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클래스룸 사용설명서(교사용)
문서 주소 : https://bit.ly/google-classroom-manual 공개용버젼
업데이트 https://bit.ly/googleclassroom-update 목차이동
Google 클래스룸 사용설명서
(교사 및 관리자용)
이용안내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의 Google 클래스룸은 선생님과 학생이 학습자료 (동영상 자료, 첨부문서, 링크, Google 드라이브문서) , 과제, 퀴즈, 질문 등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교육을 하기 위한 온라인 소통 도구입니다. 클라우드 기반이라 UI도 쉽고 IT 전문 지식이 없어서 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선생님은 교육에 집중할 수 있고, 학생들은 친숙한 PC 및 스마트폰으로 공부할 수 있어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습니다.
최근 4차산업혁명 등 학교 밖의 변화는 폭풍과 같은데 정작 학교안은 외부의 변화에 대해서 인식을 못하고 기존 교육방법에서 변화가 많지 않다는 생각입니다. 시대에 맞는 우수한 인재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학교가 변해야 하고 선생님이 새로운 시도를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합니다. Google 클래스룸은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대신에 Flipped Learning, Project 기반의 수업, 디베이트 등 다양한 수업에 적합하고 학생들 스마트폰으로 이용이 편리하기 때문에 선생님, 학생 모두에게 좋은 도구입니다.
많은 선생님이 국가의 미래, 학생들의 장래를 위해서 노력하는데 막상 IT 특히 Cloud 분야가 전문분야이고 생소해서 잘하는 선생님은 많지 않은 거 같아서 개인적으로 Cloud IT 전문가로 재능을 기부하고 싶어서 지식을 나눔합니다.
이용하시고 궁금한 점이나 개선점 등 알려주시면 틈틈히 지속적으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Google 클래스룸 을 통한 성공사례 알려주시면 다른 선생님과 같이 공유하겠습니다.
코로나19가 2020년부터 대한민국의 많은 것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처음으로 원격교육을 도입했고, 온라인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산업계에서는 코로나로 인하여 매출이 1000% 오르고 한순간에 대기업보다 커지는 Startup이 많은데 왜 교육분야에서는 대박난 학교가 안나올까요? 미국의 미네르바 스쿨만 바라볼게 아니라 인프라 좋고 우수한 교사를 보유한 한국이 미래의 교육에 가장 최적인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방대, 고교에서는 학생을 미충원하여 어렵다고 하는데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꾸면 미래의 인재를 육성할 수 있는 좋은 학교로 거듭날 수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지금은 디지털 시대입니다. 변하지 않으면 망합니다.
AI can personalize learning, provide real-time feedback, and automate tasks. It can also provide access to education, identify struggling students, track progress, and create adaptive learning experiences. AI can revolutionize education and make it more accessible, effective, and engaging for all students.
A group of student has a many
조코디, codyjo@cloudcody.com
본문서는 비영리 목적으로만 학교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영리목적의 발췌, 사용, 복사, 인쇄를 금지합니다. 기타의 경우는 문의해주세요. 본 문서를 PDF로 이용하는 것보다는 Google 문서로 보시는 것이 더욱 좋습니다. 또는 웹버전 형태로 이용하세요. 브라우저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웹(Web) 버젼 : https://goo.gl/1ixdRK
▶ 클래스룸 사용방법 데모 문서(프리젠테이션) : Google 클래스룸 사용방법 설명 화면 데모(Demo)
Google 클래스룸의 업데이트 내용은 다음 사이트를 방문해서 확인하세요. Google 클래스룸 Update
제목 뒤에 년도와 숫자(예.18.03)가 있을 경우에는 Google 클래스룸 업데이트에 대한 변경내용이 있을 경우이므로 기존 방법에서 변경내용을 확인하세요.
본 설명서에 대해서 수정 사항이나 요청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연락처 이메일로 보내도 되지만, Google을 사용하는 선생님이라면 Google 문서의 ‘댓글’ 기능을 사용해주세요. 본 문서는 링크로 접속하는 분들은 모두 댓글 권한[1]이 있습니다.
[좌] 댓글 답변 화면 [우] 답변 등록시 화면
자료를 이용 후 도움이 되었으면 다음 계좌로 후원을 해주시면 업데이트 및 콘텐츠 제작에 도움이 됩니다. 국민은행 060402-04-215190 예금주 : 조재영. 금액 3,000원
디지털 전문가 조코디의 Google Workspace을 이용한 재택근무 바이블을 통하여 Google Workspace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학습
References
재택근무 바이블(조코디의 G Suite를 이용한). (2020). 디지털북스.
할 수 있습니다. 총 18개 서비스에 대한 내용 및 YouTube 영상을 제공합니다. 또한, 재택근무시 사용할 수 있는 Slack, Notion, Notion, Docswave에 대한 내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구매처 : bit.ly/재택근무바이블
▶ 책소개 영상 : https://youtu.be/3NWsrLWkdak
Google 실무 워크북은 520페이지의 재택근무 바이블의 요약판으로 업무에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 형태로 필요한 개념과 기능을 바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Google 실무 워크북은 e북 형태로 판매퇴고 있으며, 책 구입 후 도서 홈페이지(책 안에 주소 확인) 맨 하단에서 뉴스레터를 구독하시면 업데이트 내용과 함께 계절별로 업데이트 된 Google 실무 워크북을 무료로 드립니다.
또한, 지속적인 콘텐츠 제공으로 Google Workspace를 쉽게 업무에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Google Workspace를 도입하여 회사 업무의 협업에 사용하는 회사에 추천합니다. 신입사원이나 경력사원이 입사를 하면 기존 직원들과 협업을 통하여 업무를 진행하는데, 디지털 역량 차이로 원하는 협업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회사에서 신입사원이나 경력사원을 위하여 별도의 교육세션을 열기에도 인원이 많지 않을 경우에는 원격으로 진행되는 월간 신입사원에 참여해보세요. 원격으로 진행되면 교육내용이 더 타이트하고 체계적입니다.
스마트워크와 일하는 방법을 위한 Workspace 교육과정입니다. 코로나19로 온사이트 교육이 어려울 경우에는 온라인에서 교육을 받고 평가하여 디지털 역량을 올릴 수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과정은 기존의 사이버교육과는 품질이 다릅니다.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은 미래 인재 육성을 위하여 학교에서 꼭 도입해야 하는 협업 도구입니다. Google에서는 이익 사회 환원 차원에서 유료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교육기관에는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Workspace는 기업에서 사용하는 전문 서비스로 전문가가 필요하고 다양한 이슈에 대해서 대응하는 역량이 필요합니다. 초중고 선생님이나 IT 직원의 경험 및 정보부족으로 많은 학교에서 도입 및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 이런 어려운 부분에 대해서 계약을 통하여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edu@cloudcody.com 에 문의해주세요.
디지털세상입니다. 학교의 학생들은 태어났을 때 이미 아이폰이 있었고, 스마트폰을 가지고 자랐습니다. 키보드보다는 터치가 편하고 글자보다는 유튜브 영상을 더 선호합니다. 이런 학생들에게 선생님들의 경험과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선생님이 선호하는 방식이 아닌 학생들이 좋아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하고 수업자료를 만들어야 합니다. 아무리 좋은 자료도 학생들이 어려워 한다면 효과가 떨어집니다.
소개해드리는 디지털 수업은 초중고 선생님을 대상으로 디지털 역량 강화 실습 수업니다. 기초 사용방법을 배우고 난 후에 실습 과제를 통하여 실제로 교육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료를 만들어 봅니다. 이미 다양한 교사 연수 및 특성화고 교사를 대상으로 수업이 진행되었고, 교육을 담당하는 조코디는 디지털 전문가로 Google 전문 엔지니이어기도 합니다.
무료 서비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원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직접 만들고, 학생들과 공유하면 학생들이 수업에 더 관심을 가지고 공부할 것입니다. 디지털 시대의 학생들인 MZ 학생들은 선생님의 디지털 콘텐츠를 좋아합니다.
학생들과 소통하고 대화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사용하는 디지털 도구 및 방법을 이용해야 합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는 선생님의 반복되는 수업의 피곤함을 줄일 수 있습니다. Google에서는 반복되는 교육에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하라고 추천합니다.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학습하고 선생님은 학생들의 코치가 되어 학생들에게 더욱 다가가서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디지털 시대입니다. 디지털은 이미 우리 세상 곁에 와 있습니다. 이제는 선생님들이 변할 차례입니다.
문서번호 | 문서제목 | 접속 URL |
CSC-M01 | Google Workspace 간략 소개서 | |
CSC-M02 | Gmail 매뉴얼 - Gmail UI - 편지함 분류방법 - 스팸 필터 만들기 | |
CSC-M03 | Google 주소록 매뉴얼 | |
CSC-M04 | Google 드라이브 매뉴얼 | |
CSC-M05 | Google 캘린더 매뉴얼 | |
CSC-M06 | Google 문서 매뉴얼 | |
CSC-M07 | Google 스프레드시트 매뉴얼 | |
CSC-M08 | Google 프레젠테이션 매뉴얼 | |
CSC-M09 | Google 사이트 도구 매뉴얼 | |
CSC-M10 | Google 설문지 매뉴얼 | |
CSC-M11 | Google 행아웃 매뉴얼 | |
CSC-M12 | Google Keep 매뉴얼 | |
CSC-M13 | Google 그룹스 매뉴얼 - 기본 그룹스 설정 - API 를 이용한 설정방법 | |
CSC-M14 | Google 기타 서비스 소개 | |
CSC-M15 | 내 Google 계정 관리하기 | |
CSC-M16 | Google Workspace 관리자 매뉴얼 - 사용자 관리방법 - OU/Groups 구성방법 - DLP 적용 | |
CSC-M17 | Google Meet 매뉴얼 - 통화품질 설정 및 확인 - 외부사용자 참석방법 - 배경화면 만들기 | |
CSC-M18 | Google Chat 매뉴얼 - Google Chat 개념 - Chat UI - Charring Room : Space | |
CSC-M19 | Google Currents 매뉴얼 | |
CSC-O01 | Google 클래스룸 사용설명서(교사용) | |
CSC-O03 | 클래스룸 사용방법 데모 |
※ 개인적인 사용에 한하며, 기업이나 학교에서는 계약없이 공개적으로 게시 및 활용할 수 없습니다.
목차
Google Workspace 매뉴얼 시리즈(공개용) 9
Udemy Google Workspace 교육과정 19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 27
원본성 보고서(Originality reports) 0
Google 클래스룸 주제를 이용한 효율적인 과제 분류방법 0
스마트폰에서 Google 클래스룸 이용하기(Android 기준) 0
Google 과제(Assignment) → LMS만 지원함 0
Google 클래스룸 과제 제출시 문서 소유권 변경 0
Google 클래스룸 그룹으로 학생초대시 오류 해결 방법 0
Google 설문지(Form) : 편리한 설문 및 퀴즈 만들기 0
Kami - PDF and Document 주석 도구 0
구성원 전체가 사용하면 좋은 Google 팀 드라이브(Team Drive) 0
Google 드라이브 파일 스트림(Drive File Stream) 0
워드 클라우드(구름 단어)를 이용한 사용자 Feedback 0
아이들의 의견을 동영상으로 등록 - Flipgrid 0
일반 계정 대신 Workspace for Education 계정 사용 장점 0
교사가 Google 신청시 꼭 이해해야 하는 내용(IT관련) 0
Google이 교육기관에 Workspace for Education 무료제공 이유 0
Workspace for Education 활용 학교 0
사용자 그룹에서 설명하는 Google 클래스룸(2018.09) 0
Google for Education: Global Stories 0
Coding on Chrome with Web Apps 0
Google Certified Educator(출처:GEG SouthKorea) 0
Google 공인 교육자 (Google Certified Educator)가 뭔가요? 0
왜 세계의 많은 교육자들이 GCE를 준비하고 있을까요? 0
Google Workspace Certification 0
Workspace for Education 가입하기 0
학교 계정이 아닌 일반 계정의 사용자를 추가할 수 있나요? 0
Google 클래스룸 및 Assignment에서 원본성 보고서 개선을 통한 다양한 표절 탐지 0
Google Workspace Education Plus용 Google 클래스룸 SIS 연계 0
디지털 전문가 조코디의 Google Workspace을 이용한 재택근무 바이블을 통하여 Google Workspace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총 18개 서비스에 대한 내용 및 YouTube 영상을 제공합니다. 또한, 재택근무시 사용할 수 있는 Slack, Notion, Notion, Docswave에 대한 내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구매처 : bit.ly/재택근무바이블
▶ 책소개 영상 : https://youtu.be/3NWsrLWkdak
구글 실무 워크북은 520페이지의 재택근무 바이블의 요약판으로 업무에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 형태로 필요한 개념과 기능을 바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구글 실무 워크북은 e북 형태로 판매퇴고 있으며, 책 구입 후 도서 홈페이지(책 안에 주소 확인) 맨 하단에서 뉴스레터를 구독하시면 업데이트 내용과 함께 계절별로 업데이트 된 구글 실무 워크북을 무료로 드립니다.
또한, 지속적인 콘텐츠 제공으로 Google Workspace를 쉽게 업무에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세계적인 Mooc인 Udemy에서 조코디의 Google Workspace 강의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조코디의 Google Workspace 과정은 초급, 중급, 고급으로 구성이 됩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디지털 변화관리 창직자로 많은 교육과 컨설팅을 기반으로 교육을 구성하였습니다. 각 단계별로 가장 필요한 내용만을 함축적이고 쉽게 설명하여 Google Workspace를 학교, 업무에 바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계정과 도메인계정을 모두 설명하여 에디션에 따라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TBD
TBD
코로나19 관련 Google Update 내용
2020년 2월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 및 원격수업 지원을 위하여 Google에서 Hangout, 클래스룸에 제공하는 내용을 임시로 정리하나, 재택근무 및 원격수업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Google 클래스룸(https://classroom.google.com)은 e-Learning 플랫폼으로 다양한 수업 미션(Mission)을 관리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Google 클래스룸을 이용하면 선생님은 부가적인 업무에 불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학생 지도에 보다 많은 시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Google 클래스룸을 이용하면 학생별로 차별화된 교육 진도와 관리를 통하여 교육의 본질인 학생이 이해하고, 깨닫는 데 도움이 됩니다. Google 클래스룸을 이용하면 학생과의 보다 긴밀한 소통으로 학생의 수업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고, 선생님도 보다 보람있는 학교생활이 가능합니다.교사는 수업을 만들고, 과제를 내고, 의견을 보내고, 한곳에서 모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Google 클래스룸은 Google 문서 및 드라이브와 같은 다른 Google 도구와도 원활하게 통합됩니다.
Google 클래스룸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학생마다 수업에 필요한 자료를 등록하고 과제를 부여하고 장소와 시간이 달라도 질문하고 답변 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선호하는 풍부한 동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학생의 공간과 방법으로 스스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수업시간전에 미리 학습할 내용을 전달하고, 과제를 정리하고, 과제의 점수를 부여하고, 학생에게 부족한 부분을 알려줄 수 있고, 작성 방향에 대해서 의견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관리하기 어려운 많은 종이 레포트 대신에 Google의 강력한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필요할 경우에 원하는 자료를 찾을 수 있고 학교 컴퓨터가 아니더라도 외부에서도 학생과 지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학교가 아닌 회사나 스터디 모임에서도 공통의 목적을 가지고 학습할 수 있으며, 모든 내용은 안전한 클라우드에 저장되어 보관됩니다.
Google 클래스룸을 사용하면 교사는 수업 이외의 업무시간을 줄이고, 오류를 줄일 수 있으며, 사무실에 종이를 줄일 수 있습니다. 그 자리에 근사한 꽃이나 창의적인 생각을 돕는 물건을 두면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올라갈 겁니다. 학생들은 좋아하는 컴퓨터로 공부를 할 수 있고, 선생님과 대화하려면 시간도 잘 안 맞고 쑥스러워서 질문하기 어려웠지만 쉽게 질문할 수 있습니다. 질문할 것을 모았다가 학교가서 질문하지 않고 그때 그때 바로 질문할 수 있습니다. 선생님이 좀 피곤해지겠죠.
▶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 설명 : https://youtu.be/9Qq3NiWmFcs
▶ Google 클래스룸 사용하기(Basic) : https://youtu.be/70molLglY1Q
Google 클래스룸은 교육의 패러다임과 학교의 가치를 바꿀 수 있는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타 서비스와 기능적으로 비교하는 것보다는 Google 클래스룸의 본질적인 가치를 잘 이해하고 준비를 하는 것이 중요하리라 생각합니다. Google 클래스룸의 가장 큰 가치는 다음 4가지입니다.
첫번째로 전통적인 교육방식은 150년전과 동일하게 지식을 전달하는 형태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선생님은 앞에서 지식을 알려주고, 학생은 선생님이 알려주는 지식을 아무런 비판적 사고없이 그대로 암기하는 형태였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IT의 발전으로 선생님보다 지식을 더 잘 전달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등장하고 있고, 어릴때부터 뽀로로나 캐리를 보던 학생들은 이런 방식을 더 선호합니다.
두번째, 교육컨텐츠의 디지털화는 인터넷의 발전과 대형 디스플레이의 등장으로 교실이나 교육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었으나 스마트폰과 클라우드 기술의 발전으로 모든 자료를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고, 즉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선생님 입장에서는 교육자료를 만드는 시간보다는 자료를 학생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큐레이션 할 수 있는 능력이 더 중요해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개별교육이 가능합니다. 동일한 수학시간에 학생들의 수준때문에 평균에 해당하는 내용을 전달한다는 것은 수학을 잘하는 학생이나 못하는 학생 모두에게 나쁜 결과를 가져옵니다. 이보다는 학생 수준에 맞는 개인화된 교육을 진행한다면 수학에 관심이 많은 학생은 좀더 다양한 고민을 할 수 있고, 기본 개념이 부족한 학생은 개념 위주로 공부하게 되어 수학에 좀더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겁니다. 획일화된 목표 중심의 공부보다는 이제는 학생들에게 좀더 관심을 가져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인터넷의 발전으로 교육시스템에도 다양한 IT 시스템이 적용되었고, 기존의 Offline에서 하던 업무들을 Online에서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성적관리, 학습관리, 출석관리, 시험관리, 콘텐츠 관리 등의 기능을 통합하여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 LMS기능 우리한테 많이 알려진 Open Source형 Moodle 외에도 수십여종의 LMS가 존재하고, 학교에서는 LMS 솔루션을 도입하고 커스터마이징을 하거나 직접 개발해서 학사시스템의 한 영역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체 교육관련 내용도 복잡하고 기존의 학사시스템과 데이타나 화면을 공유하기 때문에 관리도 어렵습니다.
반면에 Google 클래스룸도 어떤 의미에서는 LMS라고 부를 수도 있지만, 출석관리, 성적관리, 동영상 시청관리 등 현재 사용하는 시스템이나 요구하는 눈높이와는 현격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LMS로 비교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합니다. 하지만, Google 클래스룸이 가지고 있는 매력을 잘 활용하면 기존 LMS 시스템에서 접근하지 못하는 많은 장점과 매력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일단, Google 클래스룸을 LMS와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고 불필요한 오해 및 편견만 만들어 냅니다. Google 클래스룸을 설명할 때 LMS 라는 표현보다는 Digitial Transformation이 적용된 미래형 학습시스템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보다 정확할지 모르겠습니다.
Google 클래스룸은 e-Learning을 위한 플랫폼으로 기본 환경에서 classroom API를 이용하거나 3rd party App을 이용하면 다양한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기존 학교 시스템과 연계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SaaS) 형태는 관리가 필요없는 강력한 기능과 클라우드 환경 제공(PC, 스마트폰, 다양한 디바이스 지원), 많은 사용자의 경험 축적 등의 장점이 있지만, 개별로 커스터마이징은 불편합니다. 자신만의 학습방법이나 관리 프로세스보다는 글로벌한 환경을 사용하면 빠르게 변화하는 외부환경에 적응하기 쉽습니다.
Google 클래스룸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이기 때문에 이 글을 쓰고 있는 사이에도 통보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Google Workspace 기능 | Google 클래스룸 기능 |
문서/컨텐츠 저장기능 저장된 자료 제목, 본문 검색 기능 문서 수정시 문서버전관리 기능 문서 동시작성 기능 작성된 문서 댓글 기능 캘린더관리 이메일기능 멀티미디어(영상,음악) 스트리밍 제공 스마트폰/패드 지원 | 수업만들기, 학생 초대/참여하기, 교수추가 스트림만들기(공지, 과제, 질문) 과제 제출하기 채점하기, 점수 저장하기 질문 답변하기 질문 만들기 수업 보관하기(아카이빙) 연습 세트 이용(리소스) |
Google 클래스룸을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으로 부르기에는 부족한 점들이 있습니다. 학생 출석관리나 다양한 학생 활동기록 등도 부족하고, 학교의 학사시스템과도 연계가 안되기 때문에 LMS 시스템을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물론 별도의 프로그램을 통해서는 가능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추천하는 방법은 학교의 LMS는 그대로 사용하거나 기능을 축소해서 핵심부분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Google 클래스룸으로 대체하는 것을 권합니다. Google 클래스룸을 대학교에서 사용할 경우, 스토리지, 스트리밍 서버, 모바일 서비스 등 다양한 부분을 대체할 수 있고, 구축 비용과 매년 발생하는 유지보수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Google 클래스룸은 초중고와 대학교 외에도 가정이나 회사에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4차산업혁명 시대에는 평생학습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부족할때는 언제든지 필요한 공부를 해서 사회에서 필요한 기술을 습득해야 합니다. 수명도 길어지고 인구도 줄어드니 이제는 은퇴의 개념도 사라질 듯 합니다.
▶ [동영상] GEG와 함께 하면 Google 클래스룸 어렵지 않아요
Google 클래스룸은 교사와 학생간의 소통을 위한 도구입니다. Google G Suite for Education을 도입했다고 소통이 좋아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새로운 환경을 두려워하는 선생님도 많고 아이들이 PC나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한다고 싫어하는 학부모도 있습니다. Google 클래스룸을 이용하여 학생들이 공부에 재미를 느끼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선생님의 열정이 필요합니다. 열정이나 학생에 대한 관심없이 도구만 도입한다고 절대로 성공하지 못하고 오히려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접근을 권장드립니다.
학교 전체에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Workspace e for Education을 신청하시고 추가가적으로 크롬북과 크룸 기기 관리 솔루션에 대한 도입을 고려해야 합니다.
Google에서는 교육기관과 비영리단체에는 Workspace for Business와 동일한 Workspace for Education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Workspace for Business는 일반회사에서 협업을 위해 17만원/년/인 지불하며 사용하는 제품입니다. 학교에 무료로 제공한다고 해서 결코 허접하고나 기능제한이 있지 않습니다. Workspace for Education 가입방법은 박종필선생님 GoogleG Suite for Education 신청 방법을 참고하세요. 다음은 기업에서 사용하는 Workspace 종류입니다. 자세한 내용이나 세부기능은 Workspace 소개 페이지를 참고하세요
Google Workspace Business | Google Workspace Enterprise | ||||
Business Starter | Business Standard | Business Plus | (Enterprise) Essentials | Enterprise Standard | Enterprise Plus |
$6 user/month | $12 user/month | $18 user/month | $10 user/month | $20 user/month | $30 user/month |
30GB | 2TB | 5TB | Unlimiited | Unlimiited | |
Cloud Search 회의녹화 공유드라이브 | Google Vault Basic DLP | No Gmail | Adv DLP | Appsheet Pro, Cloud Search(외) * | |
100명 | 150명 | 250명 | 250명 | 250명 |
※ 가격은 사용자당 매월
2017년[5]부터 일반계정(id@gmail.com)에서 Google 클래스룸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Education 버전에서도 일반계정 사용을 허용할 수 있습니다. Google 클래스룸의 사용자 액세스 제어를 관리자가 세팅할 수 있습니다. 일반계정에서 Google 클래스룸을 개설하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나타나는데 Google 클래스룸 사용상에는 제약이 없습니다.
※ 중,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학교별 사용보다 근처 학교에서 교과별로 사용을 추천
▶ 한국에서 Workspace for Education을 사용하는 학교 :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 활용 학교
[그림] Google 개인계정(id@gmail.com)로 Google 클래스룸을 개설했을 때 메시지
단, 일반계정과 학교계정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사용목적에 맞게 사용하세요.
구분 | 개인계정(id@gmail.com) | 학교계정(id@school.ac.kr) |
용도 | 개인용 | 학교 교육용 |
비용 | 무료 | 무료 |
저장공간 | 15G → 부족시 저장공간 추가(유료) | 100TB[6] |
그룹스 | 사용 못함 | |
보안 | 개인이 관리 및 별도의 기능 없음 | 관리자에 의한 통합관리 가능 |
권한 | 개인 권한 | 학교 도메인 단위의 권한 통제 |
사용 | 개개인에 의한 사용 | 학생 이름 검색 및 그룹스 사용 |
기타 | 학교 계정 사용으로 별도 유료앱 사용시 할인 혜택 이용 가능 |
Workspace for Education은 협업도구입니다 세부적인 설명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 학교 협업을 위한 Google G Suite for Education(Google 지 스웨트 포 에듀케이션) 플랫폼 설명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은 2021년 2월 리브랜딩되어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 Fundamentals,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 Standard, Teaching and Learning Upgrade,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 Plus 에디션으로 제공됩니다. 자세한 내용을 참고하세요
학교에서 인터넷이나 디지털을 이용하여 수업을 하기 위해서는 PC가 필요하고, 이런 목적에 적합한 PC가 크롬 브라우저 기반의 크롬북입니다. 다양한 장점때문에 미국에서는 이미 60% 이상의 교육시장을 크롬북이 점유하고 있고 다른 기기와의 차이는 점점 벌어지고 있습니다.
[그림] 미국 교육시장에서의 Google, Microsoft, Apple PC의 점유율 (출처 : 뉴욕타임즈)
▶ [동영상] 수원 기독중학교 김재현선생님 크롬북 설명
▶ 국내 크롬북 판매 회사 : 포인투랩(https://poin2.co.kr/)
최근에 포인투랩에서는 새롭게 출시한 크롬북 11C는 요가북 타입(뒤로 젖혀지는 모델)으로 학교에서 활용도가 높습니다. 가격 39만원. 2021년 CES 발표한 다양한 크롬북도 참고하세요.
또한, 요즘에 노트북, 태블릿 등의 구분도 모호해지고 있고, 학교에서는 기존 키보드가 있고 정형화된 형태보다는 다양한 형태의 PC 구매도 권장합니다. 최근에 일부 선도학교의 경우에는 입학하면서 이런 노트북을 구매하도록 안내하는 학교도 많습니다.
수업을 위해서 학생들에게 크롬북을 배포했는데 많은 학교에서 초기에 학생들의 무분별한 오남용으로 걱정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학생들의 크롬북의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크롬 기기 관리 콘솔 라이센스를 구입해서 적용하면 사이트, 시간 등 다양한 내용을 통제할 수 있습니다
크롬기기 관리콘솔은 라이선스를 추가로 구입해서 학교나 기업에서 보유하고 있는 크롬기기를 통제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중앙에서 등록된 모든 크롬기기를 통제할 수 있고 120가지 이상의 통제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학생들이 특정 사이트에 접속을 못하게 하거나, 특정 앱을 설치하지 못하게 할 수 있고, 사용시간이나 접속 방법도 통제할 수 있습니다. 조합할 수 있는 조합은 100가지가 넘습니다.
학교나 기업에 다양한 크롬기기가 있으면 각각의 크롬기기에 대한 스케쥴링도 가능합니다. 학생식당 앞에 위치한 사이니지 광고판에는 크롬빗을 연결하여 동작시키고 점심시간에는 매일 Google 스프레드쉬트와 연동해서 식당 메뉴를 업데이트 할 수 있습니다.
[그림] (좌)교내 사이니지 광고판 앞에서 학교 내용을 확인하는 학생 (우)크롬빗
교장실이나 총장실, 회사 대표이사장실 앞에 있는 사이니지에는 손님이 방문할 경우에는 환영 메시지를 보여줄 수도 있을 것이고, 신입생들을 위해서 학생들이 많이 다니는 로비에서는 3월초에는 학교 홍보 영상을 동작할 수 있습니다.
[그림] (좌) 손님 환영메시지 간판(우) 학교 홍보영상
또한, 참고서적 중 Google 크롬북의 크롬 기기 관리 콘솔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동영상을 확인해보세요.
▶ [동영상] Google Chrome Device Management
1. ▶ 예제. Google Calendar 학습 사이트 : https://support.google.com/a/users/answer/9302892?hl=ko
2. 태어나서 처음 사용하는 온라인 교실 구글 Classroom UI 설명 https://youtu.be/3O6oQrOSGwg
Google 클래스룸은 선생님이나 교수님이 수업을 개설하여 학생을 등록하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을 사용하면 교육기관 및 비영리단체에 한하여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버전은 Google Workspace for Business[8](120달러/년,개인당)에 교육용 App이 추가된 버전입니다.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에 대한 등록방법은 방법은 박종필선생님의 Google Sites를 참고하세요. https://sites.google.com/smart89.com/jppark/g-suite
Google 클래스룸은 선생님과 학생간의 다양한 미션을 수행하며 수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Google 클래스룸의 역할은 관리자, 선생님, 학생이 있습니다.
선생님 | 수업을 개설하여, 학생을 초대하고 같이 수업을 진행할 선생님을 임명할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학생은 제외시킬 수 있습니다. 수업에 관련한 공지사항 및 관련자료를 등록할 수 있고, 학생들에게 과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제출된 과제에 점수를 채점하고 제출된 문서에 댓글이나 글을 수정하여 학생에게 되돌려줍니다. 미 제출자에게는 제출을 독려할 수 있습니다. 퀴즈를 통하여 학생의 이해도를 확인하고 수업이 종료되면 수업을 보관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제출한 문서는 Google 드라이브 해당 폴더에 저장됩니다. Google Cloud Search[9]를 통하여 모든 문서 및 메일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
학생 | 수업에 참여하여 학습 및 과제, 퀴즈를 제출합니다. 질문이 있을 경우 질문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스트림에 자신의 의견을 댓글로 달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나 Google 문서를 이용하여 과제를 작성하고 등록할 수 있습니다. 반환된 과제의 점수 및 선생님의 코멘트를 확인합니다. |
관리자 | 선생님의 역할을 부여할 수 있고(세팅방법에 의해 차이가 있음), 전체 클래스룸의 현황에 대해서 모니터링 및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성된 클래스룸의 갯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Google 클래스룸의 세팅을 조직(OU)별로 변경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사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학교 관리정책(Policy)에 의해서 선생님 및 학생의 이메일 및 문서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한 내용은 Audit됩니다. OU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을 통제할 수 있습니다. → Google Apps Device Policy |
Google 클래스룸의 특징중에 한가지는 한반의 다양한 학생에게 각기 다른 수업진행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이 기능은 공지, 과제, 질문에 대해서 학습 수준에 따라 학생들에게 차별화되어 지정할 수 있고, 과제 및 질문을 부과받은 학생 본인만 알고 다른 학생은 알지 못하기 때문에 개인별로 특화된 교육이 가능합니다.
수업내용에 대해서 이해가 빠른 학생에게는 응용력 있는 수업을 진행하고 이해력이 부족한 학생에게는 기본 과정 중심의 수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Google 클래스룸은 단지 과제를 부여하고 제출하고 점수를 채점하는 단순한 프로세스가 아니고 과제를 학생이 수업의 내용을 확인하는 소통 수단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학생이 작성한 내용 특정 부분에 대해서 댓글을 작성할 수 있고, 잘못된 방향에 대해서는 교사가 직접 작성해서 내용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점수를 부여하고 학생에게 점수에 대해서 함께 이야기 할 수 있고 학생의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YouTube] https://youtu.be/YYM5mnT_boY
Google 클래스룸을 이용하여 교실에서 수업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즉흥적인 사용보다는 체계화된 수업을 계획하여 도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모든 수업내용을 Google 클래스룸을 이용하는 것보다는 부분별로 적용을 하여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관심을 높이면 인터넷 사용에 대한 부작용도 줄이고 컴퓨터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신민철선생님의 수업 지도안입니다.
▶ [링크] Google 클래스룸 활용 사회과 협력학습 대외공개수업 영상 사이트
▶ [동영상] Google 클래스룸 활용 사회과 PBL 협력학습 대외공개수업
→ 수행평가(이하 과정중심평가)는 기본적으로 외국에서 들어왔으니 미국 LMS(클라우드 학습관리시스템) 중심으로 한 예를 적용해 한번 말씀드릴께요. 과정중심평가라는 말은 원래 수행평가(Performance Assessment)를 말함이며 방법전략적 용어로 우리나라 교육부에서 만든 용어임을 먼저 아셔야 합니다. 상당수 다른 거로 알고 계신 분들이 많아 현장에서 가끔 당황스러울 때가 많습니다. (과정중심평가는 평가를 보는 관점으로, 과정중심평가의 방법으로 수행평가가 포함되는 개념입니다.)
평가채점도 현장 수업에서 동시성을 절대적으로 강조하는데 이게 원칙은 아닙니다. 만약 절대평가화 된 지형이라면 과제식으로 나눠 줄 수도 있습니다. LMS같은 시스템이 확보되지도 않고 상대평가인 상태에서 동시성, 객관성, 타당성만을 강조한 나머지 태어난 사생아같은 용어임을 인지하셔야 오해가 없습니다.
즉, 수행평가는 그 시작과 과정, 그리고 결과까지 전과정을 중시해야 합니다. 이런 것들이 부재한 현 상황에서 결과중심평가로 인한 민원까지 차단해야 하다보니 쥐어짠 용어일 뿐이죠.
적용방법을 말씀드리면 먼저 수행평가를 PBL처럼 절차시연식으로 가더라도 Google을 적용하기 전에 Grouping(집단)으로 갈건지, Personalization(개별화)로 갈것인지 최우선으로 정하셔야 합니다.
그다음 CBT(내용중심)이나 TBT(과제중심)으로 갈 것인가 등의 유형을 선택하고, 방법절차적으로 어떻게 수업모형을 전략화 할지 고민하신 다음 TPACK(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이나 SAMR(Substitution & Augmentation, Modification & Redefinition)처럼 ICT접목을 계산하셔야 제대로 굽힌 빵처럼 Google에서 포트폴리오 화 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교사들은 주로 이렇게 수업을 기획합니다. (물론 정답이 될 순 없습니다.)
많은 교사들이 실수를 하시는게 평가요소를 정확히 설계 하지 않고 흥미 재료 위주의 수업적용에 치중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특히 중등샘들은 잘 아시다시피 입시내신관계로 수행평가가 현 상대평가 중심에서 제대로 설계되지 못하면 흥이 나든 안 나든 관계없이 수업적용 자체를 하실 수 없으세요.
수업탐구위주의 수업이 가능한 중학교 자유학기나 절대평가식 수업에 좀 더 무게가 실린 초등이라면 비교적 가 능할 지 모르지만 중2부터 고3까진 평가 절차나 루브릭 집중안하고 수업했다간 바로 민원감이죠.
G Suite Google이라고 이런 전제까지 모두 감당할 수는 없지요. 좋은 재료와 레시피를 갖고 있으면 훌륭한 제빵이 되는데 필요한 첨단 제빵기다 정도로 개념을 잡으시면 큰 무리가 없을 것 같습니다. 이게 LMS이고 필요한 이유가 되겠습니다.
Google 프레젠테이션으로 만든 데모를 통해 빠르게 기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goo.gl/49GpfU
Google 클래스룸은 교사/교수가 수업을 생성하고 학생들을 초대, 등록하여 수업을 진행합니다. 교사는 여러 개의 클래스룸을 만들 수 있고, 학생도 여러개의 수업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초기화면에는 교사와 학생으로 참여하는 수업이 나타납니다.
[그림] classroom.google.com 접속시 관련 수업 리스트
수업이 많을 경우에는 학생으로 참여하는 수업과 교사로 개설한 수업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해당 클래스룸에 사진이 있으면 학생으로 참여하는 수업입니다.
[그림] (좌) 학생으로 참여하는 수업 (우) 교사로 생성한 수업
최초 클래스룸 선택시 학생 또는 교사 역할을 선택합니다.
[그림] 최초 Google 클래스룸 접속시 역할
교사 역할 선택후에 수업이 만들어지지 않는다면 Workspace 관리자에게 ‘클래스룸 선생님’ 그룹스에 추가를 요청하세요.
[그림] 관리자 그룹스의 클래스룸 선생님 그룹스 멤버
교사는 해당 수업을 만들고, 수업을 세팅하여 학생을 초대합니다. 학생에게 과제를 부여하여 학생은 자신의 과제를 수행하고 제출합니다. 제출된 과제에 점수나 의견을 다시 학생에게 전달하고, 점수를 취합하여 최종 성적에 반영합니다. 수업이 종료되면 수업을 보관처리합니다.
[그림] 교사의 Google 클래스룸 전체 프로세스
해당 클래스룸에 접속하면 교사, 학생에 따라 화면을 제공합니다.
번호 | 항목 | 설명 |
① | 스트림 탭 | 수업 탭, 스트림, 수업, 사용자, 성적을 확인 |
② | Meet 링크 | 화상수업을 위하여 Google Meet 링크 생성 및 링크 |
③ | 수업코드 | 학생을 초대하기 위한 고유의 수업코드 |
④ | 마감되는 과제 | 마감일정을 등록한 과제 미제출 리스트 |
⑤ | 공지창 | 학생들에게 공지할 내용을 작성. 스트림에 표시 |
⑥ | 클래스 배경화면 | 해당 클래스의 배경 사진 관리 |
⑦ | 설정 | 해당 클래스의 설정 메뉴 |
수업은 다음 4가지 화면으로 구성이 됩니다. 학생은 성적 메뉴 및 화면을 볼 수 없습니다.
[그림] 클래스별 스트림, 수업, 사용자, 성적 탭 화면
[그림] 캘린더 클릭시 수업별 과제 및 일정을 확인하는 캘린더
학기초가 되면 수강신청을 하거나 수업이 계획됩니다. 수업의 과목명, 담당 교사/교수, 강의실이 배정이 되고, 시간이 결정이 됩니다. 온라인으로 진행을 한다면 수업의 과목과 담당자만 결정되면 시간과 강의실은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다. 물리적인 공간의 제한이나 학생들의 수업 집중도를 위하여 인원과 시간을 제약했으나, 온라인에서는 이런 제약이 필요가 없어집니다. 몇백명의 학생이 참여할 수 있고, 1시간 이상의 분량을 수업할 수도 있습니다.
학기초에 학생과 교사 그룹을 매핑하는 것은 담당 교사/교수/조교가 진행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Google에서는 Classroom API(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를 제공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교의 학사시스템과 연계를 하면 자동으로 매핑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그림[ 학교 수업용 Google 클래스룸 환경 구성
선생님의 역할을 얻은 후에 수업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수업 생성 메뉴가 없다면 Google앱스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Google 클래스룸 초기화면에 를 눌러서 ‘수업만들기’를 선택합니다.
[그림] 교사 수업만들기
각 클래스룸별로 Meet를 디폴트로 사용할 수 있는 링크가 생성되었습니다. 학교 도메인 버전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youtube] https://youtu.be/WtIJuE12kKQ
수업에 관련한 수업이름, 부제, 제목을 등록합니다. 대학교와 같이 많은 수업이 있을 경우에는 학사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코드를 이용하여 수업을 개설하면 관리자에 의한 관리가 쉬워집니다.
수업에 관련한 테마를 선택하거나 관련 사진을 올려서 수업을 꾸밀 수 있습니다. 갤러리에서 선택할 수 있고, 교사의 사진을 등록하여 학생들의 관심을 높일 수도 있습니다.
생성한 수업에 학생을 참여시키는 방법은 학생을 직접초대, 수업코드를 전달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그룹스에 하루 초대할 수 있는 인원이 있습니다. 초대가 다 되지 않으면 내일 추가로 해보세요. 많은 인원은 API를 이용하여 초대해야 합니다. Limit 확인
[youtube] https://youtu.be/IEEQiq6tEV4
사용자(People) 화면에서 ‘선생님 초대’ 메뉴를 통하여 수업을 같이 진행할 교사의 계정을 추가합니다. 일정, 문서를 함께 공유합니다. 문서의 경우 내드라이브에 폴더가 생성됩니다.
각각의 수업에 대한 세팅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해당 수업에서 좌측 상단의 를 클릭 후 하단의 ‘설정’을 선택합니다. 설정에서 변경할 수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내 용 |
프로필 사진 | 수업에서 사용하는 사진을 변경 |
계정 설정 | 비밀번호와 보안 옵션을 변경하고 다른 Google 서비스에 액세스 |
이메일 알림 수신 | 각종 스트림 및 알림에 대한 이메일 수신 여부 설정(초기설정:수신) |
의견 알림 | |
- 게시물 댓글 | 선생님이 등록한 스트림에 댓글 등록시(초기설정:수신) |
- 나를 멘션한 댓글 | 댓글시 ‘+’ 기호로 나를 멘션시(초기설정:수신) |
담당 수업 알림 | |
- 학생이 늦게 제출한 과제 | 학생이 과제를 늦게 제출시(초기설정:미수신) |
- 학생이 다시 제출한 과제 | 돌려준 과제를 다시 제출시(초기설정:미수신) |
- 수업 공동 담당 초대장 | 설명(초기설정:미수신) |
- 예약된 게시물이 게시 되거나 게시되지 않음 | 설명(초기설정:미수신) |
학생은 교사가 학생이메일을 직접 입력하거나 수업시간에 공지된 수업코드를 이용하여 수업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소규모의 학교에서는 교사가 직접 학생의 계정을 입력하거나 학생에게 수업코드를 전달하여 수업에 참여실 수 있고, 대학교와 같이 대규모의 수업에서는 Google 관리자가 학사 시스템과 연계하여 자동으로 수업을 만들고 학생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룹으로 사전에 학생을 등록하여 그룹을 등록함으로서 등록단계를 간소화 할 수 있습니다. → 그룹스 등록
Google 클래스룸에서 사용하는 프로필과 알림에 대한 세팅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해당 수업에서 좌측 상단의 를 클릭 후 하단의 ‘설정’을 선택합니다. 설정에서 변경할 수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내 용 |
프로필 사진 | 수업에서 사용하는 사진을 변경 |
계정 설정 | 비밀번호와 보안 옵션을 변경하고 다른 Google 서비스에 액세스 |
이메일 알림 수신 | 각종 스트림 및 알림에 대한 이메일 수신 여부 설정(초기설정:수신) |
의견 알림 | |
- 게시물 댓글 | 선생님이 등록한 스트림에 댓글 등록시(초기설정:수신) |
- 나를 멘션한 댓글 | 댓글시 ‘+’ 기호로 나를 멘션시(초기설정:수신) |
등록한 수업 알림 | |
- 교사가 게시한 과제 및 기타 게시물 | 교사가 게시한 과제나 기타 공지사항이 있을 경우(초기설정:미수신) |
- 선생님으로부터 반환된 과제 및 점수 | 제출한 과제가 반환되었거나 점수가 채점되었을 경우 (초기설정:미수신) |
- 학생을 위한 수업 참여 초대장 | 새로운 수업에 대한 초대장이 있을 경우(초기설정:미수신) |
- 과제 제출 기한 알림 | 과제 제출 기한이 다가왔을 경우(초기설정:미수신) |
학교 IT 관리자가 생성할 경우에는 학교 학사시스템과 연동하여 개설한 수업에 학생들과 교사를 매핑하여 자동화 할 수 있습니다.
교사는 해당 수업의 학생을 초대, 삭제, 차단, 연락할 수 있고, 해당 수업에서 학생의 활동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구분 | 설명 | 비고 |
수업코드 | 표시 : 학생들에게 크게 표시할때 복사 : 복사해서 이메일 등에 복사 재설정 : 수업 코드 재설정 사용중지 : 해당 수업 사용중지 | |
학생 초대 | 해당 학생의 이름과 이메일로 검색 초대 ※ 관리자 계정에서 전체학생의 아이디 (G suite for Education 이메일 주소) 검색이 가능한 경우, ① 원하는 학년 , 반 등의 학생 아이디를 스프레드 시트에서 복사하여 ② ‘학생초대 ‘ 주소입력 창에 붙여 넣으면, 일괄로 학생들 초대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에게는 메일로 초대가 전송되며, 메일 확인만으로 가입이 가능해 집니다.) | → 학생초대 → 그룹으로 초대 |
학생에게는 ‘반친구’로 표시되며 학생들에게 이메일을 보낼 수 있습니다.
학생의 보호자를 수업에 초대할 수 있습니다. 학생의 과제 및 시험성적을 주기(주별, 월별)로 요약 이메일을 수신할 수 있습니다.
[YouTube] https://youtu.be/g9Gql8wl7pI
Google 클래스룸에서 교사가 차별화된 콘텐츠를 할당하는 것을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학생 그룹을 만들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을 소개합니다. 이 업데이트를 통해 개별 학생을 지루하게 선택할 필요 없이 미리 정의된 학생 그룹에 수업 과제를 빠르게 할당할 수 있습니다.
이제 교사는 학생의 필요에 따라 수업의 하위 섹션에 걸쳐 콘텐츠를 차별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교사는 읽기 수준에 따라 그룹을 만들고 수업이 적응함에 따라 그룹 구성원을 편집하거나 수업 내에서 그룹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그룹 이름과 구성원은 학생에게 표시되지 않고 교사 또는 공동 교사에게만 표시됩니다.
Google 클래스룸에서 제공하는 수업 화면에 대해서 교사와 학생이 약간 다릅니다. 기본적으로 스트림(Stream)이라는 게시물을 이용하여 수업을 진행합니다. 스트림은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의 UI처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이용방법입니다. 처음 사용하는 선생님들은 익숙하지 않지만 학생들은 아주 친숙한 방법입니다.
수업(Classwork) 탭에서 다양한 과제를 만들 수 있습니다.
교사의 화면은 수업전에 공지사항을 등록하고 수업을 진행한 후에는 과제 및 퀴즈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학생이 제출한 과제에 대해서 채점을 하여 학생에게 돌려줄 수 있습니다.
① 메뉴
② 스트림/쉅/사용자 확인
③ 수업 정보
④ 테마변경
⑤ 예정 과제
⑥ 공지사항
⑦ 과제
학생은 교사가 진행하는 수업에 대하여 공지사항을 확인하고 과제 및 퀴즈를 제출합니다. 제출한 자신의 과제에 대해서 점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궁금한 점에 대해서는 질문 및 댓글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① 메뉴
② 수업 정보 확인
③ 수업 정보
④ 예정 과제
⑤ 수업 주제
⑥ 스트림
⑦ 질문
구분 | 설명 |
과제 | 학생들이 수행할 과제 만들기 1. 학생들에게 과제를 부여 2. 학생별로 등록 3. 과제 마감일 등록 → 캘린더 연동 |
퀴즈 과제 | 퀴즈 형태의 과제 점수 가져오기시 설문지의 점수가 과제의 점수로 자동 입력됨 |
질문 | 학생들이 답변할 질문 만들기 1. 학생별로 질문 만들기 2. 질문 답변 마감일 등록 → 캘린더 연동 |
자료 | 수업에 사용할 자료를 등록 Google 드라이브, YouTube 등 다양한 자료 |
게시물 재사용 | 이미 만든 게시물을 재사용(다른 수업포함) 1. 공지, 과제, 퀴즈를 사본으로 별도 등록 |
주제추가 | 수업을 분류할 수 있는 기준 주제별, 1주~15주차 |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 정보는 ‘학생’ 메뉴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8.02 업데이트 된 내용이 적용되어 개별 학생의 정보도 확인하는 내용이 추가되었습니다. 기존에는 과제 중심으로 학생의 활동을 확인했는데 이 메뉴를 통해서 학생중심으로 과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업에 관련한 내용에 대해서 공지 스트림을 등록합니다. 첨부문서, Google문서, YouTube, 링크 등 수업에 관련한 내용에 대해서 공지 스트림을 등록합니다. 첨부문서, Google문서, YouTube, 링크 등 다양한 컨텐츠를 등록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습니다. 동영상의 경우에는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해서 학생들이 별도의 다운로드 없이 스트리밍으로 스마트폰에서 시청할 수 있습니다. → 동영상 Google 드라이브 스트리밍 이용하기
[youtube] 구글 클래스룸에서 재미있는 이미지로 공지사항 만들기
2018년 8월 이전에는 스트림(Stream)에서 추가했는데 수업 페이지로 분리가 되었습니다. 수업에 관련된 과제 중심으로 스트림과 분리가 되어 변경이 되었습니다. 수업 페이지를 통하여 토픽에 맞게 과제를 그룹핑할 수 있고, 순서를 변경할 수 있으며 커리큐럼에 맞게 재조정할 수 있습니다.
[그림] 수업개념 소개(좌:교사, 우:학생)
교사는 수업 메뉴에서 과제, 질문을 만들 수 있고, 만든 게시물을 다른 수업에서 재사용할 수 있고, 주제별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학생은 상단의 수업 탭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수업 과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수업의 공지사항 및 전달내용은 스트림 페이지에서 교사가 게시물을 작성해서 전달합니다. 또한, 관련콘텐츠를 등록하고 텍스트를 꾸며서 정보전달이 잘 될 수 있도록 합니다.
수업 과제 페이지의 자료: 교사는 수업 과제 페이지에 자료를 추가합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다양한 동영상자료나 문서 등 다양한 디지털 자료를 등록할 수 있고, 학생들이 질문할 내용에 대해서 미리 콘텐츠를 만들어서 등록할 수 있습니다.
해당 수업의 학생들에게 과제 작성을 요청합니다. 학생을 선택할 수 있고, 마감일, 주제를 정할 수 있습니다. 필요시에는 과제 작성에 참고될 수 있는 문서를 첨부할 수 있습니다. → Google 클래스룸 과제 프로세스
마감일 이후 제출을 비활성화하는 새로운 옵션을 통해 교사들은 마감일이 지난 과제에 대한 제출을 중단할 수 있습니다.
새 과제를 작성할 때 교사는 엄격한 마감일을 요구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과제 도구는 마감일 이후에도 제출을 허용합니다.
이 기능은 또한 교사들이 엄격함이나 기한의 유무에 관계없이 언제든지 과제 제출을 중단하도록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교사는 학기나 학년 동안 과제 제출을 허용할 수 있지만 기간이 완료되면 제출을 끌 수 있습니다.
교사가 수업에 대한 간단한 질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이해도를 확인하고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복잡한 내용보다는 간단한 내용을 질문하고 답변도 단답형 또는 객관식으로 답변하게 합니다. 학생선택, 마감일, 주제를 설정할 수 있고, 학생들이 답글을 달거나 학생 답을 수정여부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학생에게 사용될 경우에는 학생도 스트림을 만들 수 있고 이 스트림은 학생들간의 의사소통이나 질문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 작성했거나 다른 수업에서 사용한 스트림을 재사용하는 기능입니다. 해당 수업을 누르면 등록한 스트림이 나타납니다. 선택하면 해당 수업에 나타납니다.
이 기능은 학생별 수준에 맞춰서 수업을 진행할 경우에 과제를 만들어 놓고 진도에 따라 학생들에게 과제를 전달할 경우에 사용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 개인화기능
[youtube] https://youtu.be/Ls22o7fJu3o
수업별로 과제를 예약하여 미리 등록할 수 있습니다. 교사가 여러 교실에서 수업을 진행할 경우에 해당 과제를 수업에 맞게 사전에 예약할 수 있습니다.
망고 [youtube] https://youtu.be/7BkdX2wM5V0
스트림이 보이기 원하는 학생들과 선택 → 학생 수준에 맞는 개인화기능
과제 및 퀴즈에 대해서 ‘마감일 및 시간’을 지정하면 학생 캘린더에 연동이 되어 학생 캘린더에서 해당 스트림을 확인가능 → 캘린더 연동
스트림에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Google 드라이브 파일, Google문서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내 드라이브, 팀드라이브 모두 가능하며 권한이 있는 문서에 한하여 등록할 수 있습니다.
수업활동의 검색 및 이해 편의를 위하여 교사는 주제를 만들어서 스트림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주제를 만들 수도 있고, 기존의 주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주제는 수업 좌측 주제 목록에서 이름변경 및 삭제할 수 있습니다.
주제는 ‘주차로 만들어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주차별로 사전에 수업자료를 임시저장후에 해당 주차에서 사용하는 방법도 많이 사용합니다.
[YouTube] https://youtu.be/r5X_EcgvTKo
학생이 부과된 과제에 대해서 별도로 작성된 파일을 등록하던가 Google문서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Google 문서로 작성할 경우에는 과제를 제출시 권한이 교사한테 부여되어 교사가 해당 문서에 커맨트(의견)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폰에서도 조회할 수 있고, 클라우드인 자신의 Google 드라이브에 저장되기 때문에 관리 및 분실의 위험이 적습니다.
과제상태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댓글로 교수한테 과제에 대한 질문을 할 수 있으며, 비공개를 원할 경우에는 비공개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Google 문서를 이용하여 작성이 완료되면 ‘완료로 표시’를 클릭하면 해당 과제를 완료로 표시하며 교사한테 Google 문서가 전달됩니다.
Google 문서에서 작성하고 ‘제출’을 눌러도 아래와 같이 화면으로 과제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
[youtube] https://youtu.be/qG6iBzx18OI
학생이 과제를 제출하면 해당 과제에 대해서 교사는 점수를 부여합니다. 이렇게 부여한 점수는 Google 스프레드시트나 CSV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점수는 100점 만점의 점수를 추가할 수 있고, 미채점할 수 있습니다. 미채점으로 변경시에는 이미 채점 점수를 받은 학생에게 메세지가 전송됩니다.
과제를 학생에게 반환하여 추가로 작성하게 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환경이기 때문에 방법도 간편하고 학생에게 바로 알림을 보낼 수 있습니다.
학생이 제출한 과제에는 교사의 커멘트를 입력하여 과제 제출의 의견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코멘트는 ‘의견 모음’에서 템플릿화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학생수가 많을 경우에는 효과적입니다.
[youtube] https://youtu.be/K8TAKI9KMrE
특정 과제를 면제하여 해당 과제가 학생 전체 성적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합니다.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수업에서는 과제가 더 많아집니다. 내 수업에서 놓친 부분이나 처리해야 할 부분을 리뷰할 수 있습니다.
[그림] Google 클래스룸의 전체 수업 리뷰
[youtube] https://youtu.be/KAL-9RmdxTk
학생은 게시물 작성을 통하여 교사에게 질문을 하거나 수업을 듣는 학생들과 소통할 수 있습니다.
과제 스트림 등록시 마감일과 시간을 등록하면 해당 수업에 참가하는 학생들 일정에 해당 과제일정이 등록이 됩니다.
캘린더 형태에서는 좌측의 해당 수업 캘린더를 선택 또는 해제할 수 있고, 해당 캘린더 일정을 선택하면 세부내용 및 수업 스트림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교사가 과제를 내면 학생은 과제를 제출합니다. 과제는 HWP이나 MS 워드로 작성하여 업로드할 수도 있지만 간단하게 Google문서로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크롬북으로 작성시에는 Google문서를 이용하여 과제를 작성하여 제출합니다.
Google 문서를 이용하여 학생이 과제를 제출시에는 해당 문서의 소유권이 변경되어 제출한 문서에 대해서는 수정할 수 없게 합니다. → Google 클래스룸 과제 제출시 소유권 변경
교사는 학생들이 제출한 과제 및 퀴즈에 대해서 점수처리를 위하여 스프레드시트나 CSV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Google 스프레드시트로 복사하면 다음과 같은 형태로 정리할 수 있고, 그래프 및 통계처리가 간편합니다.
검토 및 채점이 끝난 과제는 학생에게 다시 돌려줍니다. 과제를 돌려주면 문서의 권한이 변경되고 학생은 점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과제 문서 권한 변경 프로세스
학생은 과제 스트림에 들어가서 자신의 점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과제를 다시 제출할 수 있습니다. 과제를 다시 제출해서 교사가 점수를 수정하면 해당 점수가 변경됩니다.
교사는 각 과제 및 퀴즈에 대한 학생의 제출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제출한 학생에 대해서는 이메일로 과제제출을 독촉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제출한 과제 전체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으로 ‘성적’ 메뉴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학생 성적을 다른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운로드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Google 스프레드시트에 저장하면 다양한 성적 분석이 가능합니다.
[youtube] https://youtu.be/MxeBqDxPJoA
학생이름으로 정렬을 통하여 쉽게 학생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YouTube] https://youtu.be/oRYzwvMdg98
원본성보고서(Originality Report)는 표절(plagiarism)을 단속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현재는 영어에서만 제공하고 과제를 부과할 때 교사가 선택하여 활성화합니다. 중간에 수정에서도 활성화시킬 수 있습니다.
학생이 제출한 과제에 대해서 원본성 검사를 통하여 표절의 정도와 표절 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Google 문서 중 Docs, Slide에 대해서 검사를 지원합니다.
Workspace for Education의 경우에는 수업당 5개의 과제에 대해서만 원본성 검사를 할 수있습니다. 또한, 한건의 문서에 대해서 3번까지 검사가 가능합니다. 더 많은 검사를 원할 경우에는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 Plus을 사용하세요
▶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 Plus
[YouTube] https://youtu.be/TFPtryqWhKY
출력기능
[youtube] https://youtu.be/cmrWsLb2EwQ
Google 클래스룸 전체의 세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프로필 사진변경과 전체 수업의 알림을 설정합니다.
수업 세부정보, 수업코드, 스트림 관련 세팅, 스트림의 수업 과제 알림, 삭제된 항목 표시, 성적기록, 성적 카테고리 등 수업 별 세팅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구분 | 설명 | 비고 |
수업 세부정보 | 수업 이름, 수업설명, 강의실, 제목 등을 관리 | |
일반 |
| |
성적기록 | 전체 성적 계산 학생에게 전체 성적 표시 | |
성적 카테고리 | 성적 표시 내용 및 점수 기준 |
우리나라하고는 약간 개념이 안맞는 기능입니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중에서 열심히 손들어서 발표하는 학생말고 랜덤으로 학생을 지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공정하게 기회를 준다는 개념인데 필요할 때 사용하면 되겠죠.
[동영상] https://youtu.be/3AaQU3Tsx-s
교사의 ‘정보’ 메뉴에서는 Google G Suite과 연동하는 1. 수업 드라이브 폴더 2. Google 클래스룸 캘린더 3. 캘린더와 연동되어 클릭만으로 해당 폴더위치나 캘린더로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학생의 ‘정보’에서는 Google G Suite과 연동하는 1. 수업 드라이브 폴더 2. Google 클래스룸 캘린더 3. 캘린더와 연동되어 클릭만으로 해당 폴더위치나 캘린더로 바로 이동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해당 수업의 ‘내과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과제’를 선택하면 해당 수업의 과제 제출 및 처리 현황을 알 수 있고, 과제별 점수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oogle 클래스룸 초기화면에서 해당 수업의 메뉴(더메점)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이 ‘보관처리’’ 메뉴가 나타납니다. 수업보관은 향후 수업내용에 대한 참고시에도 도움이 되고 학생 추천서 작성시에도 과거의 학습내용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그림] Google 클래스룸 초기화면에서 수업관리 더메점
수업을 보관처리하면 모든 내용은 아카이빙되어 수업내용은 조회만 가능합니다. 단, Google 드라이브의 문서는 수정할 수 있습니다. 복원하면 해당 수업을 교사와 학생이 다시 활용할 수 있습니다.
[youtube] https://youtu.be/q7Mh89kimlQ
자주 반복적으로 사용하거나 같은 학년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수업은 함께 만들고 복사해서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복사하는 수업이 많을 경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만들어지면 이메일로 알려주기 때문에 기다릴 필요는 없습니다.
수업복사시 좋은 점은 수업 세팅 해놓은 정보가 함께 복사된다는 것입니다.
복사되는 항목 | 복사되지 않는 항목 |
|
|
,
[YouTube] https://youtu.be/_GonC-xKw8k
Google 클래스룸의 주제는 수업에 필요한 과제, 질문, 자료 등을 분류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분류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사가 있어서 소개합니다.
많이 사용하는 주제는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아래쪽도 가능하겠죠.
대학교 같은 경우에는 주단위로 과제나 자료를 정리하면 좋습니다.
숙제, 프로젝트, 시험 등 과제 성격에 따라 분류하면 학생들도 쉽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와 같이 선생님이 여러과목을 지도하는 경우에 좋습니다.
교사가 매일 조정을 해야해서 좀 번거로울 수 있지만, 학생 입장에서는 한 눈에 딱 들어오겠죠. 오늘의 과제~
스마트폰에서도 웹에서동일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폰의 Google Play 스토어에서 Google 클래스룸을 검색하여 설치하면 모바일앱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① Google Play 스토어에서 “Classroom”을 검색합니다.
② “Google Classroom”을 선택합니다.
③ “설치”를 실행해서 Classroom을 설치합니다.
아래와 같이 웹에서 사용하는것가 같은 기능을 모바일앱에서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 계정으로 Google 클래스룸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GADP(Google Apps Device Policy) App을 설치를 요구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Google Help를 참고하세요
https://support.google.com/a/users/answer/190930?hl=ko
사용해제를 원할 경우에는 관리자 > 기기관리 > 모바일 관리 에서 해당조직의 휴대기기 관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합니다.
※ 교사에게 관리자 권한이 없을 경우에는 Google관리자에게 요청하세요. 전산실이나 IT 부서 담당자가 아닌, Google G Suite Admin 권한을 가진 선생님입니다.
교육자들은 일반적으로 연습세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교육자들은 새롭고 기존의 콘텐츠를 매력적이고 상호적인 과제로 변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자동 성적처리 기능이 내장되어 있으면, 교사들은 성과에 대한 통찰력과 스냅샷을 학생들의 진도로 받을 수 있고, 학생들은 연습 세트를 완성하면서 실시간 피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연습 세트에서는 교사가 문제에 대한 기술을 선택하면 학생을 위한 리소스가 활성화됩니다. 학생들은 해당 문제 옆에 전구가 보이고 "추가 도움"을 위한 리소스 트레이가 나타납니다.
이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우리는 선생님들이 연습 세트의 학생들을 위한 자원을 더 많이 통제할 수 있는 최신 정보를 발표하게 되어 기쁩니다. 특히, 선생님들은 이제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
교육자는 동영상 전체에 학생이 답변할 수 있는 질문을 추가하여 모든 YouTube 동영상을 대화형 수업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대화형 질문 기능은 수동적인 시청 환경을 참여형 환경으로 바꾸고, 학생들이 자신의 속도에 맞춰 실수를 하고 오답을 복습하고 정답을 평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주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입니다.
한 학급의 학생이 비디오 활동을 완료하면 교사는 학생 참여도에 따른 주요 인사이트가 담긴 대시보드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Google 클래스룸 YouTube 동영상 대화형 질문
Google 클래스 룸의 YouTube 동영상에 대한 대화형 질문 소개
대화형 YouTube 동영상 과제는 학생에게도 유익하지만, 교육자가 더 많은 수업 시간이 필요한 개념을 파악하고, 추가 지원이 필요한 학생을 발견하고, 향후 수업 계획을 세우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학생이 비디오 활동의 특정 질문 유형에 답할 때 실시간으로 확인을 받을 수 있으므로 교육자는 개별화된 지원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이제 교실 왼쪽 탐색의 ‘리소스’ 탭을 사용하여 모든 비디오 활동과 연습 세트를 찾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 대화형 문제 기능을 사용하려면 관리자가 교육자를 위한 추가 서비스로서 YouTube를 켜야 합니다. 이 설정은 관리자 콘솔에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교육자 최종 사용자: 관리자가 활성화한 경우 YouTube 동영상에 대한 대화형 문제를 생성 또는 삭제하고 YouTube 동영상에 대한 대화형 문제를 채점 및 추적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Google 설문지로 만든 퀴즈를 재사용하여 연습세트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설문지 퀴즈로 수업에 필요한 문제은행을 만들고 선생님들이 공유하여 손쉽게 연습세트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Google 클래스룸 연습세트에서 구글 설문지 가져와서 재사용하기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의 Google Meet를 기본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캘린더를 이용하여 화상수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Google Meet는 화상회의를 위한 서비스입니다.
Google 클래스룸에서 화상수업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2가지 방법을 이용합니다.
[youtube] https://youtu.be/WtIJuE12kKQ
최근, 학생들이 수업 전후에 Google Meet에서 도료 학생들을 괴롭힌 사건이 있어서 교사가 입장하기 전에는 학생이 대기실에 머무르고, 교사가 입장한 다음에 화상수업방에 들어올 수 있습니다.
Mango [youtube] https://youtu.be/WFM4dQFyhfQ
저작권이 있거나 학생에게 전달하고 싶지 않은 영상일 경우에는 Google 드라이브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하면 수업시청만을 하고 다운로드 등의 소유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Google 드라이브에서는 유튜브의 스트리밍 기능을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Google 드라이브에 등록한 동영상은 렌더링을 거쳐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되면, 권한에 따라 다운로드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PC 및 스마트폰에서도 동일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Google 드라이브에 영상을 등록하고 이용할 경우에는 다음 학교 시스템을 절약 또는 대체할 수 있습니다.
학생이 제출한 과제에 성적을 주고 반환을 했는데 실수로 과제를 삭제한 경우에는 해당 과제를 복사해서 원본을 소유해야 합니다.
[youtube] https://youtu.be/jl18E23L4aw
Google 클래스룸에서 작성한 문서는 교사, 학생 모두 ‘내 드라이브 > 클래스룸’이라는 폴더 해당 수업명 폴더에 저장됩니다.
작성한 문서는 과제 프로세스에 따라서 문서 소유자[12]가 변경됩니다. 또한, 교사가 돌려주기를 하면 해당 문서의 소유자는 다시 작성자에게 돌아오며 교사에게는 문서를 공유한 상태가 됩니다. → 과제 권한 프로세스
Google 드라이브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youtube] https://youtu.be/a7D5tH9NL08
▶ 소개영상 : https://youtu.be/JqZwERp-EOI, https://youtu.be/JqZwERp-EOI
과제(https://assignments.google.com/)는 Google 클래스룸을 사용하지 않고 학생들과 강의자료를 공유하고 학생들에게 과제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학생 제출물에 대한 기준표를 만들고 원본성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별도로 학생을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원하는 학생은 편리하게 강의를 들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강사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그림] 교사가 과제를 만들고 강의 등록
[YouTube] https://youtu.be/3PSKW5iH_z4
학생을 몇개의 그룹으로 묶어서 프로젝트형 수업을 진행할 경우에 조장을 통하여 과제를 배분하고 제출받을 때 팀장이 문서 소유권이 있어야 합니다. 팀장이 문서를 생성한 이후에 조원들에게 권한을 전달해야 과제제출이 가능합니다.
[그림] 과제 제출시 소유권이 없을 때 오류
[YouTube] https://youtu.be/5JzMC_nR6pk
팀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팀장에게만 수업과제를 배분하고 팀장이 제출해서 점수를 평가하고 해당 점수는 해당 팀원들에게 부여합니다. 해당 팀원전체에게 부여할 때는 프로젝트 소감등을 작성하게 한 후에 조별로 점수를 부여하면 관리하기도 쉽습니다.
Google Workspace는 100% 클라우드로 작업하는 환경이고 작성된 파일은 모두 클라우드에 저장됩니다. 따라서, Google 드라이브에 저장되는 문서는 문서를 생성한 사람이 소유권을 가지게 됩니다. 문서의 소유권을 가진 사람은 해당 문서에 대해서 다음이 가능합니다.
학생이 작성한 과제를 교사에게 제출 및 교사가 돌려주기를 했을 경우의 소유권을 다음과 같이 변경됩니다. 학생이 과제를 제출후에 수정하는 것을 제한하려는 이유입니다. 당연히, 선생님이 학생한테 돌려주면 수정권한이 다시 생깁니다. 학생에게 다시 수정을 요청할 경우에는 과제를 돌려줘야 합니다.
기존의 전통적인 지식 전달형 교육보다는 학생들이 스스로 길을 찾아나가는 형태의 교육형태로 진행을 하면서 Google 클래스룸을 보조 수업공간으로 활용하면 좋습니다. 다음과 같은 형태의 수업진행에 Google 클래스룸을 사용하면 효과적입니다.
학생들의 학부모의 참여를 위해서는 학생 학부모에게도 계정을 발급하고 학부모들과도 소통을 할 수 있습니다. 직접적인 수업 참여보다는 문서 및 과제를 공유하여 간접적인 지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YouTube] https://youtu.be/08LdIchivUk
대학교나 학교 전체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구성원이 Google 클래스룸의 효과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협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한번에 모두 적용하는 On-Shot 도입전략보다는 단계적으로 확산해 가는 방법이 변화관리 및 반대자의 대응이 용이합니다.
Google 클래스룸은 학생 계정단위로 수업 및 관리는 좋은 반면에 팀 프로젝트와 같이 여러명의 학생이 함께 수행하고 문서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지원하기 어렵습니다. 오히려 Google의 Workspace은 협업 도구로 팀 프로젝트와 같이 여러명의 학생이 참여해서 프로젝트를 수행하기에 좋은 환경입니다. 교사가 팀 프로젝트를 수행시 간단한 방법으로 학생들의 프로젝트 진행내용을 확인하고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담당교사는 공유할 문서를 생성합니다. 생성한 문서의 간단한 템플릿을 적용하면 학생들이 작성하기가 더 용이해 질 수 있습니다. 교사가 문서를 생성했기 때문에 당연히 소유권은 학생이 아닌 교사가 가져갑니다. 각 문서별로 학생들에게 문서공유를 할 수도 있겠지만, Google 그룹스에 미리 학생을 매핑하고 그 그룹스에만 편집권한을 주면 간편하게 매핑을 할 수 있습니다. 공유된 문서에 학생들이 프로젝트를 수행하면 공동 편집자인 교사는 중간중간에 학생들이 작성하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적절한 피드백을 할 수 있습니다.
교사가 문서를 생성할때에는 문서의 목적에 어울리는 종류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Google 문서[13] | Google 프레젠테이션[14] |
|
|
Google 문서와 Google 프레젠테이션에는 각각의 용도에 필요한 기능들이 있기 때문에 사용 목적에 맞는 문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통된 문서를 사용할 경우에는 템플릿을 하나 등록해서 공통으로 사용하면 좋습니다.
[그림] Google 문서에서 템플릿 선택하기
문서 템플릿을 선택했으면 문서를 작성한 학생들과 공유합니다. 한명 한명 학생들을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습니다.
[그림] 문서 공유 세팅을 하기 위하여 학생이름 검색
반복되고 복잡할 경우에는 팀장에게만 수정권한을 주고 나머지 팀원은 팀장이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더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Google Groups(https://groups.google.com)를 이용하여 관리자나 교사가 직접 그룹스를 미리 생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생성된 그룹스 이름을 사용자 입력란에 등록하면 해당 그룹스에 속한 학생들에게 자동으로 수정권한이 부여됩니다.
[그림] (좌)그룹스를 이용한 문서 수정 권한 부여 (우)cr_test_group 멤버 확인
문서 권한이 부여되면 해당 학생에게 이메일 안내가 전송되고 Google 드라이브 ‘공유문서함’에 해당 문서가 공유됩니다.
Google 그룹스는 Google Workspace에서 사용자들을 그룹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능으로 Workspace 전체에서 사용되는 기능입니다. 단, 개인버전(id@gmail.com)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문서, 클래스룸, 컨텐츠, 사이트 등 학교 내부에서도 보안이 필요할 때 해당 사용자에게만 전달하고 사용할 때 편리합니다. 대학교와 같이 학생수가 많을 경우에는 학사 시스템과 연계하여 자동으로 그룹스를 관리하면 교수님이나 담당자가 편리합니다.
Google 그룹스는 관리자 세팅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누구나 생성할 수 있습니다. URL을 직접 입력하거나 우측 바둑판 모양의 메뉴를 선택하여 이동할 수 있습니다.
[그림] Google Groups 페이지(https://groups.google.com)
그룹은 원하는 형태로 만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다음 사항을 확인하세요
구분 | 내용 | 설명 |
그룹 유형 |
※세부적인 내용은 도움말 참고하세요 | |
기본권한 | 주제보기, 게시 사용자 선택 | 해당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권한 세팅 |
그룹참여 | 그룹 이름이 공개되기 때문에 참여할 수 있는 사용자 제한 | |
사용자등록 | 회원 > 바로 회원 추가 |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여 원하는 사용자만 바로 입력해서 사용자 등록 |
그룹스 이름에 마우스 포인트를 올리면 해당 그룹스에 포함된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그룹스 매뉴얼 : https://goo.gl/w5hZw2
Google 그룹스는 많은 사용자를 그룹으로 만들어서 Google의 다양한 서비스(이메일, 드라이브, 문서, 캘린더, 포토, 사이트도구, Google 클래스룸 등)에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특정 학과나 팀을 그룹스에서 그룹(team@company.com)으로 묶은 후에 팀 드라이브를 만들고 해당 그룹에 권한을 준다면 개인별로 권한을 부여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한꺼번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 물론 개인의 상태가 변경되면 관리자는 그룹의 멤버를 조정해 주는 업무는 추가가 되겠죠. 그룹정보가 현행화 되지 않으면 소용이 없을 겁니다.
그룹스는 학교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학생이 50명이면 클래스룸의 과목마다 50명을 일일이 초대하는 방법이 아닌 사전에 그룹스에서 한번만 추가하면 클래스룸의 과목에 해당 그룹스만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룹스를 만들고 바로 등록을 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나타납니다.
이 오류의 이유는 그룹스 세팅중 멤버간의 액세스 권한의 부족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액세스 권한을 그룹의 모든회원과 모든 조직회원을 추가해줍니다.
속성 변경후 동일한 오류가 발생한다면 잠시 후에 다시 시도하거나 세팅을 다시 적용하면 됩니다. 바로 적용이 안되는 현상이 있습니다.
학교에서는 학기 초기에 Workspace 관리자가 학생을 그룹으로 묶은 후에 선생님들에게 해당 정보를 공유하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정보도 선생님 그룹에게 권한을 주면 편리합니다.
1. Google API 이용
가장 좋은 방법은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물론 가능하다는 조건으로요. Google 클래스룸에 대한 다양한 API를 제공하고 있고, Java, Go, .Net, PHP, Python, Node.js 등 버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Google Classroom API : https://developers.google.com/classroom/
선생님/학생 추가는 다음 URL을 참고하세요
https://developers.google.com/classroom/guides/manage-users
2. Google Groups 이용
Workspace 담당하는 선생님이 학생들을 반별로 또는 수업별로 Groups를 생성하고 그룹스 이름을 선생님들에게 공지하고 수업을 진행하는 선생님이 Groups명을 클래스룸에 입력하면 간단합니다. 하지만 약간의 Bug가 있으니 테스트하고 진행하세요.
▶ Google 클래스룸 그룹으로 학생초대시 오류 해결 방법
3. 수업시간에 수업코드 공개
클래스룸별로 공유의 수업코드를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공유합니다. 이렇게 하면 등록을 안하는 학생도 있고 등록을 하지 말아야 하는 학생이 등록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에는 해당 클래스룸의 선생님이 확인해서 관리합니다.
4. 학생 직접 등록
가장 시간이 많이 방법이지만 가장 정확하고 관리하기 쉬운 방법은 직접 학생을 등록하는 방법입니다. 학생수가 작거나 한번만 등록해도 가능하면 이용하세요.
GEG 2019 행사중에서 박준형선생님의 Google 어스와 게이미피케이션 중 협업을 통한 Google 활동내용입니다. 625 참전국에 대하여 해당 국가 온라인 대사관에 방문하여 감사의 인사를 하는 협업 프로젝트로 해당 설문지에 내용으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학생들의 수업 흥미 유발 및 다양한 활동을 위한 재미있는 도구 및 서비스를 소개합니다. 선생님들의 소개 부탁드립니다.
Google 클래스룸의 퀴즈 기능보다 보다 다이나믹하고 실시간 학생들이 참여를 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상품을 걸면 성인들도 아주 재미있어 합니다. 전세계 모든 교사와 학생이 좋아합니다.
▶ Kahoot 퀴즈 공유기능 Question Bank
[youtube] https://youtu.be/2FGkWg5kZYw
수업일정을 공개일정으로 만들어 학부모와 공유하면 수업내용을 일일이 공지하지 않아도 학부모 캘린더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Google 캘린더의 Rich Text(다양한 입력)을 이용하면 공지사항, 양식, 문서 등을 전달할 수 있고, 학교 행사 참석여부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유우종선생님 유튜브를 참고하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ycYlfEUVXSI&feature=share
학생 및 학부모 등 다양한 사람에게 의견을 수렴할 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설문도구입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이용가능하고 제작이 간편합니다. 별도의 정리 작업이 필요없고 Google 스프레드시트로 결과를 정리할 수 있고, 필요한 그래프도 자동으로 생성이 됩니다.
▶ Google 설문지 매뉴얼 : https://goo.gl/2YstL2
추가된 기능으로 설문지를 퀴즈로 만드는 기능은 설정에서 퀴즈탭을 통해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 Google 설문지를 이용한 퀴즈 기능을 제공하면서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동 답변 기능을 제시합니다. AI가 문제를 이해하고 정답과 함께 적절한 기타 답들을 제공하는 형태입니다. 선생님 입장에서는 정답 및 오답을 만드는 수고를 줄일 수 있습니다. 현재는 영문 위주이고 답변할 수 있는 내용도 한정적이지만 앞으로 더 많은 학습을 통하여 성능이 향상될 것을 기대합니다.
[youtube] https://youtu.be/XPxPcdc5WmI
Google Arts and Culture는 Amit Sood라는 Google러는 미술관이나 박물관에 가지 않고 온라인 상에서 이를 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상상한 내용을 실제 프로젝트로 수행해서 만든 결과물입니다. 2011년에 설립하여 그 결과 70개국의 1,500개 전세계 문화기관과 파트너쉽을 맺고, 2,000여개 온라인 전시, 7백만개가 넘는 기관에서 가지고 있는 예술작품, 동영상, 전시, 문화공간, 아카이빙 자료를 현재는 온라인으로 볼 수 있도록 제공하여 누구나 감상할 수 있게하고 온라인에서 보존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문화유적지, 실제 미술관의 전시된 스트리트 뷰도 1,800개 이상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재미있는 주제를 가지고 학생들이 예술작품을 직접 확인할 수 있고, 확대를 해서 붓의 터치나 재질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박물관을 마치 직접 방문한 것 같이 방의 구조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설명서 : https://goo.gl/NbJn7a
학생이 혼자 공부를 하다가 모르는 부분을 글이나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보고 있던 내용을 동영상으로 만들어서 교사에게 물어보는 것이 가장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입니다. 이럴 경우에는 별도의 화면 녹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대신에 간단하게 Google 크롬의 확장프로그램을 사용하면 간편하게 녹화할 수 있습니다. Google 웹스토어[15]에서 ‘Screencastify’를 검색합니다. ‘Chrome에 추가’를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설치 후 실행시 카메라, 마이크 허용, 계정 선택 및 이용자 확인등을 거친 후에 다음과 같이 저장방법을 Google 드라이브로 선택합니다.
우측 상단의 Screecastify 단축키를 눌러 녹화화면을 나타나게 한 후에 ‘Record desktop’을 클릭하여 녹화를 합니다. 이렇게 녹화가 된 파일은 Google 드라이브 > 내 드라이브 > Screencastify 폴더에 저장이 되고 Google 드라이브의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크롬 브라우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링크를 교사나 타인에게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에서도 해당 동영상을 별도의 앱 설치없이 바로 볼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참여해서 OX 퀴즈를 통해서 수업내용을 복습 할 수 있는 생존형 게임입니다. 운동회에서만 하던 게임을 수업시간에 활용해보세요
해당 페이지 : http://sciencelevelup.kofac.re.kr/hightechRoom/list?course_cd=HR001
[출처 : 조기성선생님 페이스북]
<주의!>선생님 PC와 아이들의 휴대폰/태블릿PC는 같은 와이파이에 연결 필수!!
수업에서는 학생들과 수업을 하면서 칠판을 사용합니다. 아니면 보조적으로 화이트보드를 사용할 수 있죠. 그럼 인터넷에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인터넷 화이트보드 Padlet(https://padlet.com)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Padlet Tour
▶ [동영상] Introduction to Padlet
배치 형태에 따라 벽, 캔버스, 스트림, 격자, 선반 형태의 padlet을 공백에서 시작할 수 있고, 제공하는 템플릿에서 시작할 수도 있습니다.
[그림] padlet 시작하기 위한 패들렛 만들기
Padlet의 장점은 1. 로그인이 필요없다 2. 실시간으로 공유와 확인이 가능 3. 무료 4. 스마트폰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Padlet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활용이 가능합니다.
[그림] Padlet을 이용한 다양한 활용 사례
Padlet에서 제공하는 Gallery를 통해서 더 다양한 Insight를 확인해 보세요. Example Padlets도 확인해보세요.
[그림] 동일한 Padlet을 스마트폰과 PC에서 조회화면
[동영상] What is Kami? A Quick Introduction
Google Workspace에서 제공하는 기능 중에 Google 드라이브(Drive)는 드롭박스와 원드라이브처럼 파일이나 문서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Storage)입니다. 클라우드에 저장이 되기 때문에 바이러스나 랜섬웨어 등의 공격에 안전하고 스마트폰이나 다양한 패드로 다양한 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내 드라이브와 팀 드라이브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 드라이브 | Google 팀 드라이브 |
|
|
Google 드라이브와 팀드라이브는 학교의 다양한 문서를 교사, 학생, 학부모 등 그룹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좋습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이용가능하고, 백업 및 동기화를 하면 집에서도 학교의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Google 드라이브 동기화를 위한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 입니다. 내 컴퓨터에서 클라우드 기반의 Google 드라이브 모든 파일들을 사전에 동기화 하지 않고도 내 컴퓨터의 파일 탐색기에서 미리 보고 액세스 할 수있는 스마트 파일 스트리밍 기능을 제공합니다.
Google 드라이브 파일 스트림(Drive File Stream, DFS)는 개인버전(@gmail.com)에서는 제공하지 않고 Google Workspace에서만 제공합니다.
학생들에게 일정시간동안 과제를 하게 할때 보통은 교실 앞에 있는 시계를 기준으로 하게됩니다. 하지만, 좀더 긴장감을 주기 위해서는 시간이 흘러가는 것을 눈으로 보여주는 것이 가장 확실할겁니다. 유튜브(https://youtuebe.com)에는 용량의 제한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동영상이 등록이 되어 있고, 소개해 드릴 영상도 다양한 시간을 타이머로 활용한 사례가 되겠습니다. 영상에 따라 효과음도 나오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수업에 활용하면 수업에 집중도가 높아집니다.
유튜브에서 ‘타이머’로 검색하면 다양한 종류의 타이머 영상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수업시간에 모호한 단어나 중요한 개념에 대해서 지목해서 학생들에게 질문을 하면 학생들이 수줍음과 당혹감에 잘 답변을 하지 못합니다. 많은 친구들이 보고 있다고 생각하면 생각을 잘하던 학생들도 순간적으로 생각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AnswerGarden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단체 Feedback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이 필요없기 때문에 익명으로 자유롭게 자기의 의견이나 아이디어를 말할 수 있고 학생들의 공통된 의견은 글자가 커지는 효과가 있어서 재미있게 실시간으로 의견을 수집할 수 있습니다. 회사에서는 브레인스토밍시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림] AnswerGarden(https://answergarden.ch/)
AnswerGarden에서 제공하는 4가지 Mode는 다음과 같습니다.
Mode | 설명 |
Classroom | 응답자는 여러번 답변을 할 수 있지만, 같은 답변을 다시 할 수는 없음 |
Brainstorm | 응답자가 무제한으로 동일한 답변을 무제한으로 제출 가능 |
Locked | 추가할 수 없는 상태 |
Moderator | 관리자 패널을 통해 적절한 답변 만 승인 할 수 있음 |
Google 클래스룸을 이용하여 수업을 할 경우에 특정 URL을 알려주고 해당 화면을 같이 조회하는 것은 그렇게 쉽지 않습니다. 수업내용이나 특정 사이트를 함께 접속해야 하는데 이것만 하는것도 1, 2분은 족히 잡아먹습니다.
이 기능을 Chrome 웹에서 설치할 수 있고, 앱의 이름은 '클래스룸에 공유하기'입니다. Chrome 웹스어에서 이용하는 방법은 아래처럼 하는 방법이나, 직접 URL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Chrome 웹 스토어 :
https://chrome.google.com/webstore/category/extensions?utm_source=chrome-ntp-icon
학생과 교사 모두 설치를 하고 교사가 '학생에게 보내기'를 이용하여 현재의 페이지를 보내기를 하면 학생 PC에서 모두 보낸 페이지가 팝업됩니다.
물론 학생이 교사에게도 웹페이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
▶ 도움말 : https://support.google.com/edu/classroom/answer/6272843
교사가 주제를 주면 학생들이 자신의 의견을 녹화하여 저장할 수 있습니다. 녹화 과정이 간단하고, 크롬북, 휴대폰, 스마트패드 모두 가능합니다. 과제를 줄 때 Google 클래스룸에서 위치를 공유하면 쉽게 접속할 수 있습니다. 영어과목의 경우, 아이들의 speaking을 향상시키는 툴로도 사용하면 좋은 효과가 있고, 동영상으로 의견수립에 적합합니다.
Google의 Workspace은 협업도구입니다. 즉, 사람들이 함께 일할때 도움이 되는 도구입니다. 다른 장소에 있더라도 영상회의나 Google문서를 이용하여 함께 일할 수 있는데 할 수 없는 한군데가 있습니다. 바로 칠판(white board)입니다. 칠판은 여러명이 모여서 함께 아이디어를 이야기하거나 설명할 때 꼭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누구나 작성할 수 있고, 쉽게 그릴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이나 이미지를 함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기능을 원격에서 서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제품입니다. 학교에서는 원격수업할 때 사용하면 좋을 것이고, 선생님이 판서하는 내용을 학생들이 함께 자신의 PC나 스마트폰으로 함께보면서 이야기 할 수도 있겠습니다. 같은 교실에 있으면 칠판보는것이 더 좋겠죠.
펜으로 작성할 수도 있고, 그림을 업로드해서 그림위에 의견을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 [데모] 크롬북과 Google Jamboard 이용한 협업방법 - 아이디어 공유
▶ [Update] Google Jamboard 그림 추가기능
[Youtube] https://youtu.be/Tdmcs3YIxOw
Google 클래스룸 등록한 학생들의 이름을 Google 스프레드시트로 다운받아서 관리하는 기능입니다. 많은 학생(50명) 이 사용할 경우에는 좋을 거 같습니다.
교사의 반복적인 업무나 수작업의 업무를 대체하여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Google 클래스룸에서 함께 사용하는 서비스입니다. 과제를 쉽게 만들고 성적처리나 피드백등이 쉬워집니다. 2019.11월 기준 Beta 서비스로 신청을 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Workspace for Education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베타서비스가 안되는 경우에는 서비스 사용이 허가되어있는지 학교 도메인 Admin에게 문의하세요.
[YouTube] https://youtu.be/OQNKVKHHFYE
Google 클래스룸을 학교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개인 버전(id@gmail.com)으로도 가능[16]하지만 다음의 이유로 Workspace for Education을 학교도메인(@school.ac.kr)명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선생님이 Google을 직접 신청할 때 낮선 IT 용어가 나오는데 이 부분을 이해해야 신청시 빠르고 힘들지 않습니다.
‘도메인’ 이름부터 어렵습니다. ^^ 쉽게 설명해서 선생님 학교 메일 주소 @ 다음부분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예 schoolname.hs.kr 도메인을 인증하는 이유는 그 도메인이 신청한 사람의 소유가 맞는지 확인해야 되기 때문입니다. 엉뚱한 사람이 신청해서 사용하면 안되겠죠.
인증방법은 2가지 입니다.
IT 담당자들은 쉽게 할 수 있는데 선생님들은 IT에 관련지식이 없으니 어렵습니다. 첫번째로 학교에서 관리하는 홈페이지(당연히 www.schoolname.hs.kr)에 도메인 설정 메타코드를 넣어주면 됩니다. ⇒ 홈페이지 담당 선생님이나 홈페이지 관리 업체에 문의하세요. Google 인증 받는다고 하면 알아서 도와줍니다.
첫번째 방법이 실패하면 두번 DNS 에 TXT 레코드 값을 넣어주면 됩니다. DNS는 우리의 컴퓨터는 123.234.456.567 과 같은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고 있는데 사람이 인식하기 어려우니 학교나 교육청 DNS(Domain Name System)에서 학교 컴퓨터 IP와 schoolname.hs.kr 을 매핑해서 관리합니다. 물론 서버실에 있는 시꺼먼 컴퓨터에서 동작되고 관리하는 담당자가 있습니다. 여기에 TXT record 값을 넣어준다는 것은 도메인을 소유하는 것을 증명할 수 있겠죠. 이 담당자를 찾아서 Google 사용하려고 한다고 이야기 해주면 몇분안에 금방 해결해 줍니다. 그런데 그 담당자를 찾는게 일이죠.
학교 기관은 DNS를 운영하는 회사가 있고(예. 호스트 도메인 inames) 관리하는 업체가 있습니다. (예. 호스팅 업체 use.go.kr) 교육청 담당자도 IT 지식이 부족하면 어려울 수 있으니 inames 학교 id로 로그인해서 등록하거나 IT 담당자를 꼭 찾아서 요청하세요.
▶ 2020.03 도메인 인증방법이 변경되었습니다. 문서를 참고하세요
http://bit.ly/3aLLDZ6
국립 초중고처럼 이메일 사용이 제한된 경우가 아니면 등록한 계정의 이메일을 세팅하여 Google 클래스룸을 학생과 교사가 보다 효율적인 소통방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Google의 Gmail은 이메일 서비스보다는 메세지 서비스로 간주하고 각종 행동에 대한 알람이나 일정 등을 Google Gmail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전달 받을 수 있습니다. 교사나 학생이 학교 계정을 스마트폰에 등록했다면 스마트폰으로도 알람을 받을 수 있고, 알람의 메시지 링크를 통해서 공지나 댓글 등을 확인하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등록한 도메인의 이메일 등록은 다음 방법을 통해서 진행됩니다.
Workspace MX 레코드 값
|
https://support.google.com/a/answer/140034?hl=ko
- 기존에 해당 도메인으로 이메일을 사용할 경우에는 불가능함. 별도 서브 도메인을 생성하면 이메일 사용 가능
- DNS는 해당 메일의 주소와 같은 것으로 중복될 수 없지만, 해당 도메인이 아닌 별도의 도메인으로 연결은 가능함.
Google에서 도메인을 인증받아야 Workspace for Education을 사용할 수 있고, Google에서는 해당 도메인과 사용단체를 확인해서 라이선스를 발급합니다. 학교내에도 메인 도메인 @school.ac.kr 가 있고 여러가지 이유로 서브 도메인 @dent.school.ac.kr 또는 @law.schoo.ac.kr을 운영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Google에서 인증받을 때 메인 도메인이나 서브 도메인 모두 가능하고 서브 도메인 별로로 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음 표에서 메인 도메인 인증과 서브 도메인 인증에 대한 비교를 확인하고 적절한 도메인으로 인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초중고학교는 별 상관이 없습니다.
구분 | 메인도메인 (school.ac.kr) | 서브도메인[17] (subdomain.school.ac.kr) |
이메일 형태 | 기본적으로 id@school.ac.kr가 가능하고 Google admin에서 서브도메인(sub) 추가시 id@sub.schoo.ac.kr도 사용가능 | id@subdomain.school.ac.kr 사용 가능하고 서브도메인도 추가로 사용가능함. |
관리자 | School.ac.kr 1명. 서브도메인도 모두 관리 | 등록한 서브도메인 별로 관리 |
사용자 조회 | 서브도메인 사용자도 모두 조회 및 검색가능 | 해당 서브도메인에서만 조히, 검색 가능 |
자료이용 | 위와 같음 | 위와 같음 |
클래스룸 이용 | 도메인 모든 사용자 이용 | 해당 도메인별로만 이용 |
학교정책 | 한꺼번에 정책 세팅 가능 | 서브도메인별로 정책 관리 |
부정한 방법에 의한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 라이선스 인증을 한 이후에 사용시 Google의 AI를 이용한 Audit에서 적발시 해당 도메인의 블럭처리 될 수 있습니다. 데이타 및 컨텐츠의 영속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학교기관이 아닌 경우에는 Google Workspace[18]를 구매해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학교 교사가 자신의 업무외에 정렬적으로 추진해서 도메인 확보를 하고 라이선스를 발급받고 학생을 등록하고 정말로 힘든 일입니다. IT에 생소하기도 하고 문의도 많이 하고 협조도 받아야 합니다. 그런데 막상 사용하려고 하니 주위에서 관심도 없고 오히려 수업에 대해서 부정적인 이야기를 한다면 정말 힘이 빠지는 일이겠죠.
처음에 시작할 때부터 교장선생님을 비롯해서 학교 리더 교사의 지지를 이끄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무회의 시간에 적어도 교장선생님이 이번에 도입하는 Google 클래스룸에 대한 협조를 이야기하고 관리업무도 인정을 받아서 담당교사의 업무도 부여가 되면 좋습니다.
▶ [지도] 조기성선생님이 정리 하는 Workspace for Education 활용학교 지도
개인계정(@gmail.com) 사용
사용하는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의 Google 클래스룸은 개인 Google계정인 id@gmail.com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https://support.google.com/edu/classroom/answer/6173514...
[그릶] GEG South Korea 질의내용
궁금증 많은 학생들이 가입되어 있는 수업에서 수업 취소를 하여 선생님이 반복적으로 재가입하는 것을 원천 봉쇄. 교사만 수업취소 가능
See the full playlist: goo.gl/skpt1o
일반 사용자가 설명하는 Google 클래스룸 설명입니다.
2020년 겨울에는 코로나19로 개학이 연기되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수원 기독중학교 국어선생님 수업자료
1. Google 클래스룸 | |
박정철 , 윤상진, 문호진, 강대영 지음/ 2016.07 | Google Educator Group South Korea , 엄주홍, 강대영, 박정철, 윤상진, 전영훈 지음/ 2017.08 |
Google 클래스룸을 처음 접하거나 클래스룸을 이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려는 교사에게 필요한 책 | Google 클래스룸을 이해한 상태에서 좀더 다양한 내용을 접목하거나 활용하려는 교사에게 추천 |
3. 재택근무바이블 | |
조코디, 2020.10 | 최흥식 , 박종필 지음/ 2016.10 |
Google Workspace를 이용하여 재택근무하기 위한 개념과 사용법 소개 | 학교에서 많이 사용하는 크롬북의 관리지침서. 크롬북을 활용하는 가이드 |
5. Google활용전문가 되기 | |
김익순,박종필 저 | 헬리오스(대원사) | 2018년 03월 | 조코디 Google 실무 워크북(e북), 2020년 12월 |
교보문고, Yes24, 알라딘 eBook 코너 | |
조재영, 2018.01(초판)/5월 개정판 예정 | 9,000원 |
예제와 링크 중심으로 4차산업혁명에 대해서 설명한 서적입니다. eBook 형태로 궁금한 동영상 및 문서는 링크를 클릭하면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기적인 업데이트로 한번 구매하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동안 4차산업혁명에 대한 책들은 일반인들에게 겁을 주거나 인문학적으로만 작성해서 정작 내 삶에 나의 직장에 어떻게 적용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는 부족했습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제품, 기술, 뉴스 등을 통해서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저자의 결론이 아니라 스스로 찾을수 있도록 다양한 자료를 제공했습니다. 기술을 적으로 만들지 말고 친구로 만들어보세요. 우리의 미래를 희망적으로 설계할 수 있습니다. |
→ 추천하고 싶은 책 소개해주세요.
Teacher Center는 기존의 Training Center를 대신하여 교육과 인증이외에도 Google이 교육자에게 제공하는 모든 것은 한 곳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사이트입니다. https://teachercenter.withgoogle.com/
구 | Training Course | 설명 |
EDUCATOR LEVEL 1 | Google을 수업에 적용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코스를 모두 학습하면 Google Certified Educator Level 1 시험을 볼 수 있는 준비가 됩니다. | |
EDUCATOR LEVEL 2 | Google을 수업에서 활용하기 위한 전략과 기술을 배웁니다. 코스를 모두 학습하면 Google Certified Educator Level 2 시험을 볼 수 있는 준비가 됩니다. | |
Devices Training | 교실에서 Tablet으로 수업할 경우에 참고하세요. | |
크롬북 관리 및 세팅방법을 참고하세요 | ||
Certification | ||
리터러시 | ||
Certification
→ Google Educator Certification 참고
Resources
Google 제품과 수업에 관련한 의 다양한 자료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lassroom Online Communities
[Youtube] Google for Education 재생목록
150년전과 비교해서 생활의 모든 것이 변화가 되었습니다. 전화기는 더 작아졌고 심지어 들고다니면서 영상도 볼 수 있고, 달 착륙을 위해 사용한 모든 메인 프레임 컴퓨터보다 성능이 좋은 것을 초등학교 아이들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학교내의 다양한 시스템은 멀티미디어를 학생들 화면에 보여줄 수 있고, 필요하면 지구 반대편에 있는 정보도 지금 검색해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150년전과 비교해서 교실의 모습은 그대로 입니다. 단지, 교실이 더 밝아지고 분필로 쓰는 칠판대신 화이트보드가 생겼고, 선생님의 교탁에는 나무대신 멀티미디어 책상으로 바꼈다는 정도이죠.
[사진] (좌) 150년전 교실 (우) 현재의 교실
정보를 전달하기에는 일방향적 교실이 나쁘지는 않지만 교사가 가르치는 사람이 아닌 코치나 관찰자 퍼실리레이터와 같은 역할을 하고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찾고 다른 학생들과 협업과 소통을 하며 지식을 추구하는 교실에서는 소통이 원할하기 어렵습니다. 학생들은 공간에 따라 창의력이 만들어지고 소통이나 협업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사진] 협업하기 좋은 교실
초등학교때 가장 싫었던 기억 중에 하나는 밥 먹을 때 제외하고 수업시간에 의자를 돌려앉아서 뒤에 있는 학생과 같이 공부하라는 내용이었습니다. 일단, 교실에 학생수도 많아서 소음에 취약하기 때문에 다양한 이야기도 하기 어려웠고, 공간도 좁았기 때문에 의자를 반대방향으로 놓는데도 교실에서는 일대 소란이 발생하곤 했습니다. 옆 반에서 나는 소리를 들으면 저 교실도 지금 의자를 반대로 돌리고 있구나라고 알 수 있었습니다. 한마디로, 다른 학생들과 무엇을 같이 하기에 어려운 구조와 환경이었습니다. 점차 학생수가 줄면서 공간의 여유로 다양한 교실 레이아웃이 등장했지만, 교실에 대한 딱딱한 이미지는 사람을 움츠리게 하는 느낌입니다. 회사에서는 좁은 공간에 한쪽벽에는 화이트보드가 있고 밑에는 전선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직사각형의 회의실에서도 비슷한 경험을 합니다.
[사진] 복합형 교실. 직사각형이 아닌 테이블, 밝은 조명, 여러대의 빔 프로젝트, 소음에 대한 대비
국내 대학교들도 최근에 학생들이 좋아할 만한 디자인과 넓은 공간, 다양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을 보면, 멀티미디어 투자보다는 카페같은 공간으로 바꾸면 학생들이 더 좋아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합니다.
[사진] 카페에서 공부하는 학생들
중고등학교때 도서관에 새벽부터 가서 자리 잡았던 이야기 하면 지금의 학생들은 이해를 할 수 있을까요?
[사진] 다양한 공간으로 구성된 교육공간(출처 : 미래학교 체제 도입을 위한 Future School 2030 모델 연구, KERIS, 2030 모델 연구, KERIS, 2011)
▶ [동영상] 2015.12.09 [뉴스G] 교실 좀 바꿔주세요
[그림] 삼우초등학교 도서관 단면
2005년에 개교한 덴마크 코펜하겐에 있는 오레스타드 고교는 '디지털' 관점에서 설계됐다. 미래기술을 반영해 수업이 어떤 형태로 변화하든 이에 대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이 학교의 특징은 학교는 자체가 하나의 개방형 공간이라는 것이다. 기존의 정사각형의 교실이 아닌 자유로운 형태의 그룹으로 수업이 가능하다. 그러다 보니 학생을 지식을 소비하는 수동적 주체보다는 스스로 지식을 생산하는 능동적 주체로 변화하고 학생들은 교사의 일방적 강의를 듣기보다는 스스로 영화 제작 등 활동을 하며 자기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공간만 바뀌더라도 수업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고, 학생마다 수준별 교육, 개인의 적성에 맞는 교육이 가능하여 전통적인 교육보다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이 가능해진다.
▶ 교실을 가르는 벽이 없이 모두 오픈 공간에서 공부하는 덴마크의 오레스타드 고교
▶ 감옥 같은 학교건물을 당장 바꿔야 하는 이유 - 유현준건축사사모소
[그림] Google을 이용한 수업활동
2020년 코로나가 몰고온 교실의 변화에서도 좋은 아이디어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등교하지 못하면 Zoom, Google Meet로 수업을 원격으로 진행을 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지금과는 다른 장비들이 교실에 필요합니다.
공간은 거리에 따라서 간격의 차이가 발생하지만 온라인에서는 이런 차이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온라인 교육을 통하여 학생 맞춤형 교육과 참여형 교육이 가능합니다.
대학교의 경우에는 지금은 장소의 제한으로 수강인원의 수가 정해졌지만, 온라인으로 진행을 한다면 이런 문제도 해결됩니다.
교육을 위해서는 조작하는 장비 및 방법이 간단하여 보조 인원의 도움없이 바로 진행하고 문제해결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Chrome에서의 코딩은 다양한 형태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도 없고 복잡한 환경을 세팅하기 위해서 전문가를 초빙하지 않아도 됩니다.
Google에서는 Google의 플랫폼을 이용하여 교실에서 혁신적 수업을 진행하는 교육자분들에게 인증서를 발급하고 있습니다. 이를 Google Certified Educator라고 하고 과정은 크게 GCE level 1, GCE level 2로 분류합니다. 이 과정은 철저한 온라인 시험으로 온라인 교육을 통해 집에서, 학교에서 편하게 응시할 수 있습니다. 시험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링크 (https://edutrainingcenter.withgoogle.com/) 를 통해 찾으실 수 있습니다.
저희 GEG South Korea 는 Google 공인 교육자 (GCE) 과정을 수월하게 마칠 수 있도록 2017년 5월 이후 BOOTCAMP 이라는 프로그램을 운영해 시험 응시 및 준비 그리고 취득을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현재 수십여 분의 Google 공인 교육자분들이 탄생하였습니다
[동영상] Google 공인 교육자 자격시험이란? Google Certified Educator(GCE) - GEG South Korea
Google Certified Educator (GCE) 자격을 획득하는 것은 Google을 이용하여 교육을 진행할 수 있음을 입증하는 동시에, 시험 과정 자체가 강력한 학습 도구로써 더 좋은 교실을 꾸리는 것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Google 공인 교육자들의 커뮤니티에서는 Google 플랫폼을 이용한 다양한 사용 사례들이 공유되고 있어 이에 소속된 것만으로도 최신 트렌드를 따라가는데 큰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BOOTCAMP 일정은 기본적으로 2달에 한번 주말 시간을 이용해 시행됩니다.
일정은 GEG South Korea 페이스북 그룹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facebook.com/groups/gegsouthkorea )
[지도] 대한민국 Google Certified Educator/Trainer/Innovator 현황
구분 | Certified | Certified | Certified Trainer | Certified |
비용 | 10$ | 25% |
부트캠프 없이 혼자 진행하는 데 관심 있으신 분들은 꼭 참고하세요. 몇몇 질의자분들께 상세히 답변을 안드렸던 이유는 저 스스로 에듀와 트레이너 인증개념에 대해 남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기도 하고, 좀 더 정확하게는 저 스스로도 트레이너 인증을 최근에야 받은 관계로 과감히 말씀드리지 못한 탓이 큽니다. 오늘 그 경험을 공유드리겠습니다.
대략 요점은 혼자서 진행하다 보니 인증서 따는데 필요한 정도의 영어와 경험은 충분하다 여겼는데도 불구하고 다른 기타 이유로 잘 되지 않았던 점을 간략히 말씀 드리고자 하오니 인증을 받고 싶거나 필요하신 분들에게 제 경험이 소폭 도움 되었으면 합니다.
1.점프스타트와 부트캠프 차이는 뭐에요?
2. 부트 캠프가면 쉽게 딴다고 하던데요?
3. 부트캠프 없이 에듀케이터 레벨 1, 2를 혼자서도 딸 수 있나요?
4. 인증을 받으면 어떤 의미가 있나요?
5. 트레이너는 어떻게 따나요?
*솔직한 경험과 특이 및 주의사항
*글을 쭉 써 내려가다보니 길어졌네요.
아..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번에 레벨 1, 2 포맷이 좀 바꼈습니다. 카메라에 본인 얼굴은 나오지 않는데 켜지는 있습니다. 아마 두사람이 붙어 시험칠 때 사람수나 음성등을 감지하도록 한게 아닌거 의심됩니다. ㅎㅎ 그리고 시험 내용 캡쳐하면 바로 fail뜹니다. 꼭 조심하세요. 전과 다릅니다.
아무쪼록 관심 있으신 분들의 조그만 성취가 따르기를 염원합니다. 감사합니다.
Workspace 인증은 Gmail, 문서, 시트, 드라이브 및 기타 Workspace 도구의 주요 기능에 대한 지식을 테스트하여 클라우드 사용을 진흥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됩니다. 그러기 때문에 가격도 75달러로 저렴하고 학교용 가격을 별도로 제공합니다.
이 인증시험은 Workspace을 잘 사용해서 지식이 많은 사람보다는 Workspace을 처음 접하거나 경험이 부족한 사람에게 추천합니다. 필요한 기술이나 개념을 이해하고 연습해서 업무나 교육에 활용할 수 있고, Workspace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동영상] https://youtu.be/Fv2pMkI4MCk
특히 이 인증시험을 위하여 Google에[서는 다양한 Video Lesson 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고, PC나 스마트폰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https://applieddigitalskills.withgoogle.com
시험정보 : https://cloud.google.com/certification/gsuite
시험범위 : https://cloud.google.com/certification/guides/gsuite
연습문제 : http://services.google.com/fh/files/misc/g_suite_user_marketing_design_practice_exam.pdf
Workspace Certification for Student : https://teachercenter.withgoogle.com/certification_gsuite
Workspace을 학교에서 사용할 때 개인 정보의 저장에 관련하여 사용동의서에 대한 내용은 학교에서 해석에 따를 수 있습니다. 위탁개념으로 동의없이 사용할 수 있고, 학생들에게 학년 초반이나 입학시에 일괄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학생들 사용시에도 학생들 이름대신 식별할 수 없는 반번호 등을 이용하여 계정발급을 한다면 동의없이 사용하는 방법도 추천합니다.
개인정보 수집 이용동의서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작성할 수 있고, 학교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용동의서] 송문중학교 정운교선생님 자료
Google에서 제공하는 템플릿은 다음을 참고하세요
▶ 교육용 Workspace(온라인) 계약 : https://gsuite.google.com/intl/ko/terms/education_terms.html
전 세계의 교육 시스템은 미래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급격한 변화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로인해 학생뿐만 아니라 기존 아날로그 세대에서 교육을 받아온 교사들은 많은 혼란을 겪고 있고 현실의 수업과 이상의 부조화에 따른 어려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이세돌을 4:1로 이긴 알파고와 같은 인공 지능 (AI)과 같은 디지털 기술이 점점 기업을 변화시키고 경제에 영향을 미침에 따라 미래의 직업이나 생활에 필요한 기술과 역량을 갖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에 미래의 주인공인 학생들을 지도하는 교육의 입장에서는 보다 교육 시스템의 변화에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을 이용할 수 있는 능력과 이해력을 의미합니다. 요즘 학생들은 어릴때부터 부모의 스마트폰으로 각종 동영상을 자유롭게 보았고, 검색을 하기 위해서 네이버대신에 Youtube를 방문하고 스마트폰을 옆에 두고 각종 지식을 습득하는 세대입니다. 이런 학생들에게는 기존 아날로그 책이나 문서보다는 YouTube로 보는 것이 이해력이 빠릅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교사들도 YouTube 이용도가 늘어나고 있는 것은 모두가 동영상 등 디지털을 선호하는다는 이야기입니다. 학생들에게 기존의 오래된 아날로그 방식으로 교육하면 재미있을까요? 아마 교사도 싫어하고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하지 못할 겁니다.
▶ 대학교가 Workspace을 이용하여 YouTue 콘텐츠를 제공해야 하는 이유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 (EIU)은 21 세기 기술 개발에 가장 효과적인 전략과 기술로 이러한 노력을 지원할 수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Fostering exploration and excellence in 21st century schools에서 혁신에 가장 방해되는 요소로 예산과 기술, 정책을 꼽았습니다. 한명의 IT를 잘하는 선생님이 한교실만을 앞서서 개혁하는 것보다는 모든 교실에서 발전이 있는 것이 학교차원에서 보다 적절한 접근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다행히 Workspace for Education과 같은 교육협업솔루션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이외에도 Network나 개인이 사용해야 하는 Chrome Book과 같은 교육장비 등의 투자가 학교 차원에서 진행이 되어야 합니다 .또한, 교사들이 IT나 클라우드의 두려움으로 수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교육과 변화관리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교사, 학생, 학부모가 모두 참여하여 합리적인 교육정책도 수립해야 합니다.
4차산업혁명의 물결이 거셉니다. 4차산업혁명의 핵심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며 기존의 업무방식 교육방식과는 다른 형태와 패러다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히 교육분야에서는 기술이 하이테크로 발전했지만 150년전 교실이 그대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교육분야에 큰 변환이 예고되고 있습니다.
교육을 변화하기 위해서는 위에서부터 탑-다운(Top Down)형태로 개혁이 진행되는 것이 가장 좋지만, 변화를 위한 긴 시간을 기다릴 수는 없습니다. 교육을 걱정하는 일선의 선생님부터 노력한다면 변화의 시간을 많이 단축할 수 있을 겁니다.
다양한 에듀테크 제품들이 출시되었고, 많은 시도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Google 클래스룸도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 선생님이나 기업에서 적용하면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Google Workspace는 플랫폼이기 때문에 상상력을 더 높일 수 있고 더 많은 시도를 할 수 있습니다.
작은 노력들이 모여서 세상을 바꿀 수 있습니다.
디지털 기기를 가지고 있고, 아이들은 디지털 환경에서 생활하는데 이제는 학교도 디지털 환경으로 전환을 해야겠죠. 디지털은 우리가 상상하지 못한 다양한 기회와 방법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어렵지만 계속해서 사용한다면 모두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국민이 사용하는 카톡도 모두가 잘 사용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Google 클래스룸을 왜 쓰냐고 묻는 선생님들이 있습니다. 산업혁명이 시작했을 때 미국에서 터널을 뚫는 기계와 경쟁하던 존헨리라는 흑인 노동자 사건은 기계와 인간의 대결에서 계속 회자되는 사건입니다. 교육에서도 설마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지는 않겟죠. 지금도 직접 학생 앞에서 선생님이 칠판에 써가면서 교육을 해야 한다는 생각은 구시대적인 생각입니다. YouTube에는 현실 전문가들이 매일 수백만건의 자료를 자료를 자발적으로 올리고, 대표적인 MOOC인 코세라(coursera.org)에는 2019년에만 AI 분야의 강좌가 2백만건이 등록이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유명대학의 교수가 아무리 잘 강의를 해도 집단지성에는 경쟁할 수 없고, 경쟁을 할려고 하는 시도 자체가 무의미합니다.
[사진] 미국의 터널 노동자 존헨리
▶ 미래의 교실 : bit.ly/FutureoftheClassroom
Google 클래스룸으로 다양한 교육의 가능성을 경험해보시기 바랍니다.
가입절차가 변경되었습니다. 다음 문서 확인하세요. http://bit.ly/3aLLDZ6
[YouTube] https://youtu.be/mfAf22LKHlI
학교 계정이 아닌 일반계정(@gmail.com)도 추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Google에서는 학교계정 사용을 추천합니다. Google for Education
만약 등록이 되지 않는다면 학교 Workspace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Chrome 브라우저에서는 악성코드 문제로 Flash file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제한적으로 HTML을 로컬에 만들어서 동작을 확인하세요.
Google Cloud Support <esupport@google.com> 에 메일을 보내서 담당자로 부터 다음과 같은 메일을 받았습니다.
-----------------------------------
관리자 변경으로 인해 Workspace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없는 문제는 현재 관리자 계정으로 다시 로그인하기 위한 몇 가지 조치 사항이 필요합니다.
먼저 도메인 호스팅 공급자(교육용 Workspace은 보통 교육청에서 관리)를 통하여 아래와 같이 도메인 CNAME 레코드를 만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CName 만들기 :
- CNAME 레코드(대상/타겟): 케이스 번호.도메인 (*******)
- CNAME 레코드(호스트/라벨)가 가리키는 대상: google.com
CNAME 레코드는 아래 링크를 확인하셔서 CNAME 가이드를 따라서 생성 바랍니다.
https://support.google.com/a/answer/47283?hl=ko
CNAME 레코드 생성 후 해당 CNAME 레코드의 링크를 첨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CNAME 레코드를 만드는 데 도움이 필요하시면 호스팅 제공 업체에 지원을 요청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아래의 질문에 답하여 이 메일로 회신해 주시기 바랍니다.
1) 도메인 내의 Workspace 최고 관리자 이메일 주소 :
2) 도메인 내의 Workspace 최고 관리자 등록 이름 :
3) 도메인 내의 Workspace 최고 관리자 마지막 로그인 날짜 : 00월/00일/0000년
4) 도메인의 하위/복구용 링크 수신 이메일 :
5) Workspace 계정 생성 날짜 : 00월/00일/0000년
6) 관리자 콘솔에서 표시되는 계정의 조직 이름 :
7) 도메인 내의 최소 한 명의 다른 사용자 등록 이름 :
8) 도메인 내의 최소 하나의 그룹 이메일 주소 :
9) 최소 하나의 하위 도메인 :
10) 계정 내의 최소 하나의 도메인 별칭 이름 :
----------------------
CNAME 레코드는 가이드를 따라서 할 수 있었지만 위 10개의 질문에는 답을 할 수 있는 것이 하나밖에 없었습니다. 서포트 팀에서 별도로 컨설트를 올려 답변을 기다린 후 계정을 삭제해 주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메일이 오고 갔으며 약 3주 정도 걸렸습니다.
계정을 삭제한 후 새로 Workspace에 가입을 하면 됩니다.
화면에 버튼이 안보이거나 예상했던 동작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가장 간단하게 아래 방법을 시도해보세요. 대부분 사용자 환경의 문제로 생각됩니다. 이런 시도에도 문제가 있으면 학교 Workspace 관리자나 시도 교육청에 문의해보세요
1. 시크릿 브라우저 사용하여 로그인
https://cloudservicecody.blogspot.com/2018/07/blog-post.html
2. 로그인되어 있는 모든 PC에서 전체 로그아웃하고 새로운 PC에서 로그인
https://cloudservicecody.blogspot.com/2019/06/pc.html
3. 크롬북이용해보기
https://cloudservicecody.blogspot.com/2019/02/2019-chromebook.html
Google 클래스룸 및 Assignment에서 에서 작성된 원본성 보고서는 문서에 다른 알파벳 또는 다른 쓰기 시스템의 기호가 포함되어 있을 때 사용자에게 경고함으로써 표절 가능성을 더 잘 감지하고 있습니다다.
학생들은 표절 탐지 기술을 속이기 위해 비슷한 모양의 기호를 가진 특정 문자를 교환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문자 "a"가 그리스 기호 "⍺" 또는 키릴 기호 "α"로 대체되는 경우 표절한 임무는 이와 같이 검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문서에 다른 알파벳 또는 쓰기 시스템의 기호가 포함된 경우, 원본성 보고서는 경고를 줄 것이다. 그러면 교육자들은 그것을 검토하고 학생이 다른 상징들을 사용할 정당한 이유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독창성 보고서를 사용하는 학생은 이 기능을 볼 수 없습니다.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 Plus를 사용하는 미국지역의 학교에서는 자동으로 Google 클래스룸 과정을 설정하고 학생 정보 시스템(SIS)과 명부를 동기화할 수 있게 됩니다. IT 관리자는 Clever를 통해 설치를 수행하게 되며, 이는 교사가 더 이상 수동으로 수업을 만들고 학생을 초대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하면 교사가 개별적으로 작성하는 강의실 과정을 덮어쓰지 않습니다.
Clever와 협력하여 만든 이 기능은 Google 클래스룸과 미국의 대부분의 주요 SIS 간의 상호 운용성과 통합을 개선합니다. 수업 시간을 절약하고 교실 수업 및 SIS 명단과의 수동 및 중복 작업을 적게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
End of Document
클라우드서비스코디(www.cloudservicecody.com)
[1] 문서의 권한에는 소유자외에 수정, 댓글, 조회 권한이 있고, 댓글권한이 있으면 해당 부분에 댓글을 작성할 수 있음
[2] 세계 유명 예술작품 감상. https://www.google.com/culturalinstitute/beta/
[3] Google 가상현실 교육 도구. https://edu.google.com/expeditions/
[4] 지구의 위성 이미지, 지도, 지형, 3D 건물 정보 제공. https://www.google.com/culturalinstitute/beta/
[5] 그 전까지는 일반계정에서는 사용할 수 없어서 강남 학원들에서 문의가 종종 있었음.
[7] 외부 도메인이나 개인계정도 그룹스로 묶을 수 있음
[8] Google Workspace 사용 요금 : https://gsuite.google.com/pricing.html?tab_activeEl=tabset-companies
[9] Google Cloud Search : https://cloudsearch.google.com/cloudsearch/, 관리자의 세팅에 의해 사용가능함
[10] Google Educator Group South Korea : https://www.facebook.com/groups/gegsouthkorea
[11] Google Groups : https://groups.google.com/
[12] Google 문서 소유자는 한명만 가능하며 해당 문서의 소유권한이 있어야 해당 문서를 검색할 수 있고 공유,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이 생깁니다. https://support.google.com/drive/answer/2494892
[13] https://docs.google.com/document/u/0/
[14] 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u/0/
[16] 2017년 초부터 교육용 계정이 아닌 일반 계정에도 Google 클래스룸 사용을 허용함
[17] 학교 DNS에서 서브 도메인을 추가하여 사용하는 형태. 홈페이지
[19] Google Educator Group South Korea : https://www.facebook.com/groups/gegsouthkorea/