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도시재생 대응 1차 포럼 신청서를 많은 분들의 요청으로 '한국도시재생시민활동가네트워크 준비모임'의 개인 참여 신청서로 7월31일 변경합니다.
이 신청서는 자유로운 참여와 활동, 탈퇴가 가능한 '네트워크'의 참여 신청서로서 기존 1차 신청자 분들은 자동으로 참여신청이 완려되었기에 별도의 신청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 그룹은 도시재생뉴딜에 대하여 전국곳곳의 다양한 영역의 모든 분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고, 그것을 개인을 넘어 네트워크의 힘으로 정책으로 제안하고 함께 실천하는 그룹입니다.
감사합니다.
Facebook 공식 페이지 : @kurforum
https://www.facebook.com/kurforume- mail :
kurforum@gmail.com문의: 안정희 010-6274-6989
본 모임의 보도기사 자료입니다.
1. 한국선설신문 '전국 시민활동가, '도시재생뉴딜' 공식 문제제기
가칭)한국도시재생시민활동가네트워크, ‘도시재생뉴딜 대응 1차 포럼’ 개최
http://www.conslov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4722. 조경신문 ' 도시재생 뉴딜정책, 성급한 시행보단 ‘100년 대계’ 내다봐야
‘현장에서 바라본 도시재생뉴딜정책 포럼’ 개최
http://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19759************* 7월27일 1차 대응 포럼 270분의 현장 참석에 감사드립니다. ************************
뉴딜이란 단어를 빼면 도시재생은 새로운 개념은 아닙니다. 그럼에도 ‘도시재생뉴딜’이 지역에서 초미의 관심사로 등장한 것은 500개(연간 100개), 50조원이라는 숫자 때문일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도시재생뉴딜을 통해 어떠한 장소에 어떠한 내용으로 돈이 투자될지 알지 못하는 사람들의 우려와 걱정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부는 도시재생뉴딜의 유형으로 15개 사업 유형을 제시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이 유형 외에도 충분히 사업이 가능하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자체들은 당장 15개 유형 중 어떤 유형에 공모를 하면 선정이 될지에만 관심이 있는 게 현실입니다. 또한 1년에 100개, 10조원이라는 빠른 속도와 규모로 경쟁을 하면 엄청 느리고 또 느릴 수밖에 없는 지역주민과 지역공동체의 정체성은 무시되거나 동원되기 바빴던 경험들을 기억합니다. 그래서 도시재생뉴딜이 도심재개발사업의 또 다른 버전이 되거나 혁신 창출이라는 이름의 부동산 개발로 가지 않을까 의심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에 우리는 현 정부의 도시재생뉴딜이 기존 정부 사업들과 다르게 지역공동체가 점진적이고 자생적인 성장과 발전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합의(new deal)'의 기회를 제공해주길 바랍니다. 또한 그러한 새로운 합의를 만들어내는데 전문가라는 이름으로 보이지 않는 곳에서의 의사결정이 아닌 현장의 목소리와 경험이 충분히 반영되길 바랍니다.
여기 활동가, 코디네이터, 선생님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지만 그 동안 도시와 지역에서 도시재생사업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활동해온 많은 사람들과 단체들이 있습니다. 우리가 그 동안 현장에서 쌓은 지혜를 서로 공유하고 성공과 실패의 경험들을 응원하며 도시재생뉴딜의 새로운 방안을 발굴하고 애로사항과 제도개선사항을 한 목소리로 전달하기 위하여 논의의 장을 만들고자 합니다.
대도시뿐만 아니라 중소도시와 농산어촌 지역이 소외되지 않고, 주민중심-현장중심의 정책으로 도새재생 뉴딜정책이 진행되기를 바라며 지속적인 연대와 협력을 위하여 ‘(가칭)한국 도시재생 시민활동가네트워크’를 제안하고 더 많은 분들이 함께 참여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 (가칭)한국도시재생시민활동가네트워크(준) 공동준비위원장 권상동. 장원봉. 남철관 및 참여단체 일동-
문의: 안정희 010-6274-6989 / 전은호 010-3881-1505
이메일:
kurforum@gmail.com (*참여희망 단체는 계속 접수중입니다. 이메일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 7월20일 08시00분 기준 신청자 101분+동석 86분 등 187분이 신청을 완료하였습니다.
이 대응포럼을 주민활동가, 연구자, 활동가, 중간조직, 시민단체, 좋은 전문기업 등이 자체적으로 진행하기에
해당일에 좌석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장 책상을 이동 후 참여가능 참여 가능 인원은 200분 정도 가능합니다.
혹 사전신청자가 250분 이상이 넘을 경우
온라인 SNS 실시간 중계와 실시간 의견개진 등의 방법으로 진행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 동반참석 신청자분들은 동반자분들이 직접 별도의 사전신청서를 직접 작성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다음주 월요일경 자세한 내용 전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실무책임자 안정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