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shed using Google Docs
제37기 <세상 향한 글과 말> 시간표
Updated automatically every 5 minutes

제37기 <세상 향한 글과 말> 시간표

리더로서 생각하고 글 쓰고 그림 그리고 말하며 소통하기―

 

3. 14(목)

시간

교수 학습 내용

09:00

~09:50

세상 향한 글쓰기(남미영)

1. 글쓰기. 디지털 시대의 생존전략

① 내 생각을 나보다 더 잘 표현할 사람은 없다 ② 글쓰기, 세상을 내 편으로 만드는 기술

③ 쓰면서 배우고, 쓰면서 생각한다 ④ 글쓰기 능력은 유전되지 않는다 외

10:00

~10:50

2. 글쓰기의 기초체력 기르기

① 글쓰기의 워밍업, 하루 15분 생각 쓰기 ② 좋은 글을 읽어야 좋은 글이 나온다

③ 어휘의 양과 질이 글의 품위를 결정한다 ④ 그 자리에 딱 맞는 단어는 세상에 하나밖에 없다

⑤ 좋은 문장은 간결하고 쉬운 문장이다. ⑥ 읽히는 문장에는 음악이 흐른다 외

11:00

~11:50

3. 맛있고 힘있는 글쓰기의 기술

① 설명할 수 있어야 진짜로 아는 것이다 ②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해가 빨라진다

③ 분류와 구분은 기억하기 좋은 글을 만든다 ④ 비교와 대조는 글의 의미를 확실하게 한다

⑤ 대화체를 섞으면 글의 지루함을 덜어 준다 ⑥ 마음을 움직이는 글은 구체적이다 외

13:00

~14:50

세상 향한 글쓰기, 그림책으로 넓혀 보기(나명희)

① 벽은 허물고 울타리는 넓히고

③ 속도보다 방향

⑤ 삶을 읽는 힘

15:00

~15:50

리더의 소통법(송지언): 설득력 높이는 비언어 소통법.

메시지의 전달력을 높이는 방법 활용-녹화 후 확인해 보기

음성언어: 공식 석상에서 신뢰감‘호감 만드는 스피치(음성언어/시각언어/내용언어)

16:00

~16:50

리더의 메시지 형성에 비언어 소통법이 미치는 영향.

시각언어: 메시지 전달력-설득력-공감력 높이고 경청 유도하는 제스처 사용법

연습 원고 활용으로 스피치력 높이기 실습하기

※ 시간표 내용은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교육과정 운영자(강의 순서에 따름)

남미영

문학박사. 한국교육개발원(KEDI) 국어교육연구실장, 초중고 국어 교과서 연구개발 책임자 역임

초중고 국어 교과서 집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 제1회 해송문학상 수상, 제34회 소천문학상 수상

―교육서: 《생각 쓰기》, 《생각 키우기》, 《공부머리를 완성하는 글쓰기》, 《공부머리를 완성하는 독서법》, 《독서기술》

―서평집: 《사랑의 역사》, 《오래된 책이 말을 걸다》/―에세이:<남미영 칼럼> 연재(월간 에세이) 외/―칼럼:<동아 칼럼> 연재(《동아일보》),<일사일언> 연재(《조선일보》)/-방송 출연: EBS, KBS, CBS 독서, 글쓰기 강의 등

나명희

경희대학교 글로벌교육원 교수. 작문-독서 교육 전문가, 한겨레신문사 문화센터 글쓰기 전문 강의(1998~2002)

학교 밖 글쓰기 교사 대상 <싱싱 글쓰기> 강의, 초중등 교사-학부모 글쓰기 지도

《말하는 대로 글이 되는 우리 아이 첫 글쓰기》(2020, 초등 1~3학년 글쓰기 교육용)

《초등 글쓰기 교재》/《중등 글쓰기 교재》/《전문계 고등학교 글쓰기 교재》(공저, 대구교육청), 초중등 학생 글쓰기 지도 문집 100여 권, 《나에게 시가 왔습니다》(2019, 국어생활연구원 교육생들의 시 작품집)

송지언

SPEECH BY 지언 대표, 아나운서(MBC, YTN 외)/ 스피치 담당 교수/스피치 담당 교수(숙명여대 라이프 아카데미 프로그램, 경기시청자미디어센터, 중부대학교 평생교육원, MBC 아나운서 아카데미, 봄온아나운서 아카데미, 고양시 공무원 대상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