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분석철학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논리학의 기본 개념들을 해설하여 논리학과 철학을 함께 공부하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논리학 공구 상자 열어보기] 2기 - 논리학으로 철학 수리하기
🛠Opening the Toolbox of Logic - Repairing Philosophy with Logic



📍유튜브 복습링크 제공

- 다시보기 기간은 1주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수업에 참여하지 못하더라도, 복습영상으로 수강하고 질문할 수 있습니다.


📍수강료 10% 할인
  ↳ 서울과 경기도 외 지역에 거주하시는 분들은 수강료 10% 할인이 있습니다(수강료 18만원) 
  ↳ 신청서 맨 마지막 질문에 거주 지역(시, 군)을 적어주세요.


❙ 일시: 23.01.08~02.19/매주 월/저녁 7:30~9:30 /총 6강
❙ 강의: 윤유석(철학적해석학 연구자)

❙ 대면: 7명
  * 수업 장소: 서울시 영등포구 양산로 91 리드원지식산업센터 1308호. 공간 짓;다(영등포구청역 5분거리)
  ↳엘리베이터와 휠체어 전용 화장실이 있습니다. 
❙ 비대면: 18명 (사용 프로그램_줌Zoom)
  ↳서울 외 지역에 계시는 분들의 참가를 환영합니다.
  ↳자막서비스가 필요한 분은 짓;다 카카오 채널로 연락바랍니다. 

❙ 수강료: 20만원
  ↳ 수강료 할인 대상자는 18만원
❙ 입금계좌: 신한은행 100-035-504483 추*효(틈을내는사유와실천짓;다)
  ↳ 현금영수증 발급은 강좌 시작 후 안내드립니다.

1. 강좌소개
지난 번 <논리학 공구 상자 열어보기> 1기 강의를 많은 분들이 긍정적으로 수강해 주셨습니다. 또 지난 번 강의 이후로도 많은 분들이 강의를 다시 열어 달라는 요청을 꾸준히 주시기도 하였습니다. 특별히, 수강 후기나 강의 요청 중에서는 논리학을 통해 철학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싶다는 내용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새롭게 열리는 <논리학 공구 상자 열어보기> 2기(논리학으로 철학 수리하기)에서는 ‘논리학’만큼이나 ‘철학’에 강조점을 두고서 강의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초기 분석철학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논리학의 기본 개념들을 해설하여 논리학과 철학을 함께 공부하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2. 강의 목표
- 명제논리와 술어논리의 기본 ‘도구’들을 사용하여 논증을 구성하고 평가할 수 있다.
- 논리학에 대한 배경 지식을 바탕으로 20세기 초반의 분석철학 고전들을 읽어낼 수 있다.

 

3. 강좌 주차 소개 - 강의안이 제공될 예정입니다. 언급된 책을 구매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1주차: 논리학 공구 상자를 왜 열어 보아야 하는가?
* 논리학이란 무엇인가? / 논리학과 철학은 어떤 관계인가? / 논리학을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가? / 논증이란 무엇인가? / 연역논증이란 무엇인가? / 타당성과 건전성이란 무엇인가?
(부교재: 버트란드 러셀, 「철학의 본질로서 논리학」, 『논리와 철학』, 곽강제 엮음, 서광사, 1993, 제5장. / 알프레드 J. 에이어, 『언어, 논리, 진리』, 송하석 옮김, 나남출판, 2010, 제1장.)

2주차: 논리학 공구 상자에는 무엇이 들어 있는가?: 명제논리(1)
* 명제논리란 무엇인가? / 논리적 연결사란 무엇인가? / 연역규칙이란 무엇인가? / 타당성 증명이란 무엇인가? / 진리나무의 방법이란 무엇인가?
(부교재: Gottlob Frege, “Function and Concept”, Translations from the Philosophical Writings of Gottlob Frege, Second Edition, Peter Geach (trans.), Peter Geach & Max Black (eds.), Oxford: Blackwell, 1960, Chapter 2.)

3주차: 논리학 공구 상자에는 무엇이 들어 있는가?: 명제논리(2)
* 진리표란 무엇인가? / 조건증명법이란 무엇인가? / 간접증명법이란 무엇인가? / 보조증명법이란 무엇인가?
(부교재: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논리-철학 논고』, 이영철 옮김, 책세상, 2006.)

4주차: 논리학 공구 상자에는 무엇이 들어 있는가?: 술어논리
* 술어논리란 무엇인가? / 양화사와 변항이란 무엇인가? / 보편의 예화와 보편적 일반화란 무엇인가? / 존재의 예화와 존재적 일반화란 무엇인가?
(부교재: 버트런드 러셀, 「지칭에 관하여」, 김혜연 외 6명 옮김, 전기가오리, 2018.)

5주차: 논리학 공구 상자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1)
* 가설이란 무엇인가? / 설명력이란 무엇인가? / 정합성이란 무엇인가? / 검증가능성과 반증가능성이란 무엇인가? / 증거력이란 무엇인가? / 보완가설이란 무엇인가? / 단순성이란 무엇인가?
(부교재: 칼 포퍼, 『과학적 발견의 논리』, 박우석 옮김, 고려원, 1994.)

6주차: 논리학 공구 상자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2)
* 철학적 논쟁에서 논리학은 어떻게 사용되는가? / 대륙철학 텍스트를 어떻게 논리적으로 재구성할 것인가? / 동양철학 텍스트를 어떻게 논리적으로 재구성할 것인가?
(부교재: 김형효, 「데리다를 통해 본 노장 사유의 문법」, 『노자에서 데리다까지』, 한국도가철학회 엮음, 예문서원, 2001, 제11장. / 이승종, 「김형효의 노장 읽기」, 『우리와의 철학적 대화』, 김영사, 2020, 제7장.)



4. 수강대상
- 논리학을 한 번도 공부한 적 없는 분
- 논리학 입문서를 한 번도 제대로 완독한 적 없는 분
- 분석철학에 관심을 가지고 계신 분






🗣️ 강의: 윤유석
연세대학교 철학과 박사과정에서 철학적 해석학을 공부 중이다. 대륙철학과 분석철학 사이에 가교를 놓는 작업에 관심이 많다. 「부정신학 없는 해체주의를 향하여: 해체를 바라보는 네 가지 관점」, 「사용 이론과 회의주의를 넘어서: 비트겐슈타인의 정적주의」, 「매개된 직접성: 지각적 경험의 개념적 성격에 대한 맥도웰과 브랜덤 사이의 논쟁」 등의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애니메이션을 매우 좋아하여 「대속은 어떻게 우리를 냉혹한 현실에서 구원하는가?: 대속의 이야기로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라는 논문과 「그래도 우리는 진실된 것을 원한다: 진실된 것에 대한 성찰로서 역시 내 청춘 러브코메디는 잘못됐다」라는 비평문을 쓰기도 하였다. ‘오징어의 철학 노트’라는 유튜브 채널에 종종 철학 관련 영상을 업로드한다.



⚠️ 수강 시 유의사항
* 대면 신청자는 당일 체온이 37.5도 이상일 경우 미리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 비대면 신청자의 경우, 강의 전날 신청 시 알려주신 메일주소로 줌 링크 등을 보내 드립니다.
* 강좌 시작 당일 전날까지는 수강료 100% 환불이 가능하지만 당일부터 환불이되지 않는 점 꼭 양지하시고 신중하게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강좌 문의
- 카카오톡 문의하기: http://pf.kakao.com/_xixelVs/chat 
- 트위터/인스타그램/페북페이지 DM: @jiddado 
- 메일: official@jidda.org 
- 홈페이지: https://jidda.org


틈을 내는 사유와 실천 짓;다
Sign in to Google to save your progress. Learn more
위의 내용(유의사항, 환불규정 등)을 확인하셨습니까? *
입금 후 본 신청서를 작성하고 계신가요? *
강좌 유형 선택 *
Required
성명 *
전화번호 *
이메일주소(작성하신 주소로 줌링크와 공지사항 등 발송) *
이 강의를 어떻게 알게 되셨나요?
개인 정보 사용 여부///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짓;다 강좌와 모임 홍보를 위해 사용하는 것에 동의여부를 여쭙니다. 다른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
강좌를 통해 기대하는 내용과 기타 문의사항(할인 대상자는 거주하는 지역을 입력해 주세요)
Submit
Clear form
Never submit passwords through Google Forms.
This content is neither created nor endorsed by Google. - Terms of Service - Privacy Policy

Does this form look suspicious?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