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est edit access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의료공백 피해사례조사 설문- 장애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의료공백 피해 사례 설문 조사> - "여러분의 사례를 알려주세요"

※ 의료공백이란? 코로나19 확산과 장기화 과정에서, 코로나19감염 여부에 관계없이 적절한 치료와 의료적 조치를 받지 못하는 상황. 수술, 입원, 진료(치료), 응급실 이용 등 필요한 의료적 조치를 받지 못하거나 무료 진료소 폐쇄 등으로 인해 의료기관 접근이 어려운 상황 등이 있다.


---------------------------------------------------------------------------------------------------------------------------------------------------------------------------------
코로나19 의료공백실태조사단은 건강세상네트워크, 다산인권센터, 서울인권영화제, 인권운동공간 활,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인권위원회, 장애여성공감, 재단법인 동천, 한국HIV/AIDS감염인연합회 KNP+, HIV/AIDS인권활동가네트워크 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벌어진 의료공백 상황을 조사하고,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의료공백실태조사단에서는 코로나19 유행 상황에서 시민들이 겪게되는 의료공백 피해사례를 조사하고자 합니다.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되고 확진자 등에 대한 대비와 치료, 예방적 조치가 중요해지면서, 많은 의료기관이 코로나 19 대응에 모든 자원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코로나19 외의 적절한 의료적 조치(진료, 수술, 입원 등)가 필요한 사람들이 후순위로 밀려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필요한 조치를 받지 못해 억울하게 피해를 입는 사람들도 곳곳에서 생겨나고 있습니다

실제로 얼마전, 경상북도 경산의 17살 정유엽 학생은 고열이 지속되어 응급하게 치료가 필요했는데, '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전에는 진료를 할 수 없다'는 병원 측 대응때문에 제때 응급조치를 받지 못했습니다. 정유엽 학생은 결국 목숨을 잃었습니다. 응급조치를 받을 수 있는 대학병원으로 안내해주기만 했어도 건강했던 정유엽 학생은 사망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코로나19 유행 상황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해 건강과 생명을 잃은 사례가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수술이 필요한데 병원이 수술일정을 연기하여 건강이 악화되는 등의 다양한 사례가 수집되고 있습니다. 수술 뿐 아니라 응급실 이용, 정기진료, 입원 등 많은 사람들의 필요한 의료조치가 뒷전으로 밀려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HIV감염인, 빈곤층, 장애인, 이주민, 아동청소년, 노인 등 취약한 환경에 놓인 분들은 더 심각한 의료공백 상태에 놓였겠지요.

지금 이 의료공백 문제를 고민하지 않으면 코로나19가 지속되는 현실 속, 같은 피해가 계속 반복될 수밖에 없습니다. 의료제도와 의료체계를 적절히 정비한다면 얼마든지 막을 수 있는 문제인데도 말이죠. 이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선 여러분의 참여가 필요합니다. 직접 경험하시거나 목격한 의료공백 피해 사례가 있다면 아래 설문에 참여해 주세요.

우리 모두에게는 안전하게, 차별없이 치료받고 건강히 살아갈 권리가 있습니다.



*주관: 코로나19인권대응네트워크 - 코로나19의료공백실태조사단
*문의: corona19.0100@gmail.com


 ※ 본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된 정보는 우리 사회의 올바른 의료공백 대응책 마련을 촉구하기 위한 활동에 활용될 것입니다. 향후 보고서 등의 형태로 출판될 수 있으며, 공개적 자리에서 증언대회 혹은 결과보고대회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수집된 정보는 목적 외의 용도로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관리책임은 저희 코로나19의료공백조사단에 있습니다. 특별히 비밀보장을 원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철저히 처리하겠습니다. 조사의 목적을 달성할 시 수집된 개인정보는 폐기합니다.
Sign in to Google to save your progress. Learn more
1. 본인(혹은 피해자의) 성함과 거주지(시도명)을 알려주세요. (익명도 가능합니다, 익명을 원하시면 '익명'이라고 적어주세요.) (예시 / 홍길동, 서울 강동구) *
2. 본인(혹은 피해자의) 성별은? *
3. 본인(혹은 피해자의) 장애가 있는 경우 장애유형을 기재해주세요. (중복체크가능)
Clear selection
3-1. 본인(혹은 피해자가) 장애가 있는 경우 사용하는 보장구가 있으면 기재해주세요.
4. 본인(혹은 피해자의) 연령대는? *
5. 의료기관을 찾아간 이유(치료가 필요했던 상황)는 무엇이었나요? 예) 고열, 출혈에 대한 응급치료, 신장투석, 정기검진 등
6. 치료가 필요했는데 받지 못했던 의료공백 시기가 언제였나요? (중복체크가능) *
Required
7. 의료공백 상황이 발생한 의료기관의 종류를 알려주세요. (중복체크가능) *
Required
8.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의료공백은 어떤 방식이었나요? (중복체크가능) *
Required
9. 의료공백 피해를 경험했을 때의 상황을 자세히 적어주세요.  (병원에서 들은 말, 피해를 당했을 때 감정 등)
10. 그 의료공백 상황에서 다른 의료기관으로 갈 수 있는 필요한 정보를 안내받았나요? *
11. 의료공백 피해를 경험한 의료기관(병원)의 이름과 과목을 알려주세요.(병원규모, 공공/민간 구분, 안심병원지정여부 등을 파악하기 위한 것입니다. 병원명 공개를 원하지 않으시면 대학병원, 보건소, 일반의원 등으로 명시해주셔도 됩니다.) *
12. 의료공백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하셨나요? (중복체크 가능) *
Required
13. 의료공백 상황 때문에 건강이 더 악화되거나 2차적인 후유증이 생기셨나요? *
Next
Clear form
Never submit passwords through Google Forms.
This content is neither created nor endorsed by Google. - Terms of Service - Privacy Policy

Does this form look suspicious?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