이 아닌 필수
  • Post Covid-19
  • 지리적 거리 극복
  • 텍스트와 강사진의 부족 극복
  • 디지털 원어민 세대의 호기심을 활용하는 디지털 한국학
  • 해외한국학지원사업의 예산 절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