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신제품 개발 및 시장성

 

□ 신제품 : 복제 애완동물

□ 애완동물 시장 환경

ㅇ 미국의 경우, 63% 이상 가구가 애완동물 소유, 약 7천 백만에 해당하는 가구임

- 고양이 : 38.4백만, 개 : 44.8백만 가구수

ㅇ 독신자 인구와 자녀 없는 가정이 늘어남에 따라, 애완동물을 가족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많으며, 일예로 자동차를 구입할 때도 애완견이 탔을 때 편안한지가 주요 구매결정의 변수가 되었고, 애완견의 생일을 챙겨주는 미국 가정이 3분의 1에 해당할 정도임.

ㅇ 미국의 인구가 노령화되고 자녀를 대신해 애완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늘어날 전망이며, 미국의 연간 애완동물시장은 연간 410억달러(약 38조원)에 달하며 성장 잠재력은 현재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ㅇ 복제양 돌리 탄생 직후인 1997년 미국의 한 부호가 애완견 ‘미시’를 복제해 달라며 텍사스A&M대학에 800만 달러를 기증

ㅇ 2004년 애완동물복제회사 Genetic Savings & Clone(GSC) 설립하여, 복제고양이 당 $50,000로 판매 시작

- 기술적인 실패 등을 통해 문을 닫고 대신 유전자 은행 설립

※ 애완동물 유전자 보관 및 유지 시 $1,200 ~ $1,500

ㅇ 미부동산 여왕 애완견에 115억원 유산 상속(2007. 8)

ㅇ 개복제 성공(2005. 8, 한국 서울대 연구팀) 및 체세포를 이용한 고양이 복제 성공(2007.12, 한국 경상대 연구팀) 등 동물복제 관련 기술적인 문제점 해결

ㅇ 국내 바이오업체(RNL바이오), 장애인 여성과 15만달러(약 1억4000만원)로 애완견 복제계약 체결

- 현재(2008.1) 개의 복제성공률은 25% 수준으로 4마리의 대리모견에 수정란을 이식하면 이 중 1마리에서 성공함. 수정란 1개를 만들려면 적어도 2~3마리 정도의 난자 제공견이 필요하므로 1마리를 복제하기 위해 7-8마리가 필요함(스너피 복제 : 123마리의 대리모견 중 1마리 성공, 2005)

- 애완견 복제보다는 마약탐지견, 암탐지견 등 특수견 복제 의뢰가 대부분

 

 

□ 기업 환경과 관련한 사업성 분석

구분

내용

강점

(Strength)

ㅇ customer ordering system으로 재고 없음

ㅇ High tech 기술로 타회사 참여시 시간 소요

ㅇ 애완동물의 유일성 및 특별함 존속 가능

약점

(Weakness)

ㅇ 복제동물에 윤리적, 정서적 거부감

󰋯같은 외모 다른 성격 등

󰋯높은 비용에 비해 수백만 stray cat, dog에 대한 대체가능성

ㅇ 현재 낮은 기술 수준으로 인한 높은 비용 요구

󰋯낮은 생존율 및 고통스러운 실험에 따른 대리모 희생, 복제동물에 대한 long term studies 부재

기회요인

(Opportunity)

ㅇ 인구 노령화에 따른 애완동물을 반려인으로 간주

ㅇ 복제식품 및 동물에 대한 규제적 완화

󰋯미국, 복제동물 우유와 육류 시판 허용 예정(2008.1)

위협요인

(Threat)

ㅇ 동물복제 관련 윤리적 논란[AAVS, 미국 복제동물 반대협회]

ㅇ GMO(유전자 조작 생물체) 관련 위험성 내재로 인한 소비자 외면

󰋯복제양 돌리(1997.7) 지나치게 빠른 노화로 인한 안락사(2003.2) 등

ㅇ 대다수의 미국인들이 애완동물 복제에 대한 반대 입장

 

□ STP 분석

(1) 시장세분화(Segmentation)

ㅇ 2007년도 미국 애완동물 통계치

구분

고양이

애완동물 소유 가구(%)

37.20%

32.40%

3.90%

1.80%

애완동물 소유 가구(백만)

43백만

37.4백만

4.4백만

2백만

가구당 평균 애완동물수

1.7

2.2

2.5

3.5

총 애완동물(미국, 백만)

72백만

81백만

11백만

7백만

가구당 일년 평균 동물병원 방문수

2.6

1.7

0.3

2.2

가구당 일년 평균 동물병원 소요비용

$356

$190

$25

$360

애완동물 당 동물병원 소요비용

$200

$81

$9

$92

중성화 수술

75%

87%

 

 

ㅇ 소비 금액에 따른 패턴(개의 경우)

구분

$300이상 소비자

$300이하 소비자

지역

동부, 북중앙

서부, 북중앙

도시

대도시

시골

나이

44세

46세

소득

고소득층

저소득층

가족

대가족

소가족

결혼

결혼

다소 싱글

가족구성원

18세 이하 자녀를 가진 가구

18세 이하 자녀가 없는 가구

 

ㅇ 복제동물에 대한 인식(설문조사)

- 같은 유전자이나 다른 성격을 가짐, 복제애완견 1마리를 성공하기 위해 수많은 희생동물이 필요하다는 것과 기존 stray animal 에 대한 대체 가능성 등 대부분이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음.

 

(2) 표적시장 설정(Targeting)

- 대상 : 현재 기술적 수준 및 시장성을 고려하여 애완동물 중 개 및 고양이 복제로 타겟 집중화

∙ 초기에는 특수동물(마약탐지견, 암탐지견 등) 겨냥

- 지역 : 복제동물이 높은 가격을 요구하는 것을 고려, 미국의 경우 동부 및 북중앙지역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공략

- 소득계층 : 고소득층의 결혼을 한 대가구수를 집중

(3) 포지셔닝(Positioning)

- 평생반려로써의 애완동물의 유일함, 특별함, 독특함을 부각하여 복제동물의 유용성을 강조

- 애완동물 복제 이외에 부가적으로 복제 동물에 다른 털색깔 등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복제동물의 예술성 강조

 

II. 4단계의 수명주기 동안의 가격전략과 유통전략

 

□ 도입기(introductory stage)

ㅇ 가격전략

- 애완동물 복제에 따른 높은 기술수준 요구에 따른 고비용 소요 및 제반 비용을 충분히 지급할 수 있는 상위층을 타겟으로 하여 고가로 유지하면서 유일성 및 독특함을 강조

ㅇ 유통전략

- 잠재시장의 상당부분이 애완동물 복제에 대해 알지 못하고 또한 복제 관련 윤리적 문제에 따른 부정적 시각을 가지는 경우로서, 매스미디어 광고를 지양하고 애완동물 관련 용품점 등과 전략적 제휴를 통한 유통체계 구축

∙ 동물 복제 관련 실험실, 유전자 은행, 유명 Pet shop, 애완동물 보험 및 장례서비스 회사 등과 제휴

 

□ 성장기(growth stage)

ㅇ 가격전략

- 새로운 경쟁자가 시장에 진출하는 시기로 복제동물에 대한 품질, 특성 및 스타일을 개선, 즉 기존 단순히 애완동물을 복제하는 수준에서 형광고양이, 털색깔 변화 등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애완동물 복제

- 가격은 고가로 유지하면서 희소성 및 독특함을 강조

ㅇ 유통전략

- 기존의 유통채널이외의 새로운 유통 경로 진출을 통한 customer ordering system 구축

∙ 애완동물 관련 동호회 등의 웹싸이트 및 인터넷 광고를 통한 인터넷 채널 구축

∙ 군사용 특수견 등 복제동물의 유용성을 강조하여 정부 유통 채널 구축

□ 성숙기(maturity stage)

ㅇ 가격전략

- 시장은 과점(oligopoly) 양상으로 바뀌고, 경쟁자가 대거 출현함으로써, 비슷한 품질 및 가격을 제공함에 따라, 브랜드 충성도가 중요한 역할을 함. 따라서 광고를 통해 어린이와 노인을 타겟으로 하는 감각적 및 심리적 가치를 강조하고 높은 기술수준 및 수년간의 노하우를 강조하는 전략을 도입

- 다수경쟁자 및 일반대중을 상대로 하는 것을 고려하여 가격은 중고가 유지함.

ㅇ 유통전략

- 복제동물 관련 논란이 완화됨에 따라 대중화 및 일반화가 가능해짐에 따라 기존 애완동물 용품점 채널 및 인터넷 채널 이외에 대형 소매점을 통한 유통 채널 추가 구축

 

□ 쇠퇴기(decline stage)

ㅇ 가격전략

- 복제 동물을 경제적인 면을 넘어서 미학적인 측면에서 다룸으로써 새로운 예술품으로써의 용도를 도입함으로써, 고가전략 유지함. 또한 복제 개 및 고양이 이외의 희귀동물에 대한 복제를 통한 product extension을 함.

∙ 붉은 점에 푸른 털을 가진 개, 호랑이 복제 등

ㅇ 유통전략

- 축적된 기술 및 노하우를 통해 해외시장 진출, 해외 시장 진출 시 각 나라별 특성을 고려하여 제품 다각화

∙ 이탈리아에서는 검은 고양이는 악마의 도구로 간주되어 대량학살 등이 일어남, 검은 고양이 대신 다른 여러 색깔의 복제 고양이 제공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