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주민참여 예산편성 설문서
  평소 군정운영과 지역발전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협조하여 주신 점 깊이 감사드립니다.

  우리 군은 어려운 재정여건 속에서도 효율적인 재정운영을 위해 경상경비 및 행사・축제성경비 절감, 중앙 및 도 지원 예산확보 등 다각적인 노력을 전개해 오고 있습니다.

  아울러, 우리 군에서는 분야별로 재원을 투자함에 있어 주민의견을 수렴하여 재원배분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주민요구에 부합되는 방향으로 예산편성을 하려고 노력하는 주민참여 예산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본 설문조사는 이와 같은 취지에서 2019년도 예산편성에 앞서 우리 군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주민참여 예산편성의 한 과정이니 군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설문지 작성을 위한 수고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2018년 9월
               
■ 설문작성은 영덕군청 홈페이지(http://www.yd.go.kr) 팝업창으로도 하실 수
   있습니다.

■ 문의처
 - 영덕군청 예산담당 김명중 : 054-730-6032
Sign in to Google to save your progress. Learn more
  이 조사에 조사된 모든 내용은 통계 목적 이외에는 절대로 사용할 수 없으며 그 비밀이 보호되도록 통계법(제13조 및 제14조)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설문서
1. 2019년도 예산 편성 및 향후 5년간  가장 우선적으로 투자해야 할 분야는 어디라고  생각하십니까? (   ) *
2. 2019년도 예산 편성 및 향후 5년간 종전보다 투자를 줄여야 된다고 생각하는 분야는 ? (   ) *
3. 교육사업 분야에서는 어느 분야에 우선적으로 투자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   ) *
4. 지역경제 활성화 분야에서는 어느 분야에 우선적으로 투자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   ) *
5. 농어업혁신사업으로 어느 분야에 우선적으로 투자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   ) *
6. 문화융성시대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투자해야 할 부분은 어디라고 생각하십니까? (   ) *
7. 영덕군 복지정책 중 군민의 복지증진을 위해 가장 역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정책은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 *
8. 여성가족정책 중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분야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
9. 지역의 균형발전과 성장촉진을 위해 우선적으로 투자해야 할 부분은어디라고 생각하십니까? (   ) *
10. 귀하는 2019년도 투자수요가 많아 재원이 부족할 경우 어떤 대책을 마련하는게좋다고 생각하십니까? (   ) *
11. 귀하는 재정상황이 열악한 우리군이 지방재정 확충을 위해서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   ) *
12. 귀하는 군 재정의 어려움으로 투자 축소가 불가피한 경우라면 어느 분야를 우선적으로 축소 조정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    ) *
13. 2019년도 우리 군의 예산편성에 있어 꼭 반영되기를 원하는 사업 및제안사항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검토후 내년도 시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소규모 주민숙원사업(마을안길, 농로포장, 회관건립 등) 제외
  ※  내용이 많을 경우 별지로 작성하셔도 가능하며, 군 홈페이지 “주민참여예산”  창구에 “예산 의견수렴”방을 이용하셔도 됩니다.
14. 우리군이 추진하는 사업중 예산낭비 또는 시정해 주었으면 하고 느끼신 사항과  예산의 효율적 절감에 대한 좋은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기재하여 주시바랍니다.(예산편성 및 업무추진에 적극 반영토록 노력하겠습니다)
※ 내용이 많을 경우 별지로 작성하셔도 가능하며, 군 홈페이지 “주민참여예산”  창구에 “예산 의견수렴”방을 이용하셔도 됩니다.  
15. 귀하의 성별은? (    ) *
16. 귀하의 연령은? (    ) *
17. 귀하의 직업은? (    ) *
18.귀하께서 거주하는 지역은?  ( 읍・면) *
Submit
Clear form
Never submit passwords through Google Forms.
This content is neither created nor endorsed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