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세계에는 국경이 없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입국 심사나 여권없이 전 세계 어디든 갈 수 있죠. 인터넷을 통해 다른 나라, 다른 문화, 다른 언어권의 사람들과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시민은 이미 세계 시민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세계 시민으로서 다양한 시각에서 지구촌 문제를 고민하고, 디지털 캠페인을 기획&진행하며 문제 해결에 기여할 '세계 청소년 평화운동가(Global Youth Peacemaker)'를 모집합니다.
디지털 세계 시민으로서의 활동하며, 미래 인재의 필수 역량인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고 싶은 청소년들의 지원 바랍니다.
[세계 청소년 평화운동가(Global Youth Peacemaker)란?]
'세계 청소년 평화운동가(Global Youth Peacemaker)'란 다양한 시각에서 지구촌 문제를 고민하고, 해결 방안을 찾아보며 세계 평화를 위해 활동하는 디지털 세계 시민을 말하며, 국적, 인종, 언어와 상관없이 지구촌 청소년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국제 청소년 동아리 활동입니다.
2022년 세계 청소년 평화운동가 프로그램은 한국과 미국의 청소년이 메타버스에 모여 지구촌 문제와 디지털 세상의 이슈들에 관해 토의·토론하고, 디지털 캠페인 콘텐츠를 창작, 공유하며 세계 시민으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배우는 과정입니다.
* 기간 : 5월 7일부터 11월 19일까지 매주 토요일 오전 9시~11시 (7/30, 9/10일 제외)
* 운영방식 : 매 차시마다 미국&한국 학생 그룹 활동으로 진행됩니다.
① 메타버스(ZEP.us)에 입장 후 인사 나누기
② 오늘의 활동 및 활용 도구에 관해 알아보기
③ 국제적 이슈와 디지털 이슈로 결합된 주제에 대한 짧은 강의 듣기
④ 주어진 주제에 관해 미국 친구와 1:1로 토의·토론하기
⑤ 토의·토론 결과를 토대로 디지털 창작하기
⑥ 창작물 발표하고 페이스북 GYP 그룹에 업로드하기
⑦ 오늘 활동 내용 정리하기
* 강사 :
- (사)디지털리터러시교육협회 박일준 회장, 신혜진 수석연구원
- 데모크라시 프랩 공립학교 김수진 교사
* 준비물 : 인터넷 연결이 원활한 노트북 또는 크롬북(카메라와 마이크, 스피커 연결 필수)
* 참가비 : 무료
* 운영 안내
- GYP 확산을 위해 본 활동 내용은 모두 녹화하여 홍보를 위해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에 초상권 동의는 필수입니다.
- 지각 및 결석은 다른 친구들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입니다. 3회 이상 불참 시 다음 활동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5분 이상 지각 시 입장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선정 및 활동 시작 이후라 하더라도 인종차별, 사이버 폭력 등 세계 시민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행위를 했을 경우 참가 자격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 5월과 11월에 DQ를 측정합니다.
- 본 과정 수료자에게는 국제디지털리터러시학회 및 디지털리터러시교육협회 명의의 수료증이 발급됩니다.
[신청 안내]
1. 신청 기간 : 4월 1일(금) ~ 4월 17일(일)
2. 신청 자격 : 중학교 2학년~고등학교 2학년
3. 신청 절차 :
· 4월 1일(금) ~ 17일(일) 서류 접수
· 4월 22일(금) ~ 23일(토) 화상 면접
· 4월 25일(월) 합격자 발표
4. 심사 위원 :
· 권 찬 아름다운재단 사무총장
· 이유택 디지털리터러시학회장
· 김수진 데모크라시프랩 공립학교 교사
5. 문의 :
request@cdledu.org[ 차시별 디지털 리터러시 주제 ]
1차시. 5/7 디지털 콘텐츠 기획 & 창작
2차시. 5/14 디지털의 순기능 & 역기능
3차시. 5/21 디지털 데이터 수집
4차시. 5/28 디지털 미디어 특성 & 문제 이해
5차시. 6/4 디지털 세상에서의 도덕적 가치와 규범 준수
6차시. 6/11 디지털 안전 & 자기 보호
7차시. 6/18 디지털을 통한 스스로 학습능력
8차시. 6/25 디지털 협업
9차시. 7/2 디지털 문해력
10차시. 7/9 디지털 트랜드 파악
11차시. 7/16 디지털 데이터 분석
12차시. 7/23 디지털 진위 파악
7/30 여름방학
13차시. 8/6 디지털 메시징 능력
14차시. 8/13 디지털 균형적 사고
15차시. 8/20 디지털 자기 존중감
16차시. 8/27 디지털 혁신
17차시. 9/3 디지털 신뢰관계 형성
9/10 추석
18차시. 9/17 디지털 지적재산 보호
19차시. 9/24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
20차시. 10/1 합리적 & 창의적 의사결정
21차시. 10/8 디지털 미디어의 이해
22차시. 10/15 디지털 참여 & 책임의식
23차시. 10/22 소셜미디어 상에서의 감정관리
24차시. 10/29 디지털 콘텐츠 생산자 윤리
25, 26차시. 11/5, 11/12 발표회 준비
27차시. 11/19 발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