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2기 <행정실무> 시간표
3. 13.(월) ※ 강사, 시간표 내용은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시간 | 교수 학습 내용 |
09:00 ~11:50
| ◼ 공문서 작성법(김덕신) 1. 공문서의 정의 2. 공문서 작성에 관련된 법령: 공통법/중앙/지방 3. 문서 작성의 일반 원칙에 대한 규정: <국어기본법>/<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 시행규칙> 4. 문서의 구성 체계: 문서의 구성/본문 5. 문서의 작성 기준 세부 내용:숫자 등(숫자/날짜/시간/금액)/항목의 구분 6. 문서 작성 시 유의 사항: 정확성/용이성/성실성/경제성 7. 문서 작성 시 주의할 표기와 표현: 어문규정/어휘 선택/문장, 표현 8. 공문서 사례: 위원 모집 공고/응모 신청서 |
13:00 ~16:50 | ◼ 민원실무(허남식) ㅇ 민원의 신청․접수, 민원의 처리, 민원처리 기간과 민원처리기준표, 이의신청과 사전심사 청구 제도, 민원 1회 방문처리 제도, 민원처리 결과 통지와 확인․점검․평가 ◼ 정보공개 실무(허남식) ㅇ 정보공개 처리 절차도, 정보공개의 청구, 정보공개 청구서 접수와 이송, 정보공개 청구 취하, 제삼자 의견 청취, 정보공개 여부 결정, 정보공개 여부 결정의 통지, 공개 실시 외 ◼ 행정실수(허남식) ㅇ 행정실수 사례 분석: 행정실수의 의미, 유사 용어, 행정실수의 용어 사용 범위, 행정실수의 이유, 행정실수의 유형 분석, 민간의 실패 학습, 행정실수의 결과, 행정실수 예방하기 ㅇ 행정실수 사례 발표(교육생) |
□ 교육과정 운영자
김덕신 | 문학박사. 카이스트, 충남대 강사, 충남대학교 언어교육원 한국어 전임연구원. 《리얼라이프》(한국어 교재/공저, 2009), 《언어와 사회》(공저, 2013), 《꼭 알아야 할 대학 한국어 글쓰기 1, 2》(공저, 2020), 《유학생을 위한 대학 생활 말하기 1》(공저, 2021), 《유학생을 위한 대학 생활 말하기 2》(공저, 2022) |
허남식 | <공문서 규정>(사무관리규정) 창안자. 전 행정안전부 서기관//《사무관리》(2001-2009), 《정보공개제도 운영 요령》(1987), 《행정실무 종합》(2007), 《기획실무》(2007-2018) 외 다수//수상: 대통령 표창 2회<공무원 제안 창안상(민원처리통합 개선), 전자정부구현 업무 유공)>/국무총리 표창(모범공무원), 장관 표창 2회근정 포장(정부업무평가 유공) 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