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칸트를 꼼꼼하게 공부할 때, 우리는 지금도 여전히 우리 안에 매우 굳건하게 자리하고 있는 주요한 근대적 사유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나는 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 칸트 실천철학 입문] - 칸트의 희망철학적 사유를 중심으로 

이 강좌에서는
- 이 강좌는 칸트 실천철학에 대한 입문적 해설을 제공합니다.
칸트 실천철학의 주요한 체계인 도덕철학과 종교철학, 그리고 역사철학의 주요한 논의의 흐름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봅니다.
칸트 실천철학에서 도덕과 행복, 그리고 도덕과 종교가 어떤 방식으로 관계 맺는지를 이해합니다.
칸트적 인간이 추구하는 도덕적 희망의 본질적 의미를 이해합니다.



❙ 일시: 23.01.06~02.24/매주 금/오후 7시~9시/총 8강
❙ 강의: 정제기(철학, 칸트윤리)
❙ 대면: 8명(선착순 마감, 신청자 중 입금자 기준)
  *장소: 타스 동성로(대구광역시 중구 종로 17, 3층. 반월당역 15번 출구 3분거리)
❙ 비대면: 12명(사용프로그램: 줌 zoom)
  *대구 외 지역에 계시는 분들의 참가를 환영합니다.
❙ 수강료: 22만원
❙ 입금계좌: 신한은행 100-035-504483 추*효(틈을내는사유와실천짓;다) 
   * 현금영수증 발급은 강좌 시작 후 안내드립니다.
❙ 카드결제: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나는 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 칸트 실천철학 입문] 카드결제 바로가기
   *수강확인증 등 서류 발급이 필요하시면 강좌 시작 후 알려주세요.


📍유튜브 복습링크 제공
- 다시보기 기간은 1주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수업에 참여하지 못하더라도, 복습영상으로 수강하고 언제든 질문 할 수 있습니다.


1. 강좌소개
칸트 철학은 흔히 호수에 비유됩니다. 왜냐하면 칸트 이전의 모든 철학은 칸트라는 거대한 호수로 흘러들어 왔으며, 또 칸트 이후의 철학은 모두 칸트로부터 흘러나왔기 때문입니다. 근대학문의 형성 이후 칸트가 각 학문들에 미친 영향은 어마어마합니다. 때문에 현대철학과 사상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칸트 철학에 대한 사유를 피해갈 수 없을 것입니다. 대부분의 현대철학자들은 두 가지 선택의 기로에 처해 있습니다. 하나는 칸트에 동의하고 칸트적 사유를 비판적으로 발전, 보완하는 길을 택하거나, 다른 하나는 칸트를 거부하고 비판하면서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것이 그것입니다. 비록 칸트가 1700년대 후반에 주로 활동한 오래된 철학자이기는 하지만, 우리가 여전히 칸트를 읽고 공부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있습니다. 칸트 철학은 아주 오래된 호수이며, 또 아주 오랫동안 굳건하게 자리를 지켜온 거대한 고목과도 같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칸트를 꼼꼼하게 공부할 때, 우리는 지금도 여전히 우리 안에 매우 굳건하게 자리하고 있는 주요한 근대적 사유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강좌는 칸트 실천철학에 대한 입문적 해설을 제공함으로써, 칸트 실천철학이 지닌 주요한 체계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합니다. 흔히 알려져 있듯, 칸트 철학은 크게 『순수이성비판』을 중심으로 하는 이론철학과, 『실천이성비판』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실천철학의 체계로 구분됩니다. 이 강좌에서 우리는 그 중 실천철학을 중심으로 칸트의 사유를 추적해 나갈 것입니다. 이 강좌의 목표는 칸트 실천철학의 주요한 체계인 도덕철학과 종교철학, 그리고 역사철학의 주요한 논의의 흐름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보는 것입니다. 또한 더 나아가 강의자가 제공하는 희망철학적 해석방식을 통해 칸트 실천철학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희망철학의 의미와 한계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칸트의 사유에서 발견될 수 있는 근대성과 현대성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간략하게 조망해보고자 합니다.

칸트의 희망철학은 매우 철학적이면서, 매우 종교적인 논의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칸트의 희망철학이 도덕신학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강좌는 철학적 관심을 가지고서 칸트 비판철학의 핵심적인 체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들과, 종교적-신앙적 관심을 가지고서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신앙의 의미를 추구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특히 더 유용할 것입니다.


2. 강좌 일정
1주차 – 칸트 비판철학의 근본적인 지향 (『순수이성비판』)

2주차 – 칸트 도덕철학의 기본문맥 이해하기 (『도덕형이상학 정초』, 『실천이성비판』 「분석론」)

3주차 – 최고선 개념의 원형 (『순수이성비판』)

4주차 – 칸트 도덕철학에서 최고선의 이율배반 (『실천이성비판』 「변증론」)

5주차 – 칸트 도덕철학에서 요청과 희망의 의미 (『실천이성비판』 「변증론」)

6주차 – 칸트와 근본악의 문제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제 1논고」)

7주차 – 근본악과 희망의 문제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제 1논고」)

8주차 – 인류의 도덕적 진보와 희망 (「세계시민적 관점에서 본 보편사의 이념」) 



3. 교재
- 주교재: 강의자가 매 주차마다 강의안 파일을 pdf로 제공함.

- 부교재: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구매를 권장하나, 반드시 구매할 필요는 없음. 
 I. 칸트, 『도덕형이상학 정초/실천이성비판』, 김석수, 김종국 역, 한길사, 2019.
 I.칸트,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신옥희 역,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5.
 I.칸트, 『순수이성비판 1, 2』, 백종현 역, 아카넷, 2001.
 I. 칸트, 『비판기 저작 1』, 김미영 외 5인 역, 한길사, 2019.




4. 강좌 목표
(1) 칸트 실천철학의 주요한 체계인 도덕철학, 종교철학, 역사철학의 큰 문맥을 파악한다.
(2) 칸트 실천철학에서 도덕과 행복, 그리고 도덕과 종교가 어떤 방식으로 관계 맺는지를 이해한다.
(3) 칸트적 인간이 추구하는 도덕적 희망의 의미에 대해 반성적으로 성찰하는 시간을 가진다.




5. 강의: 정제기
영남대학교 철학과에서 학부과정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칸트 실천철학에서 요청과 희망의 의미」(2017)라는 주제로 석사학위를, 그리고 「칸트의 최고선 개념과 희망철학 연구」(2022)라는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학원 시절, 「나는 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 최고선의 요청」(『철학논총』, 제 87집, 2017), 「근본악과 희망의 문제: 칸트의 『종교론』을 중심으로」(『철학연구』, 제 149집, 2019)와 같은 논문을 교신저자로서 발표하였으며, 칸트 실천철학을 희망철학적인 방식으로 해석하는 작업에 보다 관심을 확장하여 「내세적 희망에서 현세적 희망으로- 칸트 실천철학에서 최고선 개념과 희망철학에 대한 연구」(『철학논총』, 제 107집, 2022)과 같은 연구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또한, 철학과 문학 간의 학제간 연구에도 관심을 가지고서 「윤동주 주체성의 철학적 원형: 칸트와 레비나스의 이중 변주」(『한국시학연구』, 제 65집, 2021)과같은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또한 크리스찬투데이에 「칸트적인, 너무나 칸트적인: 칼 바르트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또 뉴스앤조이에 「한국교회가 잃어버린 사유들: 니체, 칸트, 레비나스」와 [이랑과 페미니즘, 그리고 교회: 멈출 수 없는 여성들의 피맺힌 울음], [이랑과 악의 문제: 부조리한 악 앞에서 신을 조롱하는 탄식의 노래] 같은 칼럼을 발표하면서 철학과 신학의 대화가능성에 대한 고민들을 담기도 했다. 현재는 인문학&신학연구소 에라스무스의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칸트 철학을 메인으로 연구하면서 철학과 문학의 대화가능성, 또 철학과 신학의 대화가능성을 추적하고 있다.




* 신청자의 경우 강의실 입실 시 마스크를 필히 착용해 주시고, 당일 체온이 37.5도 이상일 경우 미리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정부 지침에 따라 비대면으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강좌 시작 당일 전날까지는 수강료 100% 환불이 가능하지만 당일부터 환불이되지 않는 점 꼭 양지하시고 신중하게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문의
- 카카오톡 문의하기: http://pf.kakao.com/_xixelVs/chat 
- 트위터/인스타그램/페북페이지 DM: @jiddado
- 메일: official@jidda.org 
- 홈페이지: https://jidda.org


틈을 내는 사유와 실천 짓;다
Sign in to Google to save your progress. Learn more
위의 내용(유의사항, 환불규정 등)을 확인하셨습니까? *
입금 후 본 신청서를 작성하고 계신가요? *
Required
강의 유형을 선택해 주세요. *
Required
성명(입금자명과 동일하게 작성해주세요) *
전화번호 *
이메일주소(작성하신 주소로 줌링크와 공지사항 등 발송) *
이 강좌를 듣고자 하는 이유를 작성 부탁드립니다. 작성하신 내용은 강의자께 전달됩니다.
이 강의를 어떻게 알게 되셨나요?
개인 정보 사용 여부///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짓다 프로그램 홍보를 위해 사용하는 것에 동의여부를 여쭙니다. 다른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
강좌를 통해 기대하는 내용과 기타 문의사항
Submit
Clear form
Never submit passwords through Google Forms.
This content is neither created nor endorsed by Google. - Terms of Service - Privacy Policy

Does this form look suspicious?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