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2기 <행정실무> 시간표
1. 26.(금)
※ 강사, 시간표 내용은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시간 | 교수 학습 내용 |
09:00 ~11:50 | ◼ 보고서 작성법(진정) 1. 보고서의 개념과 구성: 보고서의 개념: 보고서의 정의/결재권자 맞춤 보고서/보고서의 문제점-좋은 보고서 의 요건/기본 구성(실습 병행): 제목, 배경과 목적, 본문(개요, 추진계획 등), 기대효과, 향후 계획 2. 보고서 작성과 실습: 보고서의 유형별 구성 가. 정책보고서/회의보고서/상황-정보보고서/행사보고서(실습 병행) 나. 보고서의 표현과 문장, 보고서의 표현: 행정업무운영편람에 따른 표기와 표현/개요의 필요성(실습 병행) 보고서의 문장(실습 병행): 간결한 문장/개조식 문장 3. 보고의 기술 가. 상사의 성향에 맞춘 보고 나. 상사를 동반한 보고: 초동보고와 중간보고의 기술 다. 보고의 화법 4. 마무리(요약) |
13:00 ~14:50 | ◼ 공문서 작성법(진정) 1. 관계 법령에 따른 공문서의 표기와 표현 ㅇ <국어기본법>과 시행령: 한글 전용 / 쉬운 정책용어 쓰기 ㅇ <행정업무의 운영 및 혁신에 관한 규정>과 시행규칙: 규정에 맞게 쓰기/간결하게 쓰기 2. 《행정업무운영편람》에 따른 문서 작성의 원칙 정확성(어문규범 준수)/용이성(쉬운 행정용어 사용)/성실성(평등한 언어 사용)/경제성(서식 사용) 3. 마무리 |
15:00 ~16:50 | ◼ 민원 실무(허남식) ㅇ 민원의 신청, 접수, 민원의 처리, 민원처리 기간과 민원처리기준표, 이의신청과 사전심사 청구 제도, 민원 1회 방문 처리 제도, 민원처리 결과 통지와 확인-점검-평가 |
◼ 정보공개 실무, ◼ 행정실수 사례 분석은 교재에 수록하여 참고자료로 제공함.
□ 교육과정 운영자
진정 | 선문대학교 인문대학 계약 교수, 이화여대 국어문화원 책임 연구원, 중앙행정기관-지방자치단체 인재개발원 등 출강 저서: 《알기 쉽고 쓰기 쉬운 공공언어》(공저, 2018), 《유학생을 위한 창의적 말하기》(공저, 2019)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공공 언어 교재 외 다수 인재개발원 교재 발간에 참여 |
허남식 | 전 행정안전부 서기관//<공문서 규정>(사무관리규정) 창안자. 《사무관리》(2001-2009), 《정보공개제도 운영 요령》(1987), 《행정실무 종합》(2007), 《기획실무》(2007-2018) 외 다수//수상: 대통령 표창 2회/국무총리 표창 장관 표창 2회 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