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f 18

High Technology Ventures

2022.06.29

한국인터넷역사프로젝트 KR4050

전성민

가천대학교 경영학부, 벤처창업학회

2022 KR4050 Workshop 2022.06.19rev6.19

2 of 18

2

전성민

  • 현 가천대 경영학부 교수, 한국벤처창업학회장
  • 서울대 경제학사, 서울대 경영학 박사
  • IBM, 삼성에서 IT 프로젝트 참여
  • 서울 및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서 창업
  • 플랫폼 비즈니스, 오픈 이노베이션 연구

3 of 18

Table of Contents

1. Introduction

2. Timeline

3. Case studies

4. Remarks

5. Issues

References

3

4 of 18

1. Introduction

4

  • 20세기 한국에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들이 출현하고 '인터넷 혁명'이라 불릴 정도로 사회, 경제적으로 거대한 영향을 미쳤으나 인터넷 비즈니스 역사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
  • 기존의 출판물은 네이버, 넥슨 출입기자의 회사에 대한 기록물이거나 NC Soft 창업자에 대한 에세이 형태였으며 NHN 합병 등 일부 사례 연구만이 이뤄진 상황

🡪 다음 세대에 전달한 인터넷 비즈니스� 역사 연구 목표

5 of 18

2. Timeline

5

1980

Intel

Apple� Microsoft

Dell

Oracle

1990 Netscape

Yahoo

eBay

Amazon

Google

Silicon Valley KOREA

메디슨 Medison

큐닉스 Qnix

삼보 Trigem

Human Computer

새롬 Serome

아이네트 iNet

넥슨 Nexon

NC소프트 NC Soft

다음 Daum

네이버 Naver

출처: 이민화, & 최선. (2015). 기업가정신/벤처/창업/정책: 1 차 벤처붐의 성과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평가. 중소기업연구, 37(4), 147-179.

6 of 18

3. Case Studies

6

3.1 큐닉스 Qnix

3.2 메디슨 Medison

3.3 휴먼컴퓨터 Human Computer�3.4 새롬기술 Serome

3.5 다음 Daum

3.6 네이버 Naver

3.7 싸이월드 Cyworld

7 of 18

3.1 큐닉스 컴퓨터 Qnix

7

  •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출신의 이범천 박사가 81년 창업
  • 애플컴퓨터의 애플Ⅱ / IBM이 개발한 PC(IBM 호환기) / 일본 아스키와 마이크로소프트가 함께 설계한 MSX 계열(게임단말기로 유명) / 삼보컴퓨터와 삼성전자가 텔레비전 수상기를 모니터로 개조해 조립한 교육용 컴퓨터
  • 큐닉스는 MSX 진영에 포진하여 마이크로소프트 제품을 한국 시장에 공급하는 최초의 총판, 한국 마이크소프트 합작
  • 프린터와 PC, CAD 부문 두각, 계열사 확대 중 ‘97년 금융위기

출처 : 이코노미21(http://www.economy21.co.kr)

8 of 18

3.2 메디슨 Medison

8

  • 1985년 7월 휴대용 초음파 진단기로 시작, 3차원 초음파 진단기를 상용화
  • 1996년 1월 코스피(한국거래소) 상장�: 2000년 초 시가총액 1조 5,000억 원
  • 1990년대 들어서면서 메디다스, 메디코아, 메디페이스, 유비케어 등 30여 개 회사를 배출, 100개 이상의 자회사벤처 거품이 시가총액이 10분의 1로 하락
  • 이민화 회장, 1995년 12월 벤처기업협회를 설립, 1996년 코스닥 설립 주도, 1997년 '벤처기업육성에관한특별조치법' 제정에 기여
  • ‘벤처연방 신화’를 내세워 투자 기반의 선단 경영을 했다는 비판

9 of 18

3.3 휴먼컴퓨터 Human Computer

9

  • DTP(Desk Top Publishing)프로그램 ‘문방사우’, 윈도용 워드프로세서 ‘글사랑’, 윈도용 서체 ‘휴먼폰트’ 등 한글 지원 소프트웨어 제작
  • 89년 정철 전 사장이 삼보컴퓨터의 출자를 받아 KAIST에서 전산학을 전공한 박사들이 모여 설립, 초기에 허진호 박사가 개발이사를 맡음
  • DTP 분야에 맥킨토시 활용으로 시장 잠식
  • 97년 정철 사장이 지분을 넘기고 삼보컴퓨터에 합류
  • 99년에 사명을 휴먼컴으로 변경, XML 및 인터넷을 통한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판매 사업
  • 2000년 코스닥 상장, 미래랩의 영업권 양수�

출처 : https://www.inews24.com/view/99227, https://www.joongang.co.kr/article/898582#home

10 of 18

3.4 새롬기술 Serome

10

  • 1993년 설립, 한국과학기술원 전산과 석사 출신 창업
  • 초기에 팩스맨과 새롬 데이타맨
  • 1999년 8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 시가총액이 5조 원이 넘기도 함
  • 1999년 10월 미국에 인터넷 전화인 다이얼패드 서비스 시작
  • 2000년 초 다음, 네이버컴을 인수합병 시도�- 다음의 제2주주인 베텔스만의 반대로 무산�- 네이버컴에는 250억 원을 투자

11 of 18

3.4 새롬기술 (Continued) - Dialpad

11

  • 새롬기술 미국 지사장 안현덕, 조원규, 김도연 +엔지니어 4명 실리콘밸리 지사 운영
  • ‘97년말 외환위기로 새롬기술의 지원이 끊긴 상태에서 독자 회사 다이얼패드 창업
  • ‘98년 말 크리스마스 휴가 때 인터넷 광고 단가가 올라가고 전화비는 내려가는 것을 본 뒤 광고를 보여주는 대신 공짜 전화를 제공하는 수익모델을 구상
  • ‘99년3월 한국계 투자회사의 자금과 사무실을 투자 유치
  • 웹사이트에서 바로 전화를 걸 수 있는 서비스
  • 무료 고객이 최고 1천400만명, 투자자금 6천만달러, 직원 수 170명
  • 창업 2년10개월 만에 법정관리 신청
  • 2001년 9·11 이후 자금조달 실패, 파산�

출처: https://news.nate.com/view/20130204n02074?mid=n1006

  • - 2003년 스웨덴의 니클라스 젠스트롬, 덴마크 야누스 프리스 공동 설립
  • - 2005년 이베이(eBay) 인수
  • - 2009년 9월 앤드리슨 호로위츠 27억 불 가치로 지분 65%를 인수
  • - 2011년 마이크로 소프트에 85억 불에 인수

12 of 18

3.5 다음 Daum

12

  • 1995년 이재웅. 박건희, 이택경 창업
  • 예술 사이트로 시작
  • 1997년 5월 평생 무료 이메일 '한메일넷‘
  • 1998년 말에 회원수 100만 명을 달성하며 국민 이메일로 성장
  • 네이버 검색엔진 사용
  • 1999년 11월에 코스닥시장 등록, 26 일 연속 상한가

당시 인터넷 생태계는 외국계 포털 야후의 영향력이 강했고, 인터넷의 사업성을 내다본 대기업도 속속 시장에 진입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한메일넷은 벤처 특유의 빠른 의사결정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시장 선점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

출처: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8/17/2016081702100.html

13 of 18

3.6 네이버 Naver

  • 1997년 삼성SDS 사내벤처, 이해진 창업
  • 1999년 분사 네이버컴(주) 설립
  • KTIC 100억 원 단독 투자, 20% 지분
  • 2000년 한게임 합병, 서치솔루션 인수
  • 2000년 한게임 합병 이후 일본 진출, 검색엔진, 블로그 서비스, 라이브도어 인수
  • 2011년 LINE 을 출시, 일본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시장 점유율 1위
  • 2020년 소프트뱅크 그룹 네이버 합작 벤처인 A홀딩스, 그 산하의 Z홀딩스를 통해 관리

13

Microsoft, Yahoo! 등 많은 회사들이 검색 서비스 개발에 뛰어들었으나 대부분 실패

미국, 중국, 러시아, 한국만이 독자적 검색 서비스

14 of 18

네이버, 다음의 성장과 이후 영향

  • ‘카페‘ 등과 같은 커뮤니티, 소셜 미디어 서비스 태동
  • 지식인, 웹툰 등의 콘텐츠 서비스 생태계 조성
  • 언론 및 뉴스 열람이 네이버, 다음 중심으로 재편
  • 거리뷰, 로드뷰 등을 포함한 지도 및 지역정보 서비스
  • 검색 광고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 안정화

14

네이버와 다음은 미래지향적 인터넷 서비스, 다음세대를 위한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시도하면서 콘텐츠, 커뮤니티 및 전자상거래 분야의 리더 역할을 하면서 인터넷 문화 형성을 주도함

15 of 18

3.7 싸이월드 Cyworld

  • 1999년 카이스트 전산학과 서광식 졸업 논문 프로젝트, 인맥 커뮤니티, 소셜 미디어 서비스
  • 2002년 프리챌의 유료화 실패로 클럽 등의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하는 네티즌들이 대거 싸이월드로 이동
  • 미니홈피를 통해 사진 등 추억, 정보 저장 및 공유
  • SK커뮤니케이션즈에서 인수 후 본격적 성장, 사용자 3,000만 명 이상
  • ‘도토리’라는 소액 결제 수단
  • 보안 및 커뮤니티 관리 실패로 성장 정체, 쇠퇴

15

인터넷의 개인 홈페이지를 소셜 미디어 형태로 발전시켰으나 친구, 연인, 가족 범위를 뛰어넘는 ‘약한 유대’ 네트워크로의 확대에는 한계를 가짐

16 of 18

4. Remarks

16

  • 주요 벤처기업들은 공통적으로 새로운 인터넷 기술 도입을 기회로 삼아 빠르게 가치를 창출하여 사회를 바꾸려 하는 기업가정신을 추구함�: 컴퓨터 🡪 네트워크 🡪 인터넷 서비스
  • IT 우수기술인력의 창업 및 사업경영, 대기업 🡪 하이테크 벤처 취직 후 창업
  • 1997년 말 외환위기로 인해 인재와 자금이 벤처로 이동한 환경적 변화가 성장의 기폭제가 됨
  • 코스닥을 통한 자금조달 등은 벤처기업들의 시장기회를 확대하고 성장에 기여를 함
  • 자율적이고 유연한 기업문화에 형성하며, 대학가에 창업 붐을 일으킴�

17 of 18

5. Issues

17

  • 외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가 코스닥 시장과 중소기업 위주의 벤처기업 육성책을 내면서 IT버블 발생
  • 코스닥 시장 주가 조작 및 상장폐지(골드뱅크, 장미디어, 드림라인, 메디슨, 하우리, 로커스 등)
  • 벤처 게이트 사건 등 신뢰 상실로 벤처창업 생태계 한동안 고사상태에 놓임
  • 2000년대 말 스마트폰 등장 전까지 네이버, 다음 양사의 인터넷 서비스로 집중되는 패턴

* 향후 연구 주제의 확장�- 한중일, 네이버, 넥슨, 카카오 회사별 사례 연구

18 of 18

References

18

1. 벤처기업협회 (2015). 대한민국 벤처 20년사

2. 성소미 (2001). 한국의 벤처 평가와 전망.

3. 이민화, 최선 (2015). 기업가정신/벤처/창업/정책: 1 차 벤처붐의 성과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평가. 중소기업연구, 37(4), 147-179

4. Aspray, W., & Ceruzzi, P. E. (2008). The internet and American business (Vol. 1). The MIT Press.

5. Jeon, S., Yoo, B., & Kim, I. (2013). Merger and Spin-Off of Hangame: Implications for Internet Portal and Web Game Industry. Academy of Entrepreneurship Journal, Dec 13-11.

6. Wi, J. H. (2010). NCsoft's Global Success and Future Challenges. SERI Quarterly3(2), 76.

7. Zhang, J. (2003). High-tech start-ups and industry dynamics in Silicon Valley. Public Policy Instit. of 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