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isn't enabled in your browser, so this file can't be opened. Enable and reload.
설비보전기능사
실전테스트
5회
실제시험에서
시험시간은 60분이고,
1문제당 약 1.66점으로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을 맞아야 합격입니다.
---------------------------------------
----------------------
-------------------------
-----------
본 테스트 시험은 1문제당 1점으로 60점 만점입니다.
(
총 60문제 중 37문제를 맞아야 합격!)
1번부터 60번까지 모든 문제를 풀어야 점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Indicates required question
01.
관로에서
유속의 급격한 변화에 관 내
압력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현상은
?
*
1 point
① 캐비테이션
② 수격작용
③ 서징현상
④ 크래킹
02.
스패너로 볼트 체결 시 죔 토크를 구하는 식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 (
단
,
죔 토크
T
,
볼트 중심에서 손
중심까지의
거리
L
(cm),
당기는 힘
F
(
kgf
),
볼트 직경
D
(cm)
라 한다
)
*
1 point
① 죔 토크 𝑇 = 𝐿 × 𝐹 (kgf·cm)
② 죔 토크 𝑇 = 𝐿/𝐷 × 𝐹 (kgf·cm)
③ 죔 토크 𝑇 = 𝐿 × 𝐹 × (𝜋𝐷²)/4 (kgf·cm)
④ 죔 토크 𝑇 = 𝐿 × (𝜋𝐷²)/4 (kgf·cm)
03.
윤활유가 유동성을 잃기 직전의 온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
1 point
① 유동점
② 점도
③ 노점
④ 인화점
04.
송풍기의 냉각방법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
*
1 point
① 공기 냉각형
② 재킷 냉각형
③ 중간 냉각 다단형
④ 편 흡입형
05.
감속기의
점검항목과 점검방법 및 판단 기준으로 틀린 것은
?
*
1 point
① 윤활류량 - 유면계의 위치 확인 - 상 · 하한선 사이에 위치할 것
② 이상음, 진동, 발열 - 촉수, 청음봉 사용 - 진동, 이상음, 발열이 없을 것
③ 입출력 원동측과 부하측의 중심 - 다이얼게이지, 직선자 - 어긋남이 없을 것
④ 축이음 상태 - 입출력 축의 중심선 - 발열만 없으면 될 것
06.
송풍기의
풍량이
부족한 경우의 원인이 아닌 것은
?
*
1 point
① 송풍기 또는 덕트(Duct)에 먼지 등이 쌓여 있어 저항이 증대되었을 때
② 회전수가 저하되었을 때
③ V벨트의 장력이 너무 셀 때
④ 임펠러에 이물질이 끼었을 때
07.
전동기 운전 시 진동현상의 원인으로 잘못된 것은
?
*
1 point
① 베어링의 손상
② 커플링, 풀리 등의 마모
③ 로터와 스테이터의 접촉
④ 냉각 불충분
08.
깊은
홈형
볼 베어링 조립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
1 point
① 일반적으로 외륜과 하우징은 억지 끼워맞춤을 사용한다.
② 열박음을 할 때 베어링의 가열온도는 100℃ 정도로 한다.
③ 끼워맞춤을 할 때 치수공차를 확인한다.
④ 열박음은 베어링을 가열 팽창시켜 축에 끼우는 방법이다.
09.
밸브 중에서
AND
요소로 알려져 있으며
,
두 개의 입력신호가 다른 압력일 경우에 작은
압력쪽의
공기가 출력되므로
,
안전제어 및 경사기능 등에 사용되는 밸브는
?
*
1 point
① 체크밸브
② 셔틀밸브
③ 2압 밸브
④ 감압밸브
10.
진동이 있는 차량
,
항공기
,
동력기 등의
풀림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는
?
*
1 point
① 감압형 접착제
② 혐기성 접착제
③ 유화액형 접착제
④ 열용융형 접착제
11.
토출
양정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펌프는
?
*
1 point
① 단단펌프
② 다단펌프
③ 추력펌프
④ 양흡입펌프
12.
기어재료의 연질이나 충격
과하중의
원인으로 기어가 손상되는 것은
?
*
1 point
① 피칭
② 스폴링
③ 이의 절손
④ 어브레이전
13.
강판을 정형하여 만든 너트로서 혀 부분이 나사 밑에 파고들어 풀림을 방지하는 너트는
?
*
1 point
① T너트
② 플랜지 너트
③ 턴 버클
④ 플레이트 너트
14.
버니어
캘리퍼스의
사용상 주의점이 아닌 것은
?
*
1 point
① 측정 시 측정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② 측정 시 본척과 부척의 영점을 일치시킨다.
③ 정압장치가 있으므로 측정력은 제한이 없다.
④ 눈금을 읽을 때 눈금으로부터 직각 위치에서 읽는다.
15.
체인 사용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
*
1 point
① 용량에 맞는 체인을 사용한다.
② 무게중심을 맞추고 모서리는 피한다.
③ 정격하중의 70~75%, 충격 하중은 4분의 1 이하로 사용한다.
④ 체인 블록을 2개 사용 시 무게중심이 한곳으로 쏠리게 사용한다.
16.
상온에서 유동적인
접착성
물질로 바른 후 일정시간 지난 후 건조되어 누설을 방지하는
개스킷은
?
*
1 point
① 고무 개스킷
② 석면 개스킷
③ 접착 개스킷
④ 액상 개스킷
17.
주문할 사람에게 물품의 내용 및 가격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은
?
*
1 point
① 제작도
② 주문도
③ 견적도
④ 승인도
18.
가는
1
점쇄선으로
표시하지 않는 선은
?
*
1 point
① 중심선
② 기준선
③ 피치선
④ 가상선
19.
기계제도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면 오히려 이해하는 데 지장을 초래하기 쉬운 기계요소들만 짝지어진 것은
?
*
1 point
① 축, 훅, 림
② 리벳, 얇은 판, 형강
③ 리브, 암, 기어 이
④ 풀리, 체인, 벨트
20.
기계제도에서 패킹
,
박판 등 얇은 물체의 단면 표시 방법은
?
*
1 point
① 1개의 가는 실선으로 표시
② 1개의 가는 1점쇄선으로 표시
③ 1개의 아주 굵은 실선으로 표시
④ 1개의 굵은 파선으로 표시
21.
도면에서
2
종류 이상의 선이 같은 곳에서 겹치는 경우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선은
?
*
1 point
① 중심선
② 숨은선
③ 절단선
④ 무게중심선
22.
글루브
밸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
1 point
① 개폐가 빠르다.
② 압력 강하가 작다.
③ 구조가 간단하다.
④ 유체저항이 크다.
23.
다음 중
석유계
윤활유가 아닌 것은
?
*
1 point
① 파라핀기 윤활유
② 나프텐기 윤활유
③ 혼합 윤활유
④ 합성 윤활유
24.
송풍기용 베어링의
전식
방지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1 point
① 축을 접지한다.
② 유체 윤활 상태를 유지한다.
③ 모든 베어링을 절연 조치한다.
④ 베어링 지지대를 비자성 재료로 사용한다.
25.
공사관리 시 공사가 요구하는 기술 정도와 작업자의 능력 평형을 고려해야 하는 업무는
?
*
1 point
① 일정관리
② 부하관리
③ 공사계획
④ 작업분배
26.
설비망이란
설비의 종류
,
설비의 수
,
크기와 용량 그리고 설비 위치 등에 연계된 보전개념과 보전작업의 결정 및 정보연계를 뜻하는 것이다
.
다음
중 공정개선과 생산보전의 효율성 관리가 가능하나 수많은 공정과 설비에 의한 보전 작업의 어려움을 갖는 설비망은
?
*
1 point
① 시장 중심 설비망
② 제품 중심 설비망
③ 공정 중심 설비망
④ 프로젝트 중심 설비망
27.
바이스
,
클램프
등은 공구의 분류상 어디에 속하는가
?
*
1 point
① 절삭공구
② 수작업공구
③ 연삭공구
④ 부착구
28.
설비의
목적별
분류에 있어서 증기 발생장치 및 그 배관설비
,
공업용 원수 취수설비
,
수처리
시설
,
냉각탑
설비 등을 무엇이라 하는가
?
*
1 point
① 생산설비
② 구조물 설비
③ 관리설비
④ 유틸리티 설비
29.
품질보전이 설비문제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이유로 틀린 것은
?
*
1 point
① 제조현장의 자동화, 설비 고도화 및 성력화 등으로의 변화
② 설비 상태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확보되는 시대 도래
③ 설비의 설정조건 변동이 용이하며, 자기진단기능을 요구
④ 생산공정 중에 발생하는 공정 불량의 최소화의 중요성 대두
30.
계측기
장치방법 중 측정자가 계측 대상에 접근해서 직접 측정하는 직접
측정식
계측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
*
1 point
① 마이크로미터
② 수은 온도계
③ 측장기
④ 원격식 계측기
31.
설비보전에서 효과 측정을 위한 척도로 사용되는 지수에 대한 것으로 틀린 것은
?
*
1 point
① 설비가동률 = 정미가동시간/부하시간 × 100
② 고장도수율 = 고장시간/부하시간 × 100
③ 고장강도율 = 고장정지시간/부하시간 × 100
④ 제품단위당 보전비 = 보전비 총액/생산량
32.
치공구관리의
기능 중 계획 단계에 속하는 것은
?
*
1 point
① 공구의 제작 및 수리
② 공구의 검사
③ 공구의 보관과 대출
④ 공구의 연구시험
33.
'
현장의 제일선 작업자들의 보전요원뿐만 아니라 최고 책임자를 비롯한 회사의 모두가 보전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 현장의 모든 손실이나 낭비를 극소화할 수 있다는 것
'
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
*
1 point
① 사후보전
② 예방보전
③ 시간기준보전
④ 종합생산보전
34.
보전성
공학의 기능에서 보전도 프로그램 준비
,
사용자와의 정보 연락 등과 같은 기능을 담당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
1 point
① 보전도 계획
② 보전도 분석
③ 보전도 설계
④ 보전도 합리화
35.
설비의 성능을 유지 보전하기 위한 수리 공사 등에 의해 발생되는 지출은
?
*
1 point
① 경비지출
② 자본지출
③ 영업지출
④ 여력지출
36.
수리 표준시간
,
준비작업 표준시간 또는 분해검사 표준시간을 결정하는 것은
?
*
1 point
① 작업표준
② 일상점검표준
③ 수리표준
④ 설비점검표준
37.
자주보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
1 point
① TPM의 시작 단계로 TPM 수행의 가장 기본이 될 기능이다.
② 자기가 운전하는 설비는 본인 스스로 관리함으로써 현장 개선의 일익을 담당하는 것이 핵심이다.
③ 보전요원들은 기술 개발을 위하여 많은 시간 투자와 제조현장의 생산성 극대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④ 고장 및 불량을 극소화하여 회사가 계획하고 필요한 보전효율 달성을 목적으로 한다.
38.
윤활관리의 최종 목적은
?
*
1 point
① 정기적 급유
② 올바른 급유
③ 고장의 감소
④ 생산성 향상
39.
설비의 열화 패턴에서 개선 개량이 절대 필요하며
,
예비품관리가
중요한 시기로 유효수명이라고 하는 것은
?
*
1 point
① 초기 고장기
② 우발 고장기
③ 보전 고장기
④ 마모 고장기
40.
유압실린더를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를 이용하여 단조기계와 같이 큰 외력에 대항하여 행정의 중간위치에서 정지시키고자
할때
점선안에
들어갈 적당한 밸브는
?
*
1 point
①
②
③
④
41.
압력보상형
유량제어밸브에 대한 설명이다
.
맞는 것은
?
*
1 point
① 실린더 등의 운동속도와 힘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밸브이다.
② 밸브의 입구와 출구 압력 차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밸브이다.
③ 체크밸브와 교축밸브로 구성되어 한 방향으로 유량을 제어한다.
④ 유압 실린더 등의 이송속도를 부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할 수 있다.
42.
난연성이
우수한
작동유에
비해 값이 싸고 사용하기 용이한
석유계
작동유에
속하는 것은
?
*
1 point
① 수중 유형 유화유
② 내마모성형 작동유
③ 물-글리콜형 작동유
④ 인산 에스테르형 작동유
43.
유압장치는 작은 힘으로 큰 힘을 낼 수 있는 장치이다
.
이를 설명할 수 있는 원리는
?
*
1 point
① 연속의 법칙
② 베르누이 원리
③ 레이놀즈 수
④ 파스칼의 원리
44.
포핏
(Poppet)
식
공압
방향제어밸브의 장점은
?
*
1 point
① 밸브의 이동거리가 길다.
② 밸브시트는 탄성이 있는 실(Seal)에 의해 밀봉되어 공기 누설이 잘 안 된다.
③ 다방향 밸브로 되어도 구조가 간단하다.
④ 공급압력이 밸브에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큰 변환 조작이 필요 없다.
45.
체크밸브 또는 릴리프밸브 등 밸브의 입구 측 압력이 상승하여 밸브가 열리기 시작하여 어떤 일정한 흐름의 양으로 안정되는 압력은
?
*
1 point
① 최초 압력
② 서지압력
③ 크래킹압력
④ 리스트압력
46.
유압시스템의 수정회로 설계 중 보수관리를 고려한 회로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
*
1 point
① 가속회로
② 작동유 점검을 위한 회로
③ 플러싱회로
④ 기능 점검을 고려한 회로
47.
밸브의
개폐정도
또는
교축정도
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스풀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조정기구는
?
*
1 point
① 드레인 제한기구
② 가변 내부 제한기구
③ 가변 기호 제한기구
④ 가변 행정 제한기구
48.
공압
시스템을 설계할 때 각종 기기의 선정방법에 관한 사항으로 옳은 것은
?
*
1 point
① 공압필터는 통과 공기량보다 작은 것을 선정한다.
② 윤활기는 공기량에 대해 압력 강하가 가능한 한 작은 쪽이 좋다.
③ 솔레노이드밸브의 유량은 실린더의 필요 공기량과 같아야 한다.
④ 압력조정밸브는 1차 압력의 부하 변동에 따른 유량 변화에 대하여 2차 압력의 변화가 커야 한다.
49.
그림이 나타내는 밸브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1 point
① 탠덤 센터형의 4/3way 밸브이다.
②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제어 위치가 변한다.
③ 일명 바이패스형 밸브로 실린더를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④ 검은색 삼각형으로 표시된 위치에 대한 기호는 A, B, C 중 하나를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50.
다음 그림과 같은 전기기기를 나타내는 기호의 명칭은
?
*
1 point
① 카운터
② 여자지연타이머
③ 압력스위치
④ 누름버튼스위치
51.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전압이 걸려 있는데도 아마추어가 작동되지 않는 원인이 아닌 것은
?
*
1 point
① 아마추어의 고착
② 실링시트의 마모
③ 전압이 너무 높음
④ 전압이 너무 낮음
52.
제어신호가 입력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다음에 작동되는 시간지연밸브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
*
1 point
① 압력증폭기
② 속도조절밸브
③ 공기저장탱크
④ 3/2way 밸브
53.
유압 펌프가 기름을
토출하지
못하고 있다
.
이때 점검항목이 아닌 것은
?
*
1 point
① 릴리프밸브의 압력 설정
② 흡입 측 스트레이너 막힘 상태
③ 유압오일의 점도가 너무 큰 경우
④ 펌프의 회전 방향과 원동기의 회전 방향이 다른 경우
54.
안전교육에 있어 작업자가 설비에 대하여 조작상의 위험성 등에 관하여 교육하는 것은
?
*
1 point
① 지식교육
② 기능교육
③ 태도교육
④ 전달교육
55.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는 통로의 조명은 몇
럭스
이상인가
?
*
1 point
① 15
② 30
③ 45
④ 75
56.
안전난간은 임의의 점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몇
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구조여야 하는가
?
*
1 point
① 10
② 100
③ 500
④ 800
57.
가연성 액체나 고체의 표면에 순간적으로 화염을 접근시킬 경우
,
연소시키는 데 필요한 만큼의 증기를 발생하는 최저 온도는
?
*
1 point
① 발화점
② 폭발점
③ 연소점
④ 인화점
58.
산업현장에서 분류하는 상해의 종류가 아닌 것은
?
*
1 point
① 골절
② 추락
③ 동상
④ 타박상
59.
인화성 기체의
폭발상한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1 point
① 불활성 기체를 첨가하면 좁아진다.
② 온도를 상승시키면 일반적으로 좁아진다.
③ 압력을 증가시키면 일반적으로 좁아진다.
④ 공기나 산소 농도의 증가에 따라 폭발한계는 일반적으로 좁아진다.
60.
금속물질 화재의 소화방법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
*
1 point
① 물
② 건조사
③ 탄산가스
④ 포말소화
Submit
Page 1 of 1
Clear form
This content is neither created nor endorsed by Google. -
Terms of Service
-
Privacy Policy
Does this form look suspicious?
Report
Forms
Help and feedback
Contact form owner
Help Forms improve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