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est edit access
교육의 생태적 전환, 그리고 기후정의
- 질문을 던지고 함께 풀어가는 이야기



기후 변화에 대한 위기 의식이 급속하게 퍼져 기후정의를 선언하는 데까지 이르고 있다. 《오늘의 교육》에서 교육을 생태적으로 전환할 것을 제언한 지 10년, 기후정의 선언과 교육을 생태적으로 전환하자는 제언의 저변에는 어떤 생각과 실천이 교차하고 있을까. 자신이 선 자리에서 고민을 심화시키고 실천을 이어 온 이들의 질문과 함께 현재를 성찰하고 더 나빠지지 않는 삶, 나아가 좋은 삶으로 이어갈 가능성을 찾아보자.


신청
온라인 접속 링크는 신청자들께 개별적으로 알려드립니다.


[1일 차. 01.25(화)] 전환교육과 사유
▲(오후 1:00~3:30) 교육의 생태적 전환과 기후정의 / 박복선, 정용주, 채효정, 윤상혁(사회)
- 오늘의 교육 전현직 편집위원장들이 서로의 고민을 주고받기로 이야기를 풀어가는 자리
▲(오후 3:40~5:10) 기후위기, 생태시민, 그리고 교육 / 이혁규

[2일 차. 01.26(수)] 전환교육과 실천
▲(오전 10:30~12:00) 내일의 지구에서 오늘의 우리는 / 김추령
▲(오후 1:00~2:30) 기후위기, 우리는 후발세대로부터 배워야 한다 / 진냥
▲(오후 2:40~4:10) 혁신학교 10년, 교육의 생태적 전환과 교육과정 재구성 / 조진희
▲(오후 4:20~5:50) 우리는 어떻게 동물권에 대해 이야기하게 되었는가? / 똘추, 노랭, 사이다

[3일 차. 01.27(목)] 전환교육과 실천 – 교육농
▲(오전 10:30~12:00) 농업의 정의로운 전환에 대해 / 하승우
▲(오후 1:00~2:30) 청년 농부, 교육의 생태적 전환을 꿈꾸다 / 배이슬
▲(오후 2:40~4:10) 도시농부가 교사농부에게 / 곽선미
▲(오후 4:20~5:50) 농촌, 사회적 관계망을 엮는 삶 – 장곡마을 정착기 / 신소희


[일정]
01.25(화)~27(목)

[진행 방법]
소규모 대면 + 온라인 중계

[장소]
성미산마을 마을회관
*대면 입실은 코로나19 방역 지침에 따라 5명까지만 먼저 신청하신 순으로 하실 수 있습니다.

[참가비]
교육공동체 벗 / 교육농협동조합 조합원은 참가비가 없습니다.
비조합원은 8만 원입니다. (입금계좌. 국민은행 543001-01-341365 교육공동체 벗)


Sign in to Google to save your progress. Learn more
성함 *
휴대전화(000-0000-0000) *
이메일 *
교육공동체벗 또는 교육농협동조합 조합원 여부 *
직접 참여 또는 온라인 접속에 체크해 주세요. 직접 참여는 코로나19 방역 지침에 따라(방역패스 또는 pcr 검사 증명) 신청하신 순서대로 5명까지 입장하실  수 있습니다. 이해부탁드립니다.
Clear selection
연수 때 나누고 싶은 질문을 적어 주세요.  감사합니다.
Submit
Clear form
Never submit passwords through Google Forms.
This content is neither created nor endorsed by Google. - Terms of Service - Privacy Policy

Does this form look suspicious?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