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지방자치 30년, 발자취와 미래 인식조사

안녕하십니까?

전북대학교 부설 공공갈등과 지역혁신 연구소입니다.

본 설문은 전북특별자치도의 지난 지방자치 30년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할 목적으로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직접 듣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전북특별자치도의 지방자치 성과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과제를 진단하여 발전적인 정책 대안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도민 여러분들의 진지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귀하께서 응답하신 본 조사의 설문내용 및 개인신상 관련 정보는 통계법 제33조(비밀의 보호)와 제34조(통계종사자 등의 의무)에 의해 통계분석 자료로만 활용되고, 자료처리 과정에 있어 비밀은 절대 보장됩니다. 바쁘시더라도 시간을 할애하시어 설문조사의 결과가 유용한 정책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모든 질문에 성실하고 솔직하게 응답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2025년 7월


주관 : 전북대학교 부설 공공갈등과 지역혁신 연구소

연구책임자 : 하동현 전북대 교수(eastwiser@gmail.com)
Sign in to Google to save your progress. Learn more
통계처리를 위한 기본 질문입니다. 해당하는 부분에 표시(√)해 주십시오.
거주지역 *
Required
성별 *
Required
연령대 *
Required
학력 *
Required
전북거주기간 *
Required
직업 *
Required
PART Ⅰ
주민이 직접 도지사와 시장, 군수를 선출하는 민선지방자치가 1995년에 시행된 이래, 올해로 30년을 맞았습니다. 지방자치 실시 이후 전북에서 다음에 제시한 각각의 항목과 분야가 어느 정도 발전했는지 평가해 주세요. 해당하는 부분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지방자치의 실시에 대해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
지방자치의 실시 이후, 지난 30년 동안 전북은 어느 정도 발전했다고 생각하십니까? *
다음에 제시한 각각의 분야가  지방자치 실시 이후 전북에서 어느 정도 발전했는지 평가해 주세요. 해당하는 부분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전혀 발전하지 않음
그다지 발전하지 않음
보통
어느 정도 발전함
매우 발전함
지역경제 활성화 분야
사회기반시설 확충 분야
생태환경 보전 분야
시군간 균형발전 분야
문화 및 관광 분야
사회복지 분야
보건의료 분야
재난대응 분야
고용 및 일자리 창출 분야
민원서비스 분야
주민안전 분야
교육 분야
주민참여 및 소통 분야
PART Ⅱ

지방자치 실시 이후 추진된 전북특별자치도의 주요 정책 및 사업에 대한 질문입니다. 다음에 제시한 각각의 정책 및 사업이 전북의 발전에 어느 정도 기여했는지 평가해 주세요. 해당하는 부분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산업경제 관련 정책 및 사업입니다.

*
전혀 기여하지 않음
그다지 기여하지 않음
보통
어느 정도 기여함
매우 기여함
기회발전특구 지정(전주, 익산, 정읍, 김제) : 기업의 지방투자 확대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제도로, 세제 감면과 재정지원 정주여건 개선 등 인센티브 부여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 : 이차전지 핵심소재 가공 및 배터리 기업들이 모여 있는 산업단지로, 세금 감면, 인허가 간소화, 연구개발(R&D)등 혜택
국가식품클러스터 조성(익산) : 식품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농어가 소득 증대를 위해 기업, 연구소, 대학 등이 집적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식품전문 산업단지
농생명산업지구 지정(남원, 진안, 고창) : 남원 ECO 스마트팜, 진안 홍삼한방, 고창 사시사철 김치특화 지정으로 농생명 자원의 생산, 가공, 유통, 연구개발을 집적화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 : 대학, 연구소, 기업의 연구개발 촉진과 성과 사업화 및 창업 지원을 통해 국가 기술 혁신 및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지역
신재생에너지 복합단지 조성(부안) : 연구 중심 실증단지, 기업 중심 산업단지, 일반인 체험단지 등 3개 핵심기능을 집적한 국내 최초 신재생에너지 복합기능 단지
농산물 최저가격 보장제 시행 : 시장가격 하락 시 차액의 90% 보전, 시장격리 참여 90% 보전을 통해 농업인의 소득 붕괴를 방지하고 생산 기반을 안정화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 지정(전주) : 탄소 소재부터 관련 완제품까지 탄소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R&D 기관 유치, 취득·재산세 감면 등의 다각적 혜택 부여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김제) : 청년농과 기업에 첨단 농업 교육, 임대형 스마트팜 제공, 실증 기회, 데이터 지원 등 혜택을 제공하는 스마트농업 혁신 거점
자유무역지역 지정(군산, 김제) : 관세·조세·규제 특례를 인정받아 무역·제조·물류·유통 활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정된 국제경제특구

정주환경 및 균형발전 관련 정책 및 사업입니다.

*
전혀 기여하지 않음
그다지 기여하지 않음
보통
어느 정도 기여함
매우 기여함
전주ㆍ완주 혁신도시 조성 및 공공기관 이전
새만금 육해공 트라이포트 조성 추진 : 국제공항, 신항만, 인입철도가 결합된 복합 운송 시스템
전북특별자치도 출범
KTX 호남선 개통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 통과
동부권 균형발전 추진 : 도 산하기관 이전, 특별회계 운영(남원, 진안, 무주, 장수, 임실, 순창)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유치

문화관광복지 관련 정책 및 사업입니다.

*
전혀 기여하지 않음
그다지 기여하지 않음
보통
어느 정도 기여함
매우 기여함
월드컵 경기장 유치 및 2002 월드컵 개최(전주)
2036 올림픽 국내 후보지 선정
전북투어패스 운영
전북광역치매센터 설치
한국 소리문화의 전당 건립(전주)
2024 세계한인비즈니스 대회 개최
태권도원 설립(무주)
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 조성(부안)
희망 High, 아이 Hi 프로젝트 추진 : 청년 주거 지원, 난임·출산·양육 지원, 가족 친화 확대, 다자녀·청년 정착 지원 등
한옥마을 조성(전주)
2017 세계태권도 선수권대회 개최
농민 공익수당 도입
PART Ⅲ
향후 전북특별자치도의 발전 방향에 관한 질문입니다. 
다음에 제시한 각 항목들이 향후 전북의 발전에 어느 정도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지 평가해 주세요. 해당하는 부분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전혀 중요하지 않음
그다지 중요하지 않음
보통
어느 정도 중요함
매우 중요함
생명산업 육성(생명공학, 농생명식품, 의약품, 바이오 등 생명관련 산업의 집중 육성)
전환산업 육성(첨단소재 융복합화, 친환경 모빌리티 미래화, 국제문화산업 거점 조성 등)
생명경제 기반구축(이주 및 정착인구 확대, 금융 및 투자 촉진, 국제 교통망 및 인프라 구축 등)
도민행복 증진(생활환경 개선 및 안전체계 구축, 필수 의료 및 복지 체계 구축, 민생경제 활력 등)
자치 분권(지역주도 행정 강화, 지속가능한 재정력 확보, 교육자치 및 지역인재 육성 등)
다음은 전북특별자치도가 향후 발전을 위해 추진하고자 하는 핵심분야들입니다. 다음에 제시한 항목들 중에서 전북의 발전을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분야를 3개만 선택해 주세요. *
Required
전북특별자치도의 발전방향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과 제안을 자유롭게 작성해 주십시오.
Submit
Clear form
Never submit passwords through Google Forms.
This content is neither created nor endorsed by Google. - Terms of Service - Privacy Policy

Does this form look suspicious?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