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est edit access
[사전등록] 2025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개관10주년 특별전시 봄의 선언》 사전 국제 심포지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2025년 개관 1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시 «봄의 선언»에 앞서 전시의 담론을 함께 나누는 사전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합니다. «봄의 선언»은 현재 우리 삶에서 민주주의의 투쟁의 대상이 무엇인지 질문을 던집니다. 꽃처럼 저물어간 광주의 봄은 이제 다시 돌아오지 않을지 모르는 침묵의 봄이 되었습니다. 우리는 사라져간 봄 너머 자본주의의 전략을 감지하고, 삶과 예술로서 그 대안과 실천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자본주의의 폐허에서 자라난 송이버섯을 통해 삶의 가능성을 이야기한 『세계 끝의 버섯』 저자 애나 칭, 인류세를 보완하여 ‘자본세’ 이론을 명명한 세계생태론의 제이슨 W. 무어와 함께 인류세와 자본세의 최신 담론과 예술적 태도들을 점검합니다. 또한, 협력기관으로 «봄의 선언»을 함께 기획하는 ZKM 카를스루에 예술미디어센터, M+ 뮤지엄이 라운드테이블을 통해 이 주제에 대한 생각들을 함께 나눌 예정입니다.  

인간만이 아닌 비인간, 다종생물들과 공존하는 미래의 민주주의 만들기에 함께 참여해 주세요.

| 일       시 | 2024년 10월 24일(목), 13:00~17:30 / 10월 25일(금), 10:30~18:30
| 장       소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극장3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 38, 문화정보원 B3)

| 세부일정 | 

DAY 1. 10월 24일(목), 13:00~17:30

개회
- 개회사   이강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장)
- 축사  수한야 래플 (M+ 뮤지엄 관장)
- 축사  앨리스터 허드슨 (ZKM | 카를스루에 예술미디어센터 과학예술감독)

세션 1 : 페허에서 발견하는 생명다양성
모더레이터 : 노고운 (전남대학교 문화인류고고학과 교수)
- 기조강연 및 질의
・ 습지의 삶  애나 칭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크루즈 캠퍼스, 오르후스 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온라인 
- 발표 
・ 에코페미니스트 쾌락주의와 종-관계의 정치학  황주영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 연구위원)
・ 테라0 - 진화하는 프로토타입  파울 자이들러 (테라0)
・ 벗과 함께  조지은 (이끼바위쿠르르)

DAY 2. 10월 25일(금), 10:30~18:30

세션 2 : 자본세의 전략 드러내기 
모더레이터 : 박선희 (조선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 기조강연 및 질의
・ 생명의 그물 속 민주주의: 부유한 자들의 인류세를 넘어서 — 제이슨 W. 무어 (빙엄턴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발표 및 토론
・ 기후/아시아: 탄소식민주의와 아시아라는 공동체 — 서동진 (계원예술대학교 융합예술학과 교수) 
・ 인류세 생존주의 - 공(公)과 케노시스(kenosis)로서의 생존 — 김홍중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예술, 또는 태고의 침묵 — 김순기 (예술가)

세션 3 : 예술로 다종의 세계 만들기 
모더레이터 : 정현 (인하대학교 조형예술학과 교수)
- 발표 및 토론
・ 벌집의 지혜: 돌봄으로 집단 지성 키우기 — 레오나르트 바르톨로메우스 (루앙루파)
- 라운드테이블 및 질의
・ 2025 《봄의 선언》 전시에 대해서 
김지하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학예연구관), 임리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학예연구사), 실케 슈미클 (M+ 뮤지엄 샤넬 리드 큐레이터), 앨리스터 허드슨(ZKM | 카를스루에 예술미디어센터 과학예술감독), 클라라 룽게(ZKM | 카를스루에 예술미디어센터 큐레이터) 

| 주최‧주관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협        력 | M+ 뮤지엄 , ZKM | 카를스루에 예술미디어센터 

* 신청기간 : 2024년 10월 23일(화), 18:00까지 

** 사전등록 확인 및 입장은 30분 전부터 진행됩니다.  
*** 노쇼석에 한해 현장 등록이 가능합니다. 
**** 행사에는 한영 동시통역이 제공됩니다.
***** 휠체어석은 4석입니다. 접근성 안내가 필요하신 경우 문의 부탁드립니다. 

문의 : alstn@korea.kr 
Sign in to Google to save your progress. Learn more
참석 일자 *
Required
신청하신 회차를 다시 한 번 확인해주시고 불가피한 사정으로 참석이 어려울 경우, 사전에 연락 부탁드립니다. 
성명 *
소속 및 직함
연락처 (000-0000-0000) *
이메일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동의를 얻고자 합니다. 
1. 수집항목: 성명, 소속(직함),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목적: 행사 참가자 확인 및 행사 관련 정보 제공 
3. 보유기간: 행사 종료 후 6개월 
* 위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행사 참석에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는데 동의하십니까?
*
사진 및 영상 촬영·활용 동의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진행하는 행사와 관련해 아래와 같이 사진·영상 촬영과 활용 동의를 얻고자 합니다. 
1. 활용목적: 행사 성과 보고, 향후 행사 홍보 등 
2. 활용처: 국립아사아문화전당 웹페이지, SNS, 홍보물 제작 등 
3. 활용자료: 심포지엄 진행시 촬영된 사진과 영상 일체 
4. 기타사항
     - 사진·영상 촬영 초상이용 동의 의사표시 확인 
     - 모든 촬영은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선에서 진행 
     - 촬영된 사진·영상물은 정해진 용도로만 사용 
* 위의 사진·영상 촬영과 활용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에 거부할 경우 행사 참석에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사진·영상 촬영과 활용에 동의하십니까? 
*
참여 연사에게 사전 질문이나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Submit
Clear form
Never submit passwords through Google Forms.
This content is neither created nor endorsed by Google. - Terms of Service - Privacy Policy

Does this form look suspicious?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