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4기 <웹소설 중심 케이(K)-콘텐츠 스토리텔링> 시간표
11. 20.(월)
※ 강의 내용은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시간 | 교수 학습 내용 |
09:00 ~11:50 | 나도 오늘부터 웹소설 작가(황유정) 1. 안녕, 웹소설: 인터넷소설과 웹소설, 뭐가 달라/웹소설 대표 플랫폼은 어디야/웹소설 시장은 요즘 어때 2. 웹소설 계약 과정이 알고 싶어: 수익 정산 구조/계약 루트, 출판사 투고/계약 루트‚ 무료 연재 3. 로맨스 웹소설의 장르 공식이 궁금해: 현대 로맨스의 장르 공식/로맨스 판타지의 장르 공식 4. 판무 웹소설의 장르 공식이 궁금해: 판타지의 장르 공식/현대 판타지의 장르 공식/무협의 장르 공식 5. 웹소설 전업 작가를 꿈꾸는 당신에게: 진짜 매일 10,000자씩 써야 해/미래의 웹소설 작가님을 위한 조언 |
13:00 ~14:50
| 웹소설의 글쓰기, 출판 문학의 글쓰기와 어떻게 다른가?(정혜영) 1. 웹소설의 정의와 특징: 웹소설의 정의/웹소설 독자의 특징과 소비 경향/웹소설이 다루는 이야기의 특징/웹소설 IP의 가치와 가능성 2. 전자책-웹소설과 종이책의 차이: 전자책 대 종이책의 독해력 연구 결과/모바일 독서 환경의 이해 3. 웹소설 작법의 차별점: 동일 장르의 종이책 소설(<김비서가 왜 그럴까>)과 인터넷 연재용 소설(<사내 맞선>)의 문장 연출/서술/편집 방식 차이 비교 4. 웹소설 저술 시 추구해야 할 문장 연출/서술/편집 방식: 모바일 독서 환경 이해를 바탕으로 문단 구성(시각적 피로도 고려/모바일 환경이 유발하는 독해력 저하 고려)/경제적인 서술/대화문의 역할 확대/가독성-가해성의 증대 |
15:00 ~16:50 | 코드로 파헤쳐 보는 에스에프(SF) 이야기(임태운) 1. 장르와 코드: 공상과학소설의 정의/코드의 종류/초보자들이 자칫 저지르는 실수 2. 기획: 기획의 중요성/기획과 연출/관객과 주 대상 고찰/기획과 스토리/창작자가 곧 기획자/주안점/사례 유명 프랜차이즈의 합체/기획의 3박자/사례 3. 작가적 엠비티아이(MBTI): 플롯형:캐릭터형/미스터리형:서스펜스형/발산형:수렴형/순발력형:지구력형/ 4. 영상이 되는 글, 성공 전략과 비법: 계약의 비밀/원작 계약 시 유의점/영상화(영상화는 그릇이 달라지는 일)
|
□ 교육과정 운영자(강의 순서에 따름)
황유정 | 청강문화산업대학교 만화콘텐츠스쿨 웹소설 창작과 교수//작품: <하이드>(드라마) 공동 집필(2023), <고딕 제주> (공포물) 참여 작가(2024 예정), <엑소스 히어로즈>(오디오 드라마 협업 프로젝트 중심 작가(2022) 외 다수//수상: <창비어린이> 신인 문학상 동화 부문(2021), 게임 포 체인지 국제 어워드(Games for Change Awards, 2021) 외
|
정혜영 | 청강문화산업대학교 만화콘텐츠스쿨 웹소설 창작과 교수.//작품: [웹소설] 《피어나》(2017), 《4월, 교생실습, 내재율의 러브레터》 (2017), 《소녀우화》(2018), 《내 XX 같은 주인》(2019), 《여왕님 길들이기》(2019), 《달의 공주님》(2018), 《아내가 필요해》(2018) [웹툰] 봄툰 《개발해주세요》(2020년), 《마리와 알렉스》(2020년), 《코펠리아의 관》(2021년) 스토리 집필 외 |
임태운 | 청강문화산업대학교 만화콘텐츠스쿨 웹소설 창작과 교수//작품: 《태릉좀비촌》(2017), 《근방에 히어로가 너무 많사오니》 (2017), 《화이 트블러드》(2020), 《종말 하나만 막고 올게》(2021), 《드림 플레이어》 외 다수//수상: 덱스터 스튜디오 SF시나리오 공모전 <기어몬스터> 대상(2016), 이소설 웹소설 공모전 <레어템을 떨궜다굽쇼> 우수상 (2016) 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