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f 19

과학철학 수업 1.

귀납과 귀납주의

과학철학과 과학교육

2 of 19

수업 목표

  • 과학은 믿을만한 것인가?에 대한 질문의 의미와 이에 대한 앨리스와 토마스의 입장을 대비하여 설명할 수 있다.
  • 과학혁명이 일어날 당시의 과학사에 대해 이해한다.
  • 아리스토텔레스가 지식을 얻기 위한 방법과 베이컨의 귀납의 방법의 차이를 알고 설명할 수 있다.
  • 도구주의와 실재론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 목적론과 경험론의 차이를 이해하고 이것이 과학의 발달에 미친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 베이컨이 '마음의 우상'을 비유적으로 설명한 이유를 안다.
  • 과학에서 실험의 역할을 베이컨의 관점과 아리스토렐레스의 관점에서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 베이컨의 귀납적 방법을 '일람표'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 '제거의 방법'이 무엇인지 예를 들어 설명한다.
  • '결정적 실험'이 무엇인지 예를 들어 설명한다.

3 of 19

앨리스와 토마스

  • 앨리스와 토마스의 글을 읽고 두 입장이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자.
  • 두 사람 중 어느 사람의 주장에 동의하는지 얘기해보자.

4 of 19

우리는 과학자들의 말을 어떻게 믿는가?

  • 과학적 방법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입증
  • 실험과 관찰들로 이루어지고 관련이 있다

5 of 19

우리는 과학자들의 말을 어떻게 믿는가?

  • 과학적 방법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입증
  • 실험과 관찰들로 이루어지고 관련이 있다

6 of 19

과학혁명

  •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스콜라 철학)
    • 기독교 교리와 결합
    • 행성들의 운동에서 낙하운동하는 물체까지 기술
    • 당대의 지식인들은 의심없이 받아들임
    • 흙, 공기, 불, 물의 결합
    • 지구상의 운동은 직선운동
    • 하늘에 있는 것은 완전하고 변하지 않는 것이며 원운동

7 of 19

과학혁명

  • 코페르니쿠스(1473~1543)가 행성 운동 이론에 관한 책을 발간(1543)
    • 프톨레마이우스(150): 공전운동의 수학적 기술
      • 역행운동: 주전원을 도입하여 설명함
    • 천체의 중심에 지구 대신 태양을 가져다 놓음
      • 수학적으로 매우 단순화됨
  • 케플러(1571~1630)에 의해 개선됨
    • 타원운동

8 of 19

과학혁명

  •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은 우리의 경험과 상충됨
    • 우리가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전혀 느끼지 못함
    • 계산상의 편의(오시안더의 서문)
      • 도구주의
        • 과학이론을 참이라고 믿을 필요가 없으며, 단지 사용하기에 편리한 허구적 이야기라고 간주됨
        •  참고) 실재론
  •  

9 of 19

과학혁명

  •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스콜라 철학)
    • 기독교 교리와 결합
    • 행성들의 운동에서 낙하운동하는 물체까지 기술
    • 당대의 지식인들은 의심없이 받아들임
    • 흙, 공기, 불, 물의 결합
    • 지구상의 운동은 직선운동
    • 하늘에 있는 것은 완전하고 변하지 않는 것이며 원운동

10 of 19

과학혁명

  • 코페르니쿠스(1473~1543)가 행성 운동 이론에 관한 책을 발간(1543)
    • 프톨레마이우스(150): 공전운동의 수학적 기술
      • 역행운동: 주전원을 도입하여 설명함
    • 천체의 중심에 지구 대신 태양을 가져다 놓음
      • 수학적으로 매우 단순화됨
  • 케플러(1571~1630)에 의해 개선됨
    • 타원운동

11 of 19

과학혁명

  •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은 우리의 경험과 상충됨
    • 우리가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전혀 느끼지 못함
    • 계산상의 편의(오시안더의 서문)
      • 도구주의
        • 과학이론을 참이라고 믿을 필요가 없으며, 단지 사용하기에 편리한 허구적 이야기라고 간주됨
        •  참고) 실재론
  •  

12 of 19

귀납의 '새로운 도구'

  • 베이컨(1561~1620)
    • 지식이 힘이다
    • 평등주의
    • 집산주의
    • 논리
      • 모든 사람은 죽는다
      •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 연역논리
      • 새로운 사실을 도출해내지 못함

13 of 19

귀납의 '새로운 도구'

  • 아리스토텔레스의 지식
    • 인식될 수 있는 것의 범위
      • 모든 사라물은 자신들의 고유한 자연적 위치를 향하고 있다.
      • 불의 원소의 자연적 위치는 지상계의 꼭대기에 있기 때문에 지구의 표면 가까이에 있는 불꽃은 위로 올라가게 된다.
    • 지적인 직관
    • 목적론적인 설명: 사물의 본성에 따라 주어진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함
  • 경험론자들의 지식
    • 오직 세계에 대한 지식을 발견할 수 있는 감각만을 사용해서 얻을 수 있는 것
    • 순수한 사유나 이성을 사용해서는 얻을 수 없다.

14 of 19

귀납의 '새로운 도구'

  • 논증 1.
    • 성경은 신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 성경은 신의 말씀이고 그래서 참이다.
    • 그러므로 신은 존재한다.
  • 논증 2.
    • 지미는 자신이 철학자라고 주장한다.
    • 나는 그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믿을만한 근거를 가지고 있지 않다.
    • 그러므로 지미는 철학자이다.

15 of 19

귀납의 '새로운 도구' : 선입견

  • 마음의 우상
    • 종족의 우상
      • 인간이기때문에 가지는 한계
    • 동굴의 우상
      • 자신의 경험을 일반화
    • 시장의 우상
      • 언어의 불완전성
    • 극장의 우상
      • 어떤 학파나 교리가 참이라고 믿는 것

16 of 19

귀납의 '새로운 도구' : 실험

  • 베이컨은 실험을 함으로써 '자연으로부터 강제로 비밀을 얻을 수 있다.'
  • 실험
    • 반복가능한 것이므로 누구나 조사할 수 있다.
    • 실험장치는 감각적인 오류를 제거한다.
    • 근대과학에서 실험은 필수적임
      • 아리스텔레스의 방법에서는 거의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함

17 of 19

귀납의 '새로운 도구' : 일람표, 제거

  • 귀납적 비약의 문제
    • 개별사례로부터 일반화로 추리하는 것
    • 긍정적인 사례를 찾는 것이 아니라 부정적인 사례를 찾음으로써 귀납적 비약을 피할 수 있음
  • 일람표
    • 본질과 존재의 일람표
      • 정오의 태양, 용암, 불, 끓는 액체...
    • 근접과 일탈/부재의 일람표
      • 보름달, 바위, 공기, 찬물
    • 정도와 대조의 일람표
      • 열량 측정
  • 제거의 방법
    •  열은 구성성분들의 팽창운동이다.

18 of 19

귀납의 '새로운 도구' : 직접적인 원인

  • 팽창운동에 관한 형상은 겉으로 관찰되고 있는 열 현상의 이면에 있는 것이다.
  • 순환론적 설명
    • 아편은 잠이 오게 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편은 사람들이 잠이 들게 한다.
  • 목적인의 추구를 포기한 것은 과학혁명에서 비롯된 주요 결과들 중 하나이다.
    • 사람의 코가 현재 모양대로 생기게 된 것은 안경을 쓰기 편하게 해주기 위함이다(팡글로스) (볼테르(1694-1778)
  •  직접적인 원인들과 그러한 사물들을 지배하는 자연의 법칙을 언급해야 한다. (베이컨)

19 of 19

귀납의 '새로운 도구' : 결정적 실험

  • 서로 다른 형상을 제안하는 경우
    • 빛의 입자설과 파동설
  • 열등한 사례, 결정적 실험
    • 한 쪽 이론이 예측하는 결과가 나오는지 아니면 다른 쪽 이론이 예측하는 결과가 나오는지 실험을 고안
    • 만유인력의 법칙, 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